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노동요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장수의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북 >장수군

    삼을 삼으면서 부르는 전북 장수 압곡마을의 「삼삼는소리」
    전라북도 장수군 계북면 매계리는 해발 400m의 산촌으로 매계(매골)·압곡·삵다리·장동 등의 자연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삼삼는소리」는 삼의 올실을 길게 이으면서 부르는 노래인데, 형식이나 노랫말이 정해져 있지 않은 까닭에 자신이 알고 있는 노래를 부르는 것이 보통이다. 하지만 실제 부른 노래는 시집살이의 어려움을 토로하는 내용의 노랫말이 중심을 이룬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화순의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남 >화순군

    목도를 하며 부르는 화순 회덕마을의 「허영차소리」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천덕리는 회덕마을과 천년마을의 자연마을이 있고, 지석천과 천지천이 흘렀다. 회덕마을에 큰 장마가 지면 천지천이 붕괴되어 넘치곤 했고, 그럴 때마다 제방을 다시 쌓았는데, 제방을 쌓기 위해 인근에서 커다란 바윗돌을 옮겨왔다. 이 바윗돌을 혼자서 들 수 없는 경우에 여러명이 목도질을 했다. 목도할 때 중요한 것은 발맞추기이다. 발맞추기 위해 회덕마을 주민들은 「허영차소리」를 부르며 큰 바윗돌을 옮겼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평창의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강원 >평창군

    강원도에서 아기 걸음마 할 때 불러주는 「풀무 소리」
    ‘풀미’는 ‘풀무’로 강원도 지방의 방언이다. 경상북도와 전라도에서는 ‘대장장이’를 ‘풀미쟁이’로 부르기도 한다. ‘풀무소리’는 아기가 앉거나 기어 다니게 되면서 걸음마를 시작할 때 불러주는 양육요로 전국적으로 비슷한 사설이 존재한다. 부르는 이에 따라, ‘풀무소리’에 등장하는 지역 이름에 차이를 보이기도 하고 ‘풀무소리와 둥게둥게소리’를 섞어 부르기도 하고 때로는 ‘풀무소리와 세상달강소리“를 섞어 부르기도 한다. 이처럼 양육요는 사설 간에 넘나듦이 자유로운 편이다. ’풀무소리‘는 아이의 다리에 힘을 길러주기 위한 양육요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평창군

    평창 미탄면에서 삼을 삼을 때 부르는「성님성님 사촌성님 소리」
    삼을 삼을 때 부르는 소리는 아라리, 다복녀, 창부타령, 종금종금 종금새야 등 다양하다. 강원도 평창군 미탄면 창리에서는「성님성님 사촌성님」, 「동무동무 일천동무」 등을 불렀다. 삼을 삼는 일은 혼자서도 하지만 두레를 조직해 부녀자들 여럿이 모여서 할 때가 많았다. 「성님성님 사촌성님」는 삼을 삼으면서 시집살이의 고달픔을 풀어내는 사설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철원 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강원 >철원군

    철원 김화읍에서 초벌매기를 하면서 부르는 덩어리 소리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도창리는 민간인 통제선(이하 민통선)과 맞닿아 있어 오염이 없는 청정지역으로 이름난 곡창지대이다. 주요 소득원이 되는 벼농사와 함께 농산노동요가 발달하였다. 「덩어리소리」는 농산노동요 중 논농사요이다. 논매기는 모두 세 번에 걸쳐 맸는데 「덩어리소리」는 호미로 초벌 논을 맬 때 불렀던 소리이다. 받는 소리가 “얼카뎅이”, “얼카덩어리” 등 “덩어리”로 구성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철원군

    철원 김화읍에서 모심기를 하며 부르는 하나소리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도창리는 민간인 통제선(이하 민통선)과 맞닿아 있어 오염이 없는 청정지역으로 이름난 곡창지대이다. 주요 소득원은 벼농사이다. 강원도 철원지역에서 전승되는 「하나소리」는 농산노동요 중 논농사요로 모를 심을 때 부르는 소리이다. 「하나소리」는 받는 소리에 “하나 하나 하나로구나”나 “여기도 하나 저기도 하나” 등 노랫말에 “하나”가 들어 있어 「하나소리」라고 부른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서천의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남 >서천군

    충남 서천의 볏단 나르며 부르는 어웨기소리
    충청남도 서천군에서는 「볏단나르는소리」로 어웨기소리를 불렀다. 「볏단나르는소리」는 볏단을 말리기 위해 논두렁으로 메고 가면서 불렀던 소리로 충남 지역에서는 「벼쳐내는소리」라고도 한다. 어웨기소리는 현재까지 충남 일부 지역에서만 확인이 된 노래이다. 4마디짜리 전언가사에, '허 허 허어허 허야 어 허어이 허 어' 또는 이와 비슷한 소리로 디딤가사를 붙인다. 가창방식은 선후창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청양의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남 >청양군

