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노동요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김천 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3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북 >김천시

    경북 김천의 디딜방아 찧으며 부르는 호야사이잘한다소리
    경상북도 김천시에서는 「디딜방아찧는소리」로 「호야사이잘한다소리」를 불렀다. 「디딜방아찧는소리」는 보고된 자료가 적은 희귀한 노래이다. 그 중 「호야사이잘한다소리」는 김천시에서만 전승이 확인된 노래로 양다리방아를 찧으며 불렀다. 전언가사는 4마디 2행이며 “호오호 호이야사이 잘한다”라는 디딤가사를 자진아라리 장단에 붙여 선후창으로 부른다. 가사는 작업을 지시하는 실무적 기능과 함께 얼른 일 끝내고 놀고 싶은 창자의 정서를 나타내는 표출적 기능이 두루 나타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김천시

    경북 김천의 기계 탈곡하며 부르는 밟아주소소리
    「기계탈곡하는소리」는 탈곡기를 이용해 벼와 보리 등의 이삭을 떨어내면서 부르던 노래이다. 현재까지 전승이 보고된 「기계탈곡하는소리」에는 경상북도 김천시 농소면에서 불린 밟아주소소리가 유일하다. 밟아주소소리는 4마디 정도의 비교적 짧은 노랫말을 어사용 가락으로 흥얼흥얼 부른다. 가창방식은 윤창이다. 노동의 지루함과 고됨을 잊고 작업을 독려하고자 하는 데 노래의 목적이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김천시

    경북 김천의 농업용수를 품으며 부르는 올라간다소리
    경상북도 김천시 농소면에서는 논에 물을 퍼올리며 부르던 「농업용수품는소리」로 올라간다소리가 확인되었다. 올라간다소리는 두 사람이 맞두레질을 하면서 부른 노래로, 1마디짜리 짧은 사설을 서로 번갈아 하는 교환창의 가창방식을 취한다. 사설 가운데에 “올라간다” “올라가네”라는 말이 흔하게 나타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인천 >강화군

    강화도에서 돈대와 봉수대터를 다지면서 부르는 「성터 다지는 소리」
    인천광역시 강화군 내가면 황청리에는 해안에 3개의 돈대(墩臺) 터와 외포리 북쪽에 봉수대의 터가 남아 있다. 강화도의 돈대는 외세의 침략을 막기 위해 쌓은 방위시설이다. 돈대와 봉수대 터 등을 쌓기 위해서는 터를 다져야 한다. 「성터 다지는 소리」는 소리는 노역꾼과 군인들이 돈대와 봉수대 터를 다지면서 부르던 소리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인천 >강화군

    조기를 운반하는 배를 노저으며 부르는 강화도의 시선뱃노래
    인천광역시 강화군 내가면 황청리는 서해와 인접해 있는 마을이다. 「시선뱃노래」는 연평바다에서 잡은 조기를 떼다가 운반하는 시선배에서 부르는 노래이다. 시선배는 한강을 거슬러 올라가 마포장까지 운항하였다. 「시선뱃노래」의 가사에는 강을 거슬러 가면서 만나는 한강 곳곳의 지명과 물 때가 나오며, 노를 저으면서 불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인천 >강화군

    조기잡이배에서 만선의 기쁨을 노래한 바디질 소리와 배치기 소리
    인천광역시 강화군 내가면 황청리에서는 조기를 운반한 시선배에서 부르는 노동요가 전승되어 온다. 「바디질 소리」는 조기를 그물로 된 바디로 퍼서 배에 실을 때 부르는 노래이다. 「배치기소리」는 고기를 잡아서 무사하게 돌아온 것을 자축하는 노래로 닻을 내리고 배에서 부르는 소리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음성의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북 >음성군

    충북 음성의 디딜방아 찧으며 부르는 굴러라소리
    충청북도 음성군에서는 디딜방아를 찧을 때 굴러라소리를 불렀다. 「디딜방아찧는소리」는 전국적으로 전승이 확인된 경우가 매우 드문 노래로, 그 중 굴러라소리는 유일하게 음성군에서만 보고가 된 노래이다. 2마디짜리 전언가사에 “굴러라 굴러라”라는 디딤가사를 붙여 불렀다. 방아를 찧는 작업의 동작상 호흡을 맞추고 작업을 독려함으로써 일의 능률을 올리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부여 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남 >부여군

    충남 부여군 규암면에서 농업용수 품으며 부르는 자새질소리
    충남 부여군에서는 「농업용수품는소리」로 자새질소리를 불렀다. 「농업용수품는소리」는 모내기를 하기 전 또는 가물어 논물이 부족할 때 깊은 곳에 고인 물을 퍼 올려 논에 넣으며 부르던 노래이다. 자새질소리는 무자위를 밟으며 부르던 노래로 노래의 형식적 틀을 갖추지 못한 막소리에 가깝다. 물을 퍼올리는 현장적 상황이 가사에 담겨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태안 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남 >태안군

