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돌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첫돌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아이의 첫 생일, 돌
    아이의 첫 번째 생일을 ‘돌’이라고 한다. 과거에는 태어나 1년이 되기 전에 죽는 아이들이 많아서 돌의 통과의례적인 의미가 컸다. 처음으로 맞이하는 생일에 예쁜 돌복을 입히고, 음식을 풍성히 차려 잔치를 했다. 잔치 중에는 아이의 장래를 예측해보는 돌잡이도 했고, 이웃들에게 돌떡을 돌리기도 했다. 현재에도 돌은 중요한 의미가 있으며, 돌잔치 문화도 전승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맷돌로 혼인 시험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북 >충주시

    남매가 결혼한 이야기
    「남매가 결혼한 이야기」는 인류가 멸망하여 완전히 없어질 것을 걱정한 남매가 하늘의 뜻을 물어 혼인하게 되었다는 이야기이다. 남매가 혼인하는 계기는 각기 다른 산봉우리에 올라가 피운 연기가 하나로 합쳐지거나, 산 아래로 굴린 암수 맷돌이 서로 합쳐졌기 때문이다. 종족 보존이라는 대의명분을 통해 우리나라에서 금기시했던 남매의 혼인이 이루어진다. 남매간의 근친혼을 하늘의 뜻에 따라 이루어진 것으로 합리화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돌잡이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아이의 첫 생일, 돌
    아이의 첫 번째 생일을 ‘돌’이라고 한다. 과거에는 태어나 1년이 되기 전에 죽는 아이들이 많아서 돌의 통과의례적인 의미가 컸다. 처음으로 맞이하는 생일에 예쁜 돌복을 입히고, 음식을 풍성히 차려 잔치를 했다. 잔치 중에는 아이의 장래를 예측해보는 돌잡이도 했고, 이웃들에게 돌떡을 돌리기도 했다. 현재에도 돌은 중요한 의미가 있으며, 돌잔치 문화도 전승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천 명의 글씨가 담긴 천인천자문
    천인천자문(千人千字文)은 태어난 아이가 건강하고 똑똑하게 자라기를 기원하며 천 명이 한 글자씩 적어 만든 천자문 책이다. 집안에 아이가 태어나면 아버지가 천 명의 지인을 일일이 찾아다니며 한 글자씩 받아 만든다. 따라서 모든 글씨의 필체가 다르며, 글씨 옆에는 자신의 이름을 적었다. 천명의 지혜가 아이에게 전달되기를 바라는 마음이 담겨 있다. 천인천자문은 아이의 돌잡이 상에 올라가고, 아이가 돌잡이에서 천인천자문을 잡으면 과거급제를 한다고 믿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충청북도 선돌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북 >제천시

    7개의 돌을 쌓아 만든 제천 입석리 선돌
    제천 입석리 선돌은 충청북도 제천시 송학면 입석리 665-3에 위치하고 있다. 입석리라는 지명은 마을 입구에 선돌이 세워져 있다고 붙여진 것이다. 입석리 선돌은 7개의 돌을 쌓아 만든 형태를 하고 있으며, 길에서 돌을 던져 선돌에 올라가면 아이를 낳을 수 있다는 기자신앙이 전해지고 있다. 이 선돌은 마고할미들이 힘자랑 승부내기를 하면서 던진 돌이라는 전설이 전해진다. 입석리 주민들은 1974년부터 ‘선돌회’를 조직하여 선돌을 보호·보존하고 있으며, 매년 음력 10월에 입석리 선돌제를 지내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돌로 쌓은성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남 >김해시

    꾸준히 우리나라를 지켜온 김해 분산성
    낙동강 하류의 넓은 평야를 한눈에 볼 수 있는 해발 330m의 분산의 정상에 둘레 약 900m에 걸쳐 돌로 쌓은 테뫼식 산성이다. 처음 쌓은 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나, 삼국시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전기에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박위(朴蔿)가 수리하여 쌓은 뒤, 임진왜란 때 무너진 것을 1871년(고종 8)에 다시 쌓아 오늘에 이르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차례나 동제를 지내며 노는 명절 백중놀이
    백중놀이는 음력 7월 15일에 여름철 농사일을 정리하면서 햇곡식과 햇과일로 조상에 천신하고 농사짓는 모든 사람들이 하루 먹고 마시고 노는 것을 말한다. 백중은 백종, 중원, 망혼일, 우란분절 등으로 불린다. 또한 백가지 곡식의 씨앗이라는 뜻으로 이 무렵에는 여러 과일과 채소가 많이 나오는 시기임을 말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고성군