    충남 청양의 벼를 털며 부르는 왔나소리
    충청남도 청양군에서는 「벼터는소리」로 왔나소리를 부른다. 「벼터는소리」는 볏단을 개상, 탯돌, 나무 절구통 등에 내리쳐 알곡을 털어낼 때 부르는 소리로 주로 충남 서부 지역에서 왕성하게 불렸다. 그 중에서도 왔나소리가 가장 성하게 불린 노래이다. 왔나소리는 선후창으로 부르며, “왔나”라고 물으며 시작한다. 마지막 구절 “허어헤 허어어헤 허디어 나하헤”는 제창으로 부르며, 이 소리 후 볏단을 새 것으로 교체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괴산의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북 >괴산군

    충북 괴산의 물레질하며 부르는 노리개타령
    「물레질하는소리」는 물레를 돌려 누에고치나 솜에서 실을 뽑아내며 부르던 여성들의 노래이다. 충북 괴산에서는 「물레질하는소리」로 노리개타령과 병이났네소리를 불렀다. 이들 중 노리개타령은 노리개를 매개로 집안 사람들의 인물됨됨이를 풀어내는 노래이다. 특정 어휘를 반복해서 사설을 구성한다는 점에서 언어유희요 중 하나인 「어휘엮음하는소리」라고 할 수 있다. ‘노리개’라는 단어를 문장의 제일 뒤에 둠으로써 반복에 따른 리듬감을 자아내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장흥의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남 >장흥군

    이목구비를 다 칭찬하는 장흥 잣두마을의 「우리아기 잘도잔다」
    전라남도 장흥군 장흥읍 행원리는 해발 240m의 북민산 자락에 마을이 형성되어있는데, 행원리 잣두마을은 탐진강이 마을의 가장자리를 감싸듯이 지나고 있다. 자장가는 잠이 와서 울거나 보채는 아이를 재우면서 부른 노래이다. 이처럼 보채는 아이를 재우면서 부르는 노래라 하여 연구자들은 「아기재우는소리」라 한다. 사람이 사는 곳이라면 아이가 있고, 그래서 전국적으로 전승되는 노래인데, 「아기어르는소리」에서 아이가 잘 생겼다고 노랫말을 구성하는 경우는 많지만, 잣두마을처럼 이목구비를 모두 들먹이며 칭찬하는 가사는 흔치 않아 흥미롭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정선 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3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강원 >정선군

    정선에서 뗏목을 탈 때와 여울에서 꺼낼 때 부르는 아라리와 여어차 소리
    강원도 정선군 신동읍 운치리는 동강을 따라 형성된 마을이다. 동강 강물로 인해 물안개가 늘 산마루를 떠돌기 때문에 운치리라고 불렀다. 산판에서 벌목한 목재를 서울로 운반하기 위해서는 뗏목이 필요하다. 예전에는 뗏목이 중요한 운송 수단이었다. 떼를 타면서 부르는 소리는 「아라리」이다. 뗏목이 여울에 걸렸을 때 뗏목을 꺼내기 위해서는 구령이 필요한데 이때는 「여어차 소리」를 부른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정선군

    정선군 남면에서 벌목한 나무를 옮기면서 부르는 허영차 소리
    정선군의 목재 생산은 강원도 군내 수위를 차지한다. 높은 산으로 둘러싸인 지역이기 때문이다. 산판에서 벌목하고 목재를 운반하는 일을 목도질이라고 한다. 옮기는 나무의 무게와 크기에 따라 2명이 옮기는 2목도, 4명이 옮기는 4목도 등으로 올라가며 32목도도 가능하다. 목도소리는 목도꾼들이 구령에 맞추어 걸음을 옮길 수 있도록 부르는 소리이다. 목도소리는 「허영차 소리」 유형으로 전국적으로 단일화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정선군

    강원도 정선에서 억새밭을 일구면서 부르는 괭이소리
    강원도 정선군은 오일장과 아라리가 아직도 전승되고 있는 지역이다. 매 2일과 7일에 정선 오일장이 서며, 축제와 시장, 학교에서 정선아라리가 일상적으로 불린다. 정선읍 가수리에서 억새밭을 괭이로 일구며 부르던 노래가 「괭이소리」다. 「괭이소리」는 농산농사요 중 밭농사요로, 화전이나 황무지처럼 거친 밭을 일굴 때 부르는 소리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홍성의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남 >홍성군

    충남 홍성의 논가래질하며 부르는 가래소리
    충청남도 홍성에서는 「논가래질하는소리」로 가래소리를 부른다. 「논가래질하는소리」는 무너진 논둑을 새로 쌓기 위해 가래질을 할 때 부르는 소리다. 가래질은 여럿이 함께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서로의 호흡을 맞춰 동작을 일치시키는 것이 중요하고, 노동요를 통해 호흡을 맞춘다. 확인된 「논가래질하는소리」는 총 12종으로, 그중 가래소리는 남북한에 걸쳐 모두 분포하고 있다. 선후창으로 ‘어낭청 가래호’와 같이 ‘가래’를 핵심어로 한 후렴이 붙는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