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노동요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부여의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남 >부여군

    낟가리를 쌓기 위해 볏단을 주고 받으며 부르는 충남 부여의 받어라소리
    충청남도 부여군에서는 「볏단쌓는소리」로 받어라소리를 불렀다. 「볏단쌓는소리」는 베어서 한 단씩 묶어놓은 볏단을 마당에 쌓아 올리면서 부르던 노래이다. 전국적으로 몇 곡 없으며, 받어라소리의 경우, 부여군에서 보고된 것이 현재까지는 유일하다. 가창방식은 교환창이나 마지막 부분에서는 제창으로 함께 부른다. 2마디짜리 전언가사에 “받어라”는 디딤가사를 붙여서 부른다. 이 노래는 작업자들끼리 낟가리를 쌓기 위해 볏단을 주고 받으며 불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남 >부여군

    충남 부여의 검불 날리며 부르는 솔비소리
    「검불날리는소리」는 벼를 털고 난 뒤 쭉정이나 마른 풀, 먼지 등 잡것들을 없애기 위해 타작을 마친 벼를 떠서 바람에 날릴 때 부르던 노래이다. 충남 부여군에서는 「검불날리는소리」로 솔비소리를 불렀다. 솔비소리는 부여군 부여읍과 세도면에서 전승이 보고된 노래이다. 2마디짜리 전언가사에 디딤가사인 “에 에헤여라 솔비야”를 붙여 주고 받으며 부른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담양의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남 >담양군

    나뭇짐을 지고 오면서 부르는 담양 용구마을의 「어이겨소리」
    전라남도 담양군 수북면 주평리 용구마을은 전형적인 농촌마을이다. 마을 앞으로는 수북천이 흐르고 마을 뒤로는 나지막한 동산이 자리하고 있다. 마을에는 나무할 곳이 마땅치 않아 이웃 마을의 산에 가서 해오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겨우내 땔나무를 준비할 때면 여러 명이 품앗이로 나무를 함께 하는데, 이때 주민들은 「어이겨소리」를 불렀다. 뒷소리를 한마디 짜리 후렴으로 구성하여 나무꾼들이 마치 행진하듯이 빠르고 경쾌한 걸음으로 걷도록 노래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동해 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강원 >동해시

    강원도 영동지방에서 삼을 삼을 때 부르는 「다복녀」
    옛날에는 옷을 전부 만들어 입었다. 삼베옷을 만들기 위해서는 삼나무를 쪄야 한다. 삼나무를 찐 후에는 삼나무 껍질을 벗긴다. 삼나무 껍질을 벗긴 후에는 더 고된 작업인 삼삼기가 남아있다. 삼삼는 일은 혼자 할 수 없는 협동작업이다. 가족끼리, 혹은 이웃 여자들과 함께 했다. 일이 시간이 더디고 힘들어 일하는 동안 삼삼는 소리를 했는데 강원도 영동지방에서는 「다복녀」 민요를 종종 부르곤 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동해시

    동해 천곡동에서 멸치를 퍼낼 때 부르는 「멸치 후리는 소리」
    강원도 영동지역은 동해안을 따라 멸치 떼가 많이 올라왔다. 예전에는 고성, 속초, 양양, 동해 등지에 멸치잡이 후릿배가 있었다. 멸치잡이를 할 때 부르는 소리가 양양과 동해에 전해져 온다. 멸치는 고기가 작아 낚시로는 잡을 수 없고, 일반 그물보다 촘촘한 후릿그물로 잡는다. 후릿그물로 멸치를 잡아 멸치를 육지에 털어 내면서 부르는 소리가 「멸치 터는 소리」, 「멸치 후리는 소리」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철원의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강원 >철원군

    철원 동송읍에서 터를 평평하게 가래질 하면서 부르는 「어허차소리」
    철원군 동송읍은 한탄강이 남북으로 흘러 경관이 아름다운 곳이다. 대부분이 평야지대이며 살기 좋은 이곳 동송읍의 주택 보급률은 110.8%이다. 집이나 건물을 지을 때 터를 균일하게 만들기 위해 여러 사람이 가래로 땅을 평평하게 고르는 작업을 한다. 이 때 부르는 소리를 터가래질 소리라고 한다.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상노리에서는 터가래질을 하면서 부르는 소리로 「어허차소리」가 전승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철원군

    철원 자등리에서 물레질하면서 부르는 「물레야 빙빙 돌아라 소리」
    강원도 철원군은 강원도 북서부에 위치하였다. 철원군에서 유일하게 휴전선을 접하지 않는 곳이 서면이다. 철원군 서면 자등리에서는 부녀자들이 일할 때 부르는 소리인 삼 삼는 소리, 물레질하는 소리 등이 전해진다. 시골 어디나 삼을 삼고 실을 잣고 무명을 만들어 내는 일은 부녀자들의 몫이었다. 물레질하면서 부르는 「물레야 빙빙 돌아라 소리」는 강원도 아리랑조에 맞춰 물레를 돌리면서 신세를 한탄하고 낭군님을 그리워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화천의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광양의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남 >광양시