    이순신의 수군들이 들었다는 경남 고성군 좌부천 마을의 들돌
    경남 고성군 동해면 좌부천마을에는 임진왜란이 일어났던 시기, 이순신 장군의 수군이 머무르며 들돌들기를 했다는 들돌이 느티나무 아래에 놓여 있다. 들돌들기란 예전에 남자들이 무거운 돌을 들어 올려 힘을 겨루던 놀이를 말한다. 지방에 따라 들돌을 들독 · 등돌 · 진쇠돌 · 당산돌 · 신돌 · 차돌백이돌이라고도 하고, 이 들돌 때문에 마을의 명칭이 거석거리 · 들돌거리 · 거석마을인 곳도 있다. 좌부천 마을의 들돌이 여럿 있었으나 현재는 어른 머리 크기 정도의 들돌이 민속자료로 남아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어른이 되어 내는 음식과 술, 진세턱
    일반적으로 16~20세가 된 사람들이 노동력을 인정받기 위해 마을에 있는 들돌을 들어올린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한 명의 어른으로 인정을 받고 축하를 받으면 음식과 술을 대접한다. 이를 진세턱이라고 한다. 충청도에서는 꽁배술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바쁜 농사일이 마무리되는 7월 칠석이나 백중에 이루어진다. 주로 논농사가 많이 이루어지는 남부지역에서 이루어졌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기 >양주시

    옥정지구 택지개발로 선돌근린공원으로 옮겨진 양주옥정리선돌
    양주옥정리선돌은 경기도 양주시 옥정동 616번지 선돌근린공원 내에 있다. 옥정동이라는 지명은 옥동리의 ’구슬 옥(玉)‘자와 냉정리의 ’우물 정(井)‘자에서 차용한 것이다. 옥정리 선돌은 옥정리 입구 구릉 하단부에 두 개의 선돌이 마주보고 있었다. 선돌은 납작한 사각형 돌에 끝이 뾰족한 기둥의 형태이다. 옥정리에는 옥정리 선돌 외에도 청동기 시대의 옥정리 지석묘, 원삼국 시대의 옥정리 유물산포지 2곳, 삼국시대의 옥정리 야철지와 독바위 보루성, 조선시대의 윤근수 사당 등이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기 >용인시

    거꾸로 선 칼 같은 검바위, 경기도 용인시 창리 선돌
    창리선돌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창리 487번지에 있다. 창리라는 마을이름은 마을에 창고가 있었다는데서 유래하였다. 용인시에는 포곡면 유운리, 원삼면 사암리․두창리, 남사면 창리 등에 선돌이 있다. 창리선돌은 긴 검을 거꾸로 세워놓은 것처럼 생겼다고 하여 마을사람들은 ’검바위‘라 부른다. 창리선돌은 마을주민들의 숭배대상이며, 선돌이 쓰러지면 마을에 재앙이 찾아온다고 믿고 있다. 창리에선 매년 정월 14일에 산신제를 지내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기 >여주시

    태조 이성계가 사위에게 준 땅을 표시하는 여주 처리 선돌
    처리선돌은 경기도 여주시 점동면 처리 산 88-6번지에 있는 ㈜도봉콘크리트공장에 있다. 처리는 호랑이가 소 여물을 쑨 가마솥에서 자고 갔다고 해서 붙은 지명이다. 처리 선돌의 위치를 보아 마을의 숭배 대상이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처리 선돌에는 태조 이성계가 사위에게 준 땅의 경계를 표시하기 위해 세웠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처리에서는 매년 음력 정월 보름이 되면 마을 뒷산인 소무산에서 산신제를 지내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돌솥밥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차문화 대신 숭늉문화
    숭늉은 쇠나 돌로 밥을 하는 솥에 물을 붓고 끓여 만드는 음료이다. 솥을 씻기 위해 반드시 눌어붙은 밥을 끓여야 했으므로, 전기밥솥이 보급되기 전 모든 한국인들은 숭늉을 먹었다고 할 수 있다. 숭늉은 솥에 물을 붓고 끓이므로 위생에도 좋았다. 한국에 차문화가 부족했지만 숭늉이 이러한 부족을 해소해 주었다. 오늘날 전기밥솥이 많이 보급되면서 숭늉은 흔하게 먹지 못하게 되었다. 숭늉차가 나오거나 커피, 보리차, 둥굴레차 등이 숭늉의 자리를 대체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고인돌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 지역문화 Pick (1건)
자세히보기
  • 창원의 고인돌

    출처 :경상남도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경남 >창원시

    창원의 고인돌
    창원의 3개 구에 산재한 고인돌의 현황조사와 함께 사진 자료를 담은 책이다. 경남 창원 지역에는 2005년 조사 당시, 31개소 68기의 고인돌(청동기시대 지도층의 무덤)이 분포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제대로 보존 및 관리되지 않았었다. 이에 창원 지역의 선사 유적을 보호하고 정비하고자 책을 발간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테마스토리 인천 >강화군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고인돌 강화 부근리 고인돌
    부근리 고인돌은 인천광역시 강화군 하점면에 있는 청동기시대 만들어진 된 북방식 고인돌로, 재질은 화강암이다. 부근리 고인돌은 중부지방에서 보기 힘든 탁자식(卓子式)이면서 우리나라에 있는 고인돌 가운데 가장 큰 규모 중 하나이고 1964년 사적 제137호로 지정되었다. 부근리 고인돌을 비롯한 강화도 고인돌 유적은 고창·화순과 함께 2000년 11월 29일 유네스코(UNESCO)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