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노동요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철원의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강원 >철원군

    철원 동송읍에서 터를 평평하게 가래질 하면서 부르는 「어허차소리」
    철원군 동송읍은 한탄강이 남북으로 흘러 경관이 아름다운 곳이다. 대부분이 평야지대이며 살기 좋은 이곳 동송읍의 주택 보급률은 110.8%이다. 집이나 건물을 지을 때 터를 균일하게 만들기 위해 여러 사람이 가래로 땅을 평평하게 고르는 작업을 한다. 이 때 부르는 소리를 터가래질 소리라고 한다.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상노리에서는 터가래질을 하면서 부르는 소리로 「어허차소리」가 전승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철원군

    철원 자등리에서 물레질하면서 부르는 「물레야 빙빙 돌아라 소리」
    강원도 철원군은 강원도 북서부에 위치하였다. 철원군에서 유일하게 휴전선을 접하지 않는 곳이 서면이다. 철원군 서면 자등리에서는 부녀자들이 일할 때 부르는 소리인 삼 삼는 소리, 물레질하는 소리 등이 전해진다. 시골 어디나 삼을 삼고 실을 잣고 무명을 만들어 내는 일은 부녀자들의 몫이었다. 물레질하면서 부르는 「물레야 빙빙 돌아라 소리」는 강원도 아리랑조에 맞춰 물레를 돌리면서 신세를 한탄하고 낭군님을 그리워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삼척 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3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강원 >삼척시

    강원도에서 아기 어를 때 부르는 「둥게둥게소리」
    ‘둥게’는 전라북도 방언으로 ‘둥우리’를 뜻한다. 「둥게둥게소리」는 전국적으로 불린다. 특히 서울, 경기, 강원 지역에서 더 많이 불린다.「둥게둥게소리」의 원래 기능은 아기를 어를 때 부르는 소리이나 「자장자장소리」에 섞어 부르기도 한다. ‘눈이 배꼽에 달렸다’해도 내 손주는 무엇과도 바꿀 수 없이 예쁘다는 가사의 양육요로 아기를 어르며 아기의 성장 발달에 도움을 주기 위한 동작(양육자가 일어서서 아기를 위로 높이 올렸다가 내렸다가 하는 동작)이 따른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삼척시

    강원도 삼척에서 통나무 끌어내리면서 부르는 황장목 끄는 소리
    강원도 삼척시는 조선시대 궁궐을 지을 때 사용하는 대표적인 소나무 ‘황장목’ 보호 지역이다. 삼척시에는 사금산의 황장목(黃腸木)을 보호하기 위해 ‘금표(禁標)’를 세우고 곳곳에 벌목을 금하는 지역이 많았다. 황장목은 금강송으로 수백 년 묵어 목질이 단단하고 누렇게 된 소나무이다. 조선시대 궁궐과 관청을 짓는 데 사용하였고, 왕의 관(널)을 만드는 데도 썼다. 「황장목 끄는 소리」는 임산노동요 중 원목생산요에 해당한다. 「황장목 끄는 소리」는 황장목을 끌면서 노동의 힘듦을 덜어내고자 부르는 소리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삼척시

    삼척 주지리에서 밭을 매면서 부르는 「미나리」
    강원도 삼척시 노곡면 주지리는 산촌이다. 「아라리」가 산촌의 여러 상황에서 두루 불린 것과 마찬가지로 「미나리」도 밭매는 소리, 논매는 소리, 모심는 소리 등 여러 용도로 불린다. 삼척시 노곡면 주지리에서 부르는 「미나리」는 강릉, 삼척 일대에서 밭을 맬 때 부르는 소리로, 후렴구가 없고 호흡이 길고 느리다. 사설 내용은 주로 시집살이의 고달픔과 돌아가신 친정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제주 >제주시

