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대전 마을이야기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대전 >중구

    대전 무수동 산신제
    대전광역시 무수동 산신제는 이곳을 집성촌으로 삼고 있는 안동 권씨와 관련이 깊다. 신앙의 대상은 마을 뒤쪽에 있는 운람산이다. 시대 변화에 따라 산신제는 폐지 위기를 맞기도 했으나 동계와 무수동산신제보존회를 통해 전승되고 있다. 산제당이 무너진 탓에 현재 산신제는 제당이 있었던 자리에서 지낸다. 제의 준비는 날짜 선정, 유사 선출, 제수용품 마련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제의는 유교식이며 제의 당일 자정 가까운 시각에 시작된다. 무수동의 마을제의로는 산신제 외에도 거리제가 있었는데, 양반 가문인 안동 권씨가 중심인 산신제와는 달리 거리제는 누구나 참여가능한 마을 잔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대구 >서구

    도적들이 많아 사람들이 반 밖에 넘지 못하는 대구 반고개
    ‘반고개’는 대구광역시 서구 내당동에 있는 고개 명칭이다. 그런데 이 고개는 ‘밤고개’, ‘방고개’, ‘바람고개’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고개는 하나인데 이처럼 여러 이름과 지명유래를 갖고 있는 지명의 경우 전국적으로 살펴도 그리 많지 않다. 지명은 보통 2∼4자 정도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반고개’, ‘밤고개’, ‘방고개’, ‘바람고개’ 등은 음가(音價)에 차이가 있으나 잘못 말하는 와음(訛音)에 의해 잘못 듣는 오청(誤聽)이 더해져 하나의 고개가 여러 이름으로 불리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대전 >대덕구

    '우리 것'에 대한 자긍심이 가득한 장동 산디마을 탑제
    산디마을은 풍수지리학상 벌집 형국이어서 입구를 좁혀야 이롭다는 말에 따라, 산디마을 사람들은 마을 어귀에 숲거리를 만들고 숲거리 양쪽에는 액운을 막아주길 기원하며 할아버지탑과 할머니탑을 세웠다. 산디마을에서는 매년 음력 1월 14일 저녁, 대풍과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탑제를 지낸다. 탑제는 분향, 초헌, 아헌, 종헌, 소지 순으로 할아버지 탑제를 먼저 지내고 할머니 탑제를 지낸다. 특히 마을과 마을 주민들의 건강과 안녕을 기원하는 소지는 산디마을 탑제의 핵심적인 절차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