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노동요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서귀포 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제주 >서귀포시

    갈치를 낚으면서 부르는 제주 삼달마을의 「갈치야소리」
    제주특별자치구 서귀포시 성산읍 삼달마을은 두모악·본지 등의 오름이 있으며 지역 대부분이 평평한 지대의 반농반어마을이다. 갈치를 낚으면서 부르는 소리인 「갈치야소리」는 노랫말에서 차이가 있지만 노래를 시작할 때 모두 ‘강남바다 갈치야’로 시작하는 특징이 있다. 「갈치야소리」 밤바다에서 낚싯줄을 드리우고 갈치를 기다리면서 부르는 노래인데, 갈치가 낚이기를 기다리는 지루함을 달래고 잠을 쫓기 위해 부르는 노래로 독창 또는 윤창으로 부른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제주 >서귀포시

    맷돌질하며 부르는 제주도 서귀포시 성읍마을의 「이여도하라소리」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리에는 성읍민속마을이 있다. 맷돌질은 제주도에서 많이 심는 보리나 조 등을 맷돌에 가는 것으로, 맷돌질을 할 때 노래를 부른다. 혼자서 할 때는 독창을, 둘이서 할 때는 매기는 소리와 받는 소리로 선후창을 한다. 「이여도하라소리」는 맷돌질을 할 때 부르는 선후창인데, 노랫가사는 맷돌질과 직접 관련된 내용보다 생활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남해군

    경남 남해의 나뭇짐 지며 부르는 술래소리
    경상남도 남해군에서는 「나뭇짐지는소리」로 술래소리를 불렀다. 「나뭇짐지는소리」는 산에서 나무를 베어 지게에 지고 돌아오며 부르는 노래이다. 현재까지는 총 14종의 노래가 전승 확인되었다. 술래소리는 경상남도 남해군에서만 확인된 「나뭇짐지는소리」이다. 2마디짜리 전언가사에 “어허 술래야”라는 디딤가사를 붙여 선후창으로 부른다. 함께 나뭇짐을 져서 내려오는 동료의 안전에 대한 염려, 일의 고단함, 작업의 독려와 같은 내용을 담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남해군

    경남 남해의 논매며 부르는 두헤소리
    경남 남해군에서는 논에 있는 잡풀을 뽑으면서 부르던 「논매는소리」로 두헤소리, 상사소리, 육자배기를 불렀다. 그 중 두헤소리는 남해군에서만 전승이 보고된 노래이다. 둥에소리, 두헤야소리로도 불린다. 가창방식은 선후창으로, 2마디짜리 전언가사에 “두헤” 또는 그와 비슷한 발음을 가진 단어를 넣은 디딤가사를 붙인다. 가사에는 신세타령, 작업지시, 농사일의 가치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부여의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남 >부여군

    낟가리를 쌓기 위해 볏단을 주고 받으며 부르는 충남 부여의 받어라소리
    충청남도 부여군에서는 「볏단쌓는소리」로 받어라소리를 불렀다. 「볏단쌓는소리」는 베어서 한 단씩 묶어놓은 볏단을 마당에 쌓아 올리면서 부르던 노래이다. 전국적으로 몇 곡 없으며, 받어라소리의 경우, 부여군에서 보고된 것이 현재까지는 유일하다. 가창방식은 교환창이나 마지막 부분에서는 제창으로 함께 부른다. 2마디짜리 전언가사에 “받어라”는 디딤가사를 붙여서 부른다. 이 노래는 작업자들끼리 낟가리를 쌓기 위해 볏단을 주고 받으며 불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남 >부여군

    충남 부여의 검불 날리며 부르는 솔비소리
    「검불날리는소리」는 벼를 털고 난 뒤 쭉정이나 마른 풀, 먼지 등 잡것들을 없애기 위해 타작을 마친 벼를 떠서 바람에 날릴 때 부르던 노래이다. 충남 부여군에서는 「검불날리는소리」로 솔비소리를 불렀다. 솔비소리는 부여군 부여읍과 세도면에서 전승이 보고된 노래이다. 2마디짜리 전언가사에 디딤가사인 “에 에헤여라 솔비야”를 붙여 주고 받으며 부른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김제의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북 >김제시

    집터를 다지면서 부르는 김제 궁지마을의 「상사소리」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 하서리에는 궁지·후남·남산마을 등의 자연마을이 있다. 김제에서는 모를 심을 때 「상사소리」를 부른다. 그래서 김제 궁지마을에서 터 다질 때 부르는 「상사소리」는 모심을 때 부르는 노래와 내용이 크게 다르지 않다. 터다지기는 보통 집터 다지는 것을 의미하는데, 집터를 다질 때는 일반적으로 낮의 일과를 모두 마치고 저녁에 울력으로 도와준다. 그러면 집주인은 안주와 술로 대접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정선 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3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강원 >정선군