    모를 찌며 부르는 충남 태안의 술미소리
    충청남도 태안군에서는 「모찌는소리」로 술미소리를 불렀다. 「모찌는소리」는 모판에서 모를 뽑아 한 춤씩 묶으며 부르던 노래이다. 술미소리는 본디 「논매는소리」인데 유일하게 태안군에서만 「모찌는소리」로 쓰임이 바뀌어 불리고 있다. 가창방식은 선후창으로, 2마디짜리 전언가사에 “어야 술미야” “어하 술미야”라는 디딤가사를 붙인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남 >태안군

    어부들이 노 저으며 부르는 충남 태안의 어야디야소리
    충청남도 태안군에서는 「어부노젓는소리」로 어야디야소리를 불렀다. 「어부노젓는소리」는 고기를 잡으러 나갈 때 또는 고기를 잡아 돌아올 때 노를 저으며 부르는 노래이다. 작업 상황에 따라 가창방식이나 리듬을 달리해서 부르는 즉흥적 · 독창적 · 역동적 노래이다. 17종의 「어부노젓는소리」 중 가장 넓은 지역에서 불린 노래 중 하나인 어야디야소리는 주로 1마디 또는 2마디짜리 전언가사에 “어야디야”, “에야디야”, “어야디야차”, “어기야디야” 등의 디딤가사를 붙여 호흡의 일치라는 실무적 기능을 담당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익산의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북 >익산시

    벼를 개상에 털면서 부르는 익산 석치마을의 「에헤야소리」
    전라북도 익산시 함열읍 석매리는 두라·석치·상지원·매교 등의 자연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석매리에는 용왕제·두리제 저수지가 있다. 「벼터는소리」는 전국적으로 여러 종류의 노래가 전승되고 있는데, 익산시 석치마을에는 개상질을 하면서 부르던 「에헤야소리」가 있다. 개상질은 볏단을 줄로 묶어서 옆 사람과 교대로 개상에 내리쳐 탈곡하는 방법이다. 짧은 시간에 두 사람이 교대로 내리치니 호흡이 가쁠 수밖에 없고, 노랫말 또한 제대로 구성하기가 쉽지 않아 상황에 따른 즉흥적 노랫말이 중심을 이룬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삼척 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3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강원 >삼척시

    강원도에서 아기 어를 때 부르는 「둥게둥게소리」
    ‘둥게’는 전라북도 방언으로 ‘둥우리’를 뜻한다. 「둥게둥게소리」는 전국적으로 불린다. 특히 서울, 경기, 강원 지역에서 더 많이 불린다.「둥게둥게소리」의 원래 기능은 아기를 어를 때 부르는 소리이나 「자장자장소리」에 섞어 부르기도 한다. ‘눈이 배꼽에 달렸다’해도 내 손주는 무엇과도 바꿀 수 없이 예쁘다는 가사의 양육요로 아기를 어르며 아기의 성장 발달에 도움을 주기 위한 동작(양육자가 일어서서 아기를 위로 높이 올렸다가 내렸다가 하는 동작)이 따른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삼척시

    강원도 삼척에서 통나무 끌어내리면서 부르는 황장목 끄는 소리
    강원도 삼척시는 조선시대 궁궐을 지을 때 사용하는 대표적인 소나무 ‘황장목’ 보호 지역이다. 삼척시에는 사금산의 황장목(黃腸木)을 보호하기 위해 ‘금표(禁標)’를 세우고 곳곳에 벌목을 금하는 지역이 많았다. 황장목은 금강송으로 수백 년 묵어 목질이 단단하고 누렇게 된 소나무이다. 조선시대 궁궐과 관청을 짓는 데 사용하였고, 왕의 관(널)을 만드는 데도 썼다. 「황장목 끄는 소리」는 임산노동요 중 원목생산요에 해당한다. 「황장목 끄는 소리」는 황장목을 끌면서 노동의 힘듦을 덜어내고자 부르는 소리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삼척시

    삼척 주지리에서 밭을 매면서 부르는 「미나리」
    강원도 삼척시 노곡면 주지리는 산촌이다. 「아라리」가 산촌의 여러 상황에서 두루 불린 것과 마찬가지로 「미나리」도 밭매는 소리, 논매는 소리, 모심는 소리 등 여러 용도로 불린다. 삼척시 노곡면 주지리에서 부르는 「미나리」는 강릉, 삼척 일대에서 밭을 맬 때 부르는 소리로, 후렴구가 없고 호흡이 길고 느리다. 사설 내용은 주로 시집살이의 고달픔과 돌아가신 친정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영덕 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3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북 >영덕군

    여성들이 맷돌질하며 부르는 경북 영덕의 흥얼소리
    경상북도 영덕군에서는 「맷돌질하는소리」로 흥얼소리를 불렀다. 「맷돌질하는소리」는 맷돌을 손으로 돌리면서 부르던 여성 노동요이다. 사설에는 여성들의 정서와 관심사가 반영되어 있다. 흥얼소리는 노래 자체를 즐기기 위해 주로 불리던 노래로, 일정한 형식 없이 창자가 말하고자 하는 내용을 흥얼대듯 자유롭게 부르는 막소리를 뜻한다. 영덕에서 불린 흥얼소리에서는 고된 일을 하는 여성 화자가 신세타령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영덕군

