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노동요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인기태그

#동해 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강원 >동해시

    강원도 영동지방에서 삼을 삼을 때 부르는 「다복녀」
    옛날에는 옷을 전부 만들어 입었다. 삼베옷을 만들기 위해서는 삼나무를 쪄야 한다. 삼나무를 찐 후에는 삼나무 껍질을 벗긴다. 삼나무 껍질을 벗긴 후에는 더 고된 작업인 삼삼기가 남아있다. 삼삼는 일은 혼자 할 수 없는 협동작업이다. 가족끼리, 혹은 이웃 여자들과 함께 했다. 일이 시간이 더디고 힘들어 일하는 동안 삼삼는 소리를 했는데 강원도 영동지방에서는 「다복녀」 민요를 종종 부르곤 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동해시

    동해 천곡동에서 멸치를 퍼낼 때 부르는 「멸치 후리는 소리」
    강원도 영동지역은 동해안을 따라 멸치 떼가 많이 올라왔다. 예전에는 고성, 속초, 양양, 동해 등지에 멸치잡이 후릿배가 있었다. 멸치잡이를 할 때 부르는 소리가 양양과 동해에 전해져 온다. 멸치는 고기가 작아 낚시로는 잡을 수 없고, 일반 그물보다 촘촘한 후릿그물로 잡는다. 후릿그물로 멸치를 잡아 멸치를 육지에 털어 내면서 부르는 소리가 「멸치 터는 소리」, 「멸치 후리는 소리」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해남의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남 >해남군

    노를 저으며 부르는 전남 해남 금호리의 「어야디야소리」
    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 금호리는 금호도 섬에 있는 마을이다. 금호리는 예전에 갯벌에서 낙지잡이, 김양식 등을 주로 했으나 지금은 금호방조제와 목포시까지 연결되는 관광레저로가 건설되어 간척지에 월동배추를 재배한다. 금호리에 전해오는 「어야디야소리」는 ‘일심전력으로 노를 저어 빨리 목적지에 가서 주낙을 놓기를 준비하라’는 평범한 내용으로, 큰 배를 저을 때 부르는 노래라기보다 작은 낚싯배를 저으며 부르는 노래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거제의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남 >거제시

    경남 거제의 그물 뜨며 부르는 어기야소리
    경상남도 거제시에서는 「그물뜨는소리」 어기야소리를 불렀다. 「그물뜨는소리」는 그물을 짜면서 부르던 노래이다. 해안 지방에서는 흔히 하는 작업임에도 「그물뜨는소리」로 현재까지 전승이 보고된 노래는 어기야소리가 유일하다. 어기야소리 또한 거제시에서만 확인이 되었다. 가창방식은 선후창이나 그물 뜨는 작업과의 관계가 명료하지 않다는 점에서 구연상황에 대한 자세한 연구가 필요하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횡성의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강원 >횡성군

    강원도에서 아기 어를 때 부르는 「세상달궁소리」
    양육자에 따라 ‘시상달궁’, ‘세상달궁’, ‘세상달강’으로 불리는 노래이다. 「세상달궁소리」는 아이를 어르거나 아기와 놀아 줄 때 부르는 보편적인 양육요로 전국적으로 다양한 노랫말이 전해진다. 기본적인 줄거리는 서울길로 가다가 얻은 밤 한 톨을 생쥐가 파먹었는데, 남은 밤톨 중 껍데기는 아기 부모에게 주고 가장 실한 알맹이 부분은 아기와 양육자인 조부모가 둘이 나눠 먹자는 재미있는 이야기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횡성군

    둔내오일장에서 부르는 엿 사시오 소리와 양미리 사요 소리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을 개최하면서 강원도 횡성군 둔내면에 둔내역이 생겼다. KTX로 수도권 거리가 1시간반 이내로 근접하여 많은 발전이 예상된다. 둔내에는 조선시대부터 지금까지 5일장이 선다. 5일, 10일, 15일, 20일, 25일, 30일에 장이 서는데, 두원리에서 부르던 「엿 사시오 소리」와 「양미리 사요」 소리는 둔내장에서 부르던 소리이다. 「엿 사시오 소리」와 「양미리 사요」 소리는 물건을 사라고 권유하는 호객요에 해당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예산의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남 >예산군

    충남 예산의 시추관 박으며 부르는 요이소로다소리
    충청남도 예산군에서는 「시추관박는소리」로 요이소로다소리를 불렀다. 「시추관박는소리」는 지하자원을 찾기 위해 땅속 깊이 시추관을 박으며 부르는 노래로, 전국적으로 보고된 바가 매우 드물다. 현재까지 확인된 「시추관박는소리」로는 어여라차소리와 예산에서만 보고된 요이소로다소리가 있다. 요이소로다소리는 금광에서 6~8명이 둘러서서 시추관을 박으며 부른 노래로 “고로가 산이냐 /요여 산아 /요이또 솔아 /요이 소로다 / 고로가 망께 / 요여 망께 / 요이또 솔아 / 요이소로다”라는 가사를 빠른 2박으로 반복해서 부른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남 >예산군