    해녀들이 노를 저으며 부르는 제주 함덕마을의 「이여도사나소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함덕리는 조천읍에서 가구 수 및 인구수가 가장 많은 리이다. 한때 제주도 최대의 멸치어장이 형성되던 곳이었다. 이곳 해녀들이 소라·전복·해삼·멍게·성게 등의 해산물 채취를 위해 바다로 나갈 때 노를 저으며 부르는 노래가 「이여도사나소리」이다. 이 노래의 가창방식은 마을 및 제보자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노랫말은 크게 다르지 않다. 살림의 어려움, 가족 간의 갈등을 이야기하다 용왕이나 서낭에게 물질 잘 되게 해달라고 마무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제주 >제주시

    맷돌로 곡식을 갈거나 쪼갤 때에 부르는 맷돌노래
    논이 드물고 밭이 대부분이었던 제주도에는 잡곡을 갈고 쪼개야할 일거리가 많았다. 이때 제주도 여인들이 불렀던 ‘맷돌노래’는 누가 부르냐에 따라 여성의 속사정과 사연이 달라지는 독창적인 민요였다. 제주 부녀자들의 삶과 일상생활을 백과사전처럼 담아낸 ‘맷돌노래’ 는 옹골진 삶을 의지로 개척해나간 강한 여성의 모습이 드러나 있는 제주민요이자 노동요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제주 >제주시

    밭을 매면서 부르는 제주 행원마을의 「사대소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행원리는 600여 년 전에 김해 김씨가 들어와 살면서 마을이 형성된 반농반어마을이다. 당근·마늘·콩 등을 많이 재배하고, 해산물로는 소라·우뭇가사리를 많이 채취한다. 「사대소리」는 밭을 맬 때 부르는 노래로, 2∼4명이 밭을 맬 때는 교환창이나 돌아가면서 한 마디씩 하는 윤창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 밭매기를 하면서 산천은 젊어지는데 우리네는 늙어만 간다고 얘기하며, 그래도 자식이 있으니 빨리 매고 내려가자고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인천 >강화군

    강화도에서 돈대와 봉수대터를 다지면서 부르는 「성터 다지는 소리」
    인천광역시 강화군 내가면 황청리에는 해안에 3개의 돈대(墩臺) 터와 외포리 북쪽에 봉수대의 터가 남아 있다. 강화도의 돈대는 외세의 침략을 막기 위해 쌓은 방위시설이다. 돈대와 봉수대 터 등을 쌓기 위해서는 터를 다져야 한다. 「성터 다지는 소리」는 소리는 노역꾼과 군인들이 돈대와 봉수대 터를 다지면서 부르던 소리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인천 >강화군

    조기를 운반하는 배를 노저으며 부르는 강화도의 시선뱃노래
    인천광역시 강화군 내가면 황청리는 서해와 인접해 있는 마을이다. 「시선뱃노래」는 연평바다에서 잡은 조기를 떼다가 운반하는 시선배에서 부르는 노래이다. 시선배는 한강을 거슬러 올라가 마포장까지 운항하였다. 「시선뱃노래」의 가사에는 강을 거슬러 가면서 만나는 한강 곳곳의 지명과 물 때가 나오며, 노를 저으면서 불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인천 >강화군

    조기잡이배에서 만선의 기쁨을 노래한 바디질 소리와 배치기 소리
    인천광역시 강화군 내가면 황청리에서는 조기를 운반한 시선배에서 부르는 노동요가 전승되어 온다. 「바디질 소리」는 조기를 그물로 된 바디로 퍼서 배에 실을 때 부르는 노래이다. 「배치기소리」는 고기를 잡아서 무사하게 돌아온 것을 자축하는 노래로 닻을 내리고 배에서 부르는 소리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화순의 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남 >화순군

    논김매기를 하면서 부르는 화순 신성리의 「산아지타령」
    전남 화순군 도곡면 신성리마을에는 고인돌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오래전에 마을이 형성되어 농사를 지었을 것이다. 신성리에서는 '초벌', '한벌', '군벌', '만드리' 등 서너 번 논김을 매는데, 이때는 특정한 노래만 선택해서 부르지 않고 「늦은방아타령」, 「된방아타령」, 「산아지타령」, 「세화자타령」, 「양산도」, 「매화타령」 등을 두루 섞어 부른다. 「산아지타령」은 전라남도 동부 산간지역의 대표적인 논매는소리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서천 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남 >서천군