    경북 영덕의 그물 당기며 부르는 에이야소리
    경북 영덕군에서는 「그물당기는소리」로 에이야소리를 부른다. 「그물당기는소리」는 바다에 쳐놓은 그물을 당기며 부르는 노래이다. 에이야소리는 1마디 또는 2마디 짜리 짧은 전언가사에 “에이야”, “에이허야”, “에야”, “어이야” 등의 디딤가사를 붙여 선후창으로 부른다. 동해 · 서해 · 남해의 3개 해안에서 두루 불리는 노래이다. 영덕군에서 보고된 에이야소리에는 힘을 한데 결집시키고자 작업을 지시하는 실무적 내용을 담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영덕군

    경북 영덕에만 전하는 보리 타작 노동요, 타작이야소리
    경상북도 영덕에서는 「밭작물도리깨질하는소리」로 타작이야소리를 불렀다. 「밭작물도리깨질하는소리」는 밭작물 즉, 보리나 콩, 조, 밀 등의 이삭을 도리깨로 두드려 낟알을 떨어내며 부르던 노래이다. 타작이야소리는 영덕에서만 전승이 보고된 노래로 보리 타작을 하며 불렀다. 가창방식은 선후창으로 2마디짜리 전언가사에 “어허 타작이야”라는 디딤가사를 붙인다. 선창자는 가사를 통해 일을 지시하고 일꾼들을 독려하기도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인천 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3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인천 >미추홀구

    인천 남동구에서 소금밭을 써레질할 때 부르는 염전밭가는 소리
    인천광역시 남동구는 예전에는 변두리였으나 현재는 신개발 지역으로 인천의 중심권이다. 1980년대까지 전국 소금 생산량의 절반을 담당하는 곳이 남동구였다. 예전에 수인선(수원~인천) 철도는 소금을 날라서 ‘소금 열차’라 불리었다. 「염전밭가는 소리」는 인천광역시 남동구에서 전승되는 제염노동요로, 소금밭을 써레질하면서 염부들이 불렀던 노래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인천 >미추홀구

    두루메기배에서 새우젓독을 하역할 때 부르는 새우젓나르는소리
    인천을 비롯한 서해안에서는 새우를 잡아 젓갈을 만들었다. 두루미를 닮았다고 하여 두루메기배라고도 불리는 곳배를 타고 나가 밀물과 썰물에 떠밀려오는 새우를 잡아 배 안에서 젓갈독에 저장하고, 그 독을 내렸다. 그 과정에서 「두루메기젓잡이소리」를 불렀다. 「두루메기젓잡이소리」는 곳방석앉히는소리, 당그레질소리, 새우젓나르는소리로 나뉘는데, 그 중 「새우젓 나르는 소리」는 두루메기배에서 잡은 새우를 나르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젓동을 하역하면서 부르기 때문에 ‘젓동나르는소리’라고도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인천 >미추홀구

    배에서 쓰는 줄을 꼴 때 부르는 인천의 주대소리
    인천광역시는 한국 역사에서 근대 문화가 가장 먼저 들어온 곳이다. 더불어 무형문화재 전수회관을 비롯해 외포리곶창굿 전수교육관, 은율탈춤보존회 전수회관 등 다양한 전수회관을 두어 예술 문화 보존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주대소리」는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5호로 배에서 쓰는 줄을 꼴 때 부르는 소리로 나무타령. 자우소리, 줄놓는소리, 꼼새소리, 술래소리, 여사소리, 채짓는 소리, 사리소리 등 줄 꼬는 과정에 따라 8가지 소리가 등장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신안의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남 >신안군

    모를 찔 때 부르는 신안 임자도 조삼마을의 「무한들소리」
    전남 신안군 임자면 이흑암리 조삼마을에는 저수지가 있어 벼농사를 지었다. 조삼마을에서는 모찌기할 때 「무한들소리」를 부른다. 마을에선 「무한들소리」 하나로 하루 종일 불러야하는 단조로움을 극복하기 위해 가락의 빠르기를 달리하여 「긴소리」와 「잦은소리」로 구분해서 불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남 >신안군

    태풍을 피해 배를 뭍으로 옮기면서 부르는 가거도리의 「이오차소리」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리는 가거도에 있는 마을이다. 흑산도 끝자락, 우리나라 최서남단의 가거도는 섬 전체가 하나의 산으로 되어 있어 해안에서 가파르게 육지가 있다. 태풍이 치면 높은 파도에 시달려 지역민들이 가능한 배를 높은 곳으로 옮겨놓는다. 백사장과 같이 둔대질을 할 수 없어 배 한척에 100여명이 매달려 옮겨야 했고, 이렇게 지역민들이 배를 뭍으로 옮길 때면 호흡을 맞추기 위해 「이오차소리」를 부른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