    딸아이를 어르면서 부르는 광양 지곡마을의 「딸타령」
    전라남도 광양시 봉강면 지곡리는 해발 400m의 일자봉 산자락에 자리한 마을인데, 예전에는 지실이라 불렀다. 지실(紙室)은 마을에서 닥나무로 종이를 많이 만들었기에 붙여진 이름이다. 부모 입장에서 어느 자식이 귀엽지 않으랴! 그럼에도 늦둥이로 낳은 막내딸이 더욱 사랑스럽다. 이에 엄마는 아이가 자라기도 전에 시집갈 때 오동나무 장롱에 국화모양의 금속 장식을 해줄 테니 아프지 말고 건강하게 자라라고 노래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철원 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강원 >철원군

    철원 김화읍에서 초벌매기를 하면서 부르는 덩어리 소리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도창리는 민간인 통제선(이하 민통선)과 맞닿아 있어 오염이 없는 청정지역으로 이름난 곡창지대이다. 주요 소득원이 되는 벼농사와 함께 농산노동요가 발달하였다. 「덩어리소리」는 농산노동요 중 논농사요이다. 논매기는 모두 세 번에 걸쳐 맸는데 「덩어리소리」는 호미로 초벌 논을 맬 때 불렀던 소리이다. 받는 소리가 “얼카뎅이”, “얼카덩어리” 등 “덩어리”로 구성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철원군

    철원 김화읍에서 모심기를 하며 부르는 하나소리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도창리는 민간인 통제선(이하 민통선)과 맞닿아 있어 오염이 없는 청정지역으로 이름난 곡창지대이다. 주요 소득원은 벼농사이다. 강원도 철원지역에서 전승되는 「하나소리」는 농산노동요 중 논농사요로 모를 심을 때 부르는 소리이다. 「하나소리」는 받는 소리에 “하나 하나 하나로구나”나 “여기도 하나 저기도 하나” 등 노랫말에 “하나”가 들어 있어 「하나소리」라고 부른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당진 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남 >당진시

    죽가래질을 하며 부르는 충남 당진의 드림이호소리
    충남 당진시에서는 「검불날리는소리」로 드림이호소리를 불렀다. 「검불날리는소리」는 벼를 털고 난 뒤 쭉정이나 마른 풀, 먼지 등 잡것들을 없애기 위해 타작을 마친 벼를 떠서 바람에 날릴 때 부르던 노래이다. 2마디짜리 전언가사에 “에헤라 드림이호”라는 디딤가사를 붙여 선후창으로 부른다. 드림이호소리의 전승이 보고된 곳은 현재까지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면이 유일하다. 가사에는 작업을 독려하는 내용과 함께 일에 대한 자부심이 드러나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함안의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남 >함안군

    경남 함안의 보리타작하며 부르는 어화소리
    「밭작물도리깨질하는소리」는 밭작물 즉, 보리나 콩, 조, 밀 등의 이삭을 도리깨로 두드려 낟알을 떨어내며 부르던 노래이다. 함안에서는 「밭작물도리깨질하는소리」로 어화소리를 불렀다. 어화소리는 경상남북도와 전라북도, 충청남북도에서 널리 불렸다. 가창방식은 선후창으로 1마디 또는 2~3음절의 메기는소리, 즉 전언가사에 “어화” “에화” “어하” 등의 받는소리 즉 디딤가사를 붙였다. 상도리깨가 먼저 두드리면서 노래를 부르면 후도리깨가 한꺼번에 두드리며 일을 한다. 한 박에 도리깨를 들어올리고 다음 박에 내려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익산의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북 >익산시

    벼를 개상에 털면서 부르는 익산 석치마을의 「에헤야소리」
    전라북도 익산시 함열읍 석매리는 두라·석치·상지원·매교 등의 자연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석매리에는 용왕제·두리제 저수지가 있다. 「벼터는소리」는 전국적으로 여러 종류의 노래가 전승되고 있는데, 익산시 석치마을에는 개상질을 하면서 부르던 「에헤야소리」가 있다. 개상질은 볏단을 줄로 묶어서 옆 사람과 교대로 개상에 내리쳐 탈곡하는 방법이다. 짧은 시간에 두 사람이 교대로 내리치니 호흡이 가쁠 수밖에 없고, 노랫말 또한 제대로 구성하기가 쉽지 않아 상황에 따른 즉흥적 노랫말이 중심을 이룬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