    충남 예산의 약 팔며 부르는 머리나면두종소리
    충청남도 예산군에서는 「약파는소리」로 머리나면두종소리가 전승되었다. 「약파는소리」는 근대에 생겨난 노래로 장터와 같이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에서 사람들의 주목을 끌어 약을 팔기 위한 목적으로 부른다. 머리나면두종소리는 “머리나면 두종”, “머리나면 두창”과 같이 시작한다. 신체 각 부위의 병을 나열한 뒤 약의 효험을 제시하며 약을 사도록 권유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노래를 부르기 전 말로 너스레를 떨어 분위기를 흥겹게 만든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화순의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남 >화순군

    목도를 하며 부르는 화순 회덕마을의 「허영차소리」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천덕리는 회덕마을과 천년마을의 자연마을이 있고, 지석천과 천지천이 흘렀다. 회덕마을에 큰 장마가 지면 천지천이 붕괴되어 넘치곤 했고, 그럴 때마다 제방을 다시 쌓았는데, 제방을 쌓기 위해 인근에서 커다란 바윗돌을 옮겨왔다. 이 바윗돌을 혼자서 들 수 없는 경우에 여러명이 목도질을 했다. 목도할 때 중요한 것은 발맞추기이다. 발맞추기 위해 회덕마을 주민들은 「허영차소리」를 부르며 큰 바윗돌을 옮겼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성주 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북 >성주군

    경북 성주의 맞두레질 노래, 옹헤야넘어간다소리
    경상북도 성주군 용암면에서는 논에 물을 퍼올리며 부르던 「농업용수품는소리」로 옹헤야넘어간다소리가 확인되었다. 옹헤야넘어간다소리는 두 사람이 맞두레질을 하면서 불렀다. 가창방식은 선후창으로 2마디짜리 전언가사에 디딤가사 즉 받는소리에 “옹헤야 넘어가네”를 붙인다. 이때의 소리는 맞두레에 물을 퍼 올리는 동작상의 호흡을 맞추어줄 뿐만 아니라 단순하고 반복적이라 단조로워질 수 있는 맞두레질에 흥을 돋우어주는 기능도 담당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영주의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북 >영주시

    경북 영주의 우마차 끌며 부르는 이랴소리
    경북 영주시에서는 「우마차끄는소리」로 이랴소리를 불렀다. 「우마차끄는소리」는 소나 말이 끄는 달구지를 몰고 가며 부르는 노래이다. 전승지역이 한정적인 귀한 소리인데다, 주로 논밭 갈 때 부르는 이랴소리를 우마차끄는 소리로 전승한 곳은 영주가 유일하다. 이랴소리는 자유로운 리듬에 소를 몰기 위해 재촉하는 내용과 함께 자신의 정서를 드러내는 내용을 담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익산의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북 >익산시

    벼를 개상에 털면서 부르는 익산 석치마을의 「에헤야소리」
    전라북도 익산시 함열읍 석매리는 두라·석치·상지원·매교 등의 자연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석매리에는 용왕제·두리제 저수지가 있다. 「벼터는소리」는 전국적으로 여러 종류의 노래가 전승되고 있는데, 익산시 석치마을에는 개상질을 하면서 부르던 「에헤야소리」가 있다. 개상질은 볏단을 줄로 묶어서 옆 사람과 교대로 개상에 내리쳐 탈곡하는 방법이다. 짧은 시간에 두 사람이 교대로 내리치니 호흡이 가쁠 수밖에 없고, 노랫말 또한 제대로 구성하기가 쉽지 않아 상황에 따른 즉흥적 노랫말이 중심을 이룬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철원의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강원 >철원군

    철원 동송읍에서 터를 평평하게 가래질 하면서 부르는 「어허차소리」
    철원군 동송읍은 한탄강이 남북으로 흘러 경관이 아름다운 곳이다. 대부분이 평야지대이며 살기 좋은 이곳 동송읍의 주택 보급률은 110.8%이다. 집이나 건물을 지을 때 터를 균일하게 만들기 위해 여러 사람이 가래로 땅을 평평하게 고르는 작업을 한다. 이 때 부르는 소리를 터가래질 소리라고 한다.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상노리에서는 터가래질을 하면서 부르는 소리로 「어허차소리」가 전승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철원군

    철원 자등리에서 물레질하면서 부르는 「물레야 빙빙 돌아라 소리」
    강원도 철원군은 강원도 북서부에 위치하였다. 철원군에서 유일하게 휴전선을 접하지 않는 곳이 서면이다. 철원군 서면 자등리에서는 부녀자들이 일할 때 부르는 소리인 삼 삼는 소리, 물레질하는 소리 등이 전해진다. 시골 어디나 삼을 삼고 실을 잣고 무명을 만들어 내는 일은 부녀자들의 몫이었다. 물레질하면서 부르는 「물레야 빙빙 돌아라 소리」는 강원도 아리랑조에 맞춰 물레를 돌리면서 신세를 한탄하고 낭군님을 그리워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