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날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삼월 삼짇날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눈으로 보는 꽃의 아름다움이 화려한 음식으로, 화전
    한국에서는 삼월 삼짇날 찹쌀가루에 진달래꽃을 섞어 기름에 지진 전인 화전을 먹는 풍속이 있다. 화전은 잘 반죽한 찹쌀가루를 기름 두른 번철에 조그맣고 둥글 넓적하게 부쳐 계절을 대표하는 꽃을 더한 떡이다. 진달래꽃, 장미,국화 등을 고명처럼 얹는다. 다른 말로 꽃지지미 또는 꽃부꾸미라고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삼짇날 들판에 수놓인 꽃을 보며 노는 화전놀이
    화전놀이란 음력 3월 3일 삼짇날에 벌이는 꽃놀이다. 평소보다 화사하게 차려입고 산이나 들에 모여 진달래꽃을 따다가 전을 부쳐 먹는다. 남녀 모두가 즐겼지만, 여성들의 경우 공식적인 외출 행사였던 만큼 성대하게 치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복날과 동지, 죽집에서 먹던 팥죽
    오늘날 팥죽은 동지에 먹는 음식으로 알고 있지만, 일제강점기까지 복날에 팥죽을 먹었다. 동지에도, 복날에도 먹던 음식이었다. 조선후기부터 죽집이 있어서 주로 팥죽을 팔았다. 팥죽을 끓이기 위해서는 적어도 5~7시간 불을 때면서 끓여야 했기에, 죽집은 새벽 장사를 위해 밤새 팥죽을 끓인다. 이런 이유로 죽집에 화재가 잘 발생했다. 일제강점기 죽집은 주로 시장근처에 있고 한그릇에 5전, 반그릇에 3전의 가격으로 팥죽을 팔았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광주 >광산구

    용과 봉황의 기운으로 더위를 물리친다, 광산 용봉탕
    용봉탕은 상상의 동물인 용(龍)을 상징하는 자라와 봉황(鳳凰)을 상징하는 닭을 재료로 하여 끓여낸 여름철 보양식으로 광주광역시 광산구의 향토 음식이다. 용봉탕은 이름 자체만으로 길하고 복된 음식이며 궁중음식에서 유래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문자 풀어 혼인 날짜 알아내기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강원 >영월군

    문자 풀어 혼인 날 받기
    예전에 서로 혼인을 정했다. 신랑 집에서 택일하여 ‘남산에 유전 변토락(南山有田邊土落)이요, 북묘엔 명구조비거(北苗鳴鳩鳥飛)라’고 써서 보냈다. 신부 아버지는 편지 내용이 무엇인지 몰라서 걱정하였다. 색시가 ‘남산에 유전 변토락’은 남산에 밭이 다 떨어지고 나니까 열십자가 남고, ‘북묘에 명구조비’가는 북묘 언덕에 비둘기 울고 새가 날아갔으니 아홉 자가 남으니 ‘19일’이 혼인 날짜라고 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온 가족이 둘러앉아 흥을 돋우던 윷놀이
    윷놀이는 정월 초하루에서 보름까지 윷을 던져 그 결과를 가지고 윷판에 윷말을 사용하여 승부를 겨루는 민속놀이이다. 비교적 시간과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으며, 놀이 규칙과 방법은 단순하지만 다양한 변수가 흥을 돋아 남녀노소 누구나 즐겼던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놀이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설날하면? 뭐니 뭐니 해도 역시 떡국!
    떡국은 새해 첫날인 설에 먹는 전통음식으로 흰 가래떡을 썰어서 쇠고기나 꿩고기, 닭고기로 맛을 낸 맑은 장국에 넣고 끓여 만든다. 새해 첫날의 밝음의 의미로 흰 떡을 사용하고 떡을 길게 늘여 가래로 뽑는 것은 재산이 늘어나기를 바라는 의미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북한

    눈사람 닮은 조랭이떡국
    조랭이떡국은 새해 아침 한해의 안녕을 기원하면서 누에고치 모양으로 떡을 만들어 장국에 넣고 끓인 개성지방의 향토 음식이다. 조랭이란 가운데가 잘록한 모양이 마치 조롱박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한편 조랭이떡국은 조롱박 모양을 했다고 해서 귀신을 물리치는 의미가 있다고 전해진다. 조롱박은 두드리면 소리가 나서 귀신을 쫓고 입구가 좁아 귀신이 들어가면 나올 수 없다고 믿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호국의병의 날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국가에서 의병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한 의병의 날
    의병의 희생정신을 기리고 의병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제정한 기념일이다. 의병이란 외국의 침략에 맞서 민중이 자발적으로 일으킨 저항 조직이다. 국가가 위기에 처했을 때 징발 명령과 관계없이 자발적으로 종군하여 전쟁에 참여하는 자위군에 해당한다. 의병의 전통은 삼국시대부터 있었으나 일반적으로 의병이라 하면 임진왜란과 한말 일제 침략기에 일어났던 항일 의병을 말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옛날이야기

연관자료

  • 지역문화 Pick (6건)
자세히보기
  • 엄동에 잉어를 잡아 효도한 오류동의 윤효자

    출처 :서울특별시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서울 >구로구

    엄동에 잉어를 잡아 효도한 오류동의 윤효자
    서울특별시 구로구에서 윤 효자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를 샌드아트(sand art)로 표현한 영상이다. 옛날 구로가 속해 있던 부평부의 오류동 마을은 조선 시대에 효자의 마을로 유명했다. 한겨울에 잉어를 잡아 노모를 봉양했다는 윤씨 가문의 효행담을 그렸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새 잡다 소실된 정려각 설화

    출처 :서울특별시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서울 >구로구

    새 잡다 소실된 정려각 설화
    서울특별시 구로구에서 파평 윤씨 가문의 정려각 소실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를 샌드아트(sand art)로 표현한 영상이다. 정려각은 지극한 효행을 한 사람에게 나라에서 표창하기 위하여 세워준 집을 뜻한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천왕동 하정승 설화

    출처 :서울특별시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서울 >구로구

    천왕동 하정승 설화
    서울특별시 구로구 천왕동에서 하 정승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를 샌드아트(sand art)로 표현한 영상이다. '천왕동 하 정승 설화'는 진주 하씨의 시조 하연(河演, 1376~1453)의 일화를 담은 인물 전설이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날뫼

연관자료

  • 지역문화 Pick (1건)
자세히보기
  • 날뫼의 무형문화재와 비산농악 1

    출처 :대구광역시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대구 >서구

    날뫼의 무형문화재와 비산농악 1
    대구광역시 유·무형문화재 및 설화 등을 알기 쉽게 풀어낸 그림책이다. 대구 서구를 중심으로 계승된 무형문화재 제2호 날뫼북춤, 제4호 천왕메기, 제19호 동부민요와 비산농악의 유래, 설화, 형식 등을 할아버지와 손자의 대화 형식으로 구성하여 풀어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테마스토리 전국

    만능 농촌 노동자, 머슴
    머슴은 농가에 고용되어 농사뿐만 아니라 주인집 가사노동까지 담당하는 농촌 노동자를 말한다. 고용주와 인습적 주종관계에 있지만 천민인 노비와는 달리 양인이 자발적으로 고용되기를 희망하여 의복, 식사, 술, 담배 등을 제공받으며 이외에 새경(사경私耕)을 받는 존재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