    충남 서천군 마서면에서 검불 날리며 부르는 나비소리
    충남 서천군에서는 「검불날리는소리」로 나비소리를 불렀다. 「검불날리는소리」는 벼를 털고 난 뒤 쭉정이나 마른 풀, 먼지 등 잡것들을 없애기 위해 타작을 마친 벼를 떠서 바람에 날릴 때 부르던 노래이다. 나비소리는 2마디짜리 전언가사에 “어여라 나비여허”와 같은 디딤가사를 붙여 선후창으로 부른다. 충남 지역에서는 서천군에서만 전승이 확인된 노래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광양의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남 >광양시

    딸아이를 어르면서 부르는 광양 지곡마을의 「딸타령」
    전라남도 광양시 봉강면 지곡리는 해발 400m의 일자봉 산자락에 자리한 마을인데, 예전에는 지실이라 불렀다. 지실(紙室)은 마을에서 닥나무로 종이를 많이 만들었기에 붙여진 이름이다. 부모 입장에서 어느 자식이 귀엽지 않으랴! 그럼에도 늦둥이로 낳은 막내딸이 더욱 사랑스럽다. 이에 엄마는 아이가 자라기도 전에 시집갈 때 오동나무 장롱에 국화모양의 금속 장식을 해줄 테니 아프지 말고 건강하게 자라라고 노래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울산 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울산 >중구

    풀무질하며 부르는 울산광역시의 불매야소리
    「풀무질하는소리」는 대장간에서 풀무로 바람을 일으키며 부르는 소리이다. 전해지는 소리로는 8종류가 있다. 그 중 불매야소리는 울산광역시와 경북 청도에서 전승되었다. 가창방식은 선후창으로 2마디짜리 전언가사에, “어허루 불매야”, “오호호 불매야”와 같은 디딤가사를 붙인다. 가사의 내용은 풀무와 무쇠의 내력을 이야기한 후 부지런히 풀무질을 해서 농기구를 만들어 그 농기구로 농사를 열심히 지어 나라의 태평과 집안의 평화를 이루겠다는 것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울산 >울주군

    경남 울산의 아기 어르며 부르는 뚜둥뚜둥소리
    울산광역시에는 「아기어르는소리」로 뚜둥뚜둥소리를 불렀다. 「아기어르는소리」는 아기를 달래거나 놀아줄 때 아기를 즐겁게하기 위해 부르는 노래이다. 내용은 주로 아기에 대한 사랑과 기원을 담고 있다. 뚜둥뚜둥소리는 경산남도 울주군 서생면에서만 전승이 확인된 노래이다. 자유로운 사설에 “뚜둥뚜둥 뚜둥뚱”과 같은 구음을 필요에 따라 삽입하여 부른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철원 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강원 >철원군

    철원 김화읍에서 초벌매기를 하면서 부르는 덩어리 소리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도창리는 민간인 통제선(이하 민통선)과 맞닿아 있어 오염이 없는 청정지역으로 이름난 곡창지대이다. 주요 소득원이 되는 벼농사와 함께 농산노동요가 발달하였다. 「덩어리소리」는 농산노동요 중 논농사요이다. 논매기는 모두 세 번에 걸쳐 맸는데 「덩어리소리」는 호미로 초벌 논을 맬 때 불렀던 소리이다. 받는 소리가 “얼카뎅이”, “얼카덩어리” 등 “덩어리”로 구성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철원군

    철원 김화읍에서 모심기를 하며 부르는 하나소리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도창리는 민간인 통제선(이하 민통선)과 맞닿아 있어 오염이 없는 청정지역으로 이름난 곡창지대이다. 주요 소득원은 벼농사이다. 강원도 철원지역에서 전승되는 「하나소리」는 농산노동요 중 논농사요로 모를 심을 때 부르는 소리이다. 「하나소리」는 받는 소리에 “하나 하나 하나로구나”나 “여기도 하나 저기도 하나” 등 노랫말에 “하나”가 들어 있어 「하나소리」라고 부른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