    강원도 정선에서 뗏목을 탈 때 부르는 아라리와 뗏목을 여울에서 꺼낼 때 부르는 여어차 소리
    강원도 정선군 신동읍 운치리는 동강을 따라 형성된 마을이다. 동강 강물로 인해 물안개가 늘 산마루를 떠돌기 때문에 운치리라고 불렀다. 산판에서 벌목한 목재를 서울로 운반하기 위해서는 뗏목이 필요하다. 예전에는 뗏목이 중요한 운송 수단이었다. 떼를 타면서 부르는 소리는 「아라리」이다. 뗏목이 여울에 걸렸을 때 뗏목을 꺼내기 위해서는 구령이 필요한데 이때는 「여어차 소리」를 부른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정선군

    정선군 남면에서 벌목한 나무를 옮기면서 부르는 허영차 소리
    정선군의 목재 생산은 강원도 군내 수위를 차지한다. 높은 산으로 둘러싸인 지역이기 때문이다. 산판에서 벌목하고 목재를 운반하는 일을 목도질이라고 한다. 옮기는 나무의 무게와 크기에 따라 2명이 옮기는 2목도, 4명이 옮기는 4목도 등으로 올라가며 32목도도 가능하다. 목도소리는 목도꾼들이 구령에 맞추어 걸음을 옮길 수 있도록 부르는 소리이다. 목도소리는 「허영차 소리」 유형으로 전국적으로 단일화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정선군

    강원도 정선에서 억새밭을 일구면서 부르는 괭이소리
    강원도 정선군은 오일장과 아라리가 아직도 전승되고 있는 지역이다. 매 2일과 7일에 정선 오일장이 서며, 축제와 시장, 학교에서 정선아라리가 일상적으로 불린다. 정선읍 가수리에서 억새밭을 괭이로 일구며 부르던 노래가 「괭이소리」다. 「괭이소리」는 농산농사요 중 밭농사요로, 화전이나 황무지처럼 거친 밭을 일굴 때 부르는 소리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홍천 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강원 >홍천군

    강원도 홍천에서 집터 다질 때 부르는 「지경 소리」
    강원도 홍천군 북방면 중화계리에서 부르는 「지경소리」는 집터를 다지면서 부르는 소리이다. 대표적인 토건노동요로 건축요에 해당한다. 「지경소리」는 명당에 자리한 집터의 위치 설명, 집 짓는 과정, 집안이 잘 되기를 축원하는 과정, 지경을 다지는 일의 어려움 등의 노랫말로 구성된 선후창 방식의 민요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곡성의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남 >곡성군

    전남 곡성 죽산마을에서 삼을 삼으며 부르는 「삼삼는소리」
    전라남도 곡성군 석곡면 죽산리에는 ‘돌실나이’가 있다. ‘돌실나이’는 삼베를 짜는 일 또는 삼베를 잘 짜는 사람을 가리킨다. 죽산리는 예로부터 삼베 짜는 마을로 유명하여 1970년에 국가무형문화재 제32호로 지정되었다. 「삼삼는소리」는 모시나 삼의 올실을 길게 잇는 작업을 하면서 부르는 노래인데, 피곤함과 졸음을 이겨내기 위해 부른다. 삼삼기를 할 때 여럿이 모여서 이야기를 나누며 노래도 하면 삼 삼기는 한결 수월해진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여수의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남 >여수시

    전라남도 시도 무형문화재1호, 여수 서도리의 「거문도 뱃노래」
    전라남도 여수시 삼산면 서도리는 거문도와 가까이 있는 서도에 있는 마을이다. 흔히 알려진 「거문도 뱃노래」는 거문도 및 서도 일대에서 불리는 노래로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1호이며, 현재 삼산면 서도리에 뱃노래 전수관이 자리하고 있다. 「거문도 뱃노래」는 고기 잡으러 가기 전에 풍어를 빌면서 부르는 「고사소리」, 배 밧줄을 꼬면서 부르는 「술비소리」, 노를 저으면 부르는 「놋소리」, 그물을 당기면서 부르는 「올래소리」, 고기를 푸면서 부르는 「가래소리」, 만선으로 들어오면서 부르는 「썰소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김천의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북 >김천시

    경북 김천의 농업용수를 품으며 부르는 올라간다소리
    경상북도 김천시 농소면에서는 논에 물을 퍼올리며 부르던 「농업용수품는소리」로 올라간다소리가 확인되었다. 올라간다소리는 두 사람이 맞두레질을 하면서 부른 노래로, 1마디짜리 짧은 사설을 서로 번갈아 하는 교환창의 가창방식을 취한다. 사설 가운데에 “올라간다” “올라가네”라는 말이 흔하게 나타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횡성 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강원 >횡성군

    횡성 청일면에서 모를 찌면서 부르는 「한춤 소리」
    강원도 횡성군 청일면 초현리는 논보다는 밭이 많은 지역이다. 주민 대부분의 주된 소득원을 농작물 수확으로 얻는다. 초현리의 주요 농작물은 감자, 옥수수, 완두콩 등이다. 「한춤 소리」는 농산노동요 중 논농사요로 모를 찌면서 부르는 소리이다. 강원도에서는 「한춤 소리」를 할 때 농부들이 돌아가며 소리를 하는 윤창으로 부른다. 가사에 “한춤 묶었네”, “한춤 쪘네” 등의 표현이 들어간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