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떡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오래된 떡집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관심지역 서울 >종로구

    궁궐떡에서 서민떡으로, 종로구의 낙원떡집
    낙원떡집은 1912년경 고이뻐가 낙원시장에서 떡을 파는 것에서부터 시작되었다. 1910년 경술국치를 당하면서 궁궐의 수라간 나인들이 궁 밖으로 쫓겨나면서 출궁된 궁녀들이 민간과 교류하게 되었다. 고이뻐는 출궁 궁녀중 한사람인 원서동 상궁에게서 궁중떡을 배웠다. 6·25전쟁으로 충청도 피난 중에도 떡을 팔아 생계를 유지했다. 1956년 낙원시장에 가게를 냈다. 1961년 고이뻐가 사망하면서 고이뻐의 4녀인 김인동이 가게를 이었다. 1980년 김인동의 딸인 이광순이 대를 이었고, 지금은 아들인 김승모 2004년부터 대를 이어가는 가게이다. 낙원떡집은 떡집 중에서는 유일하게 2013년 서울특별시 미래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기 >용인시

    용인중앙시장의 역사와 함께 한 1호 떡 가게, '용인떡집'
    용인떡집은 조선 후기 용인현의 주요 장시(場市) 가운데 한 곳이었던 ‘김량장’의 전통을 계승한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김량장동의 ‘용인중앙시장’의 제1호 떡집이다. 용인떡집은 1980년 떡 만드는 기술자인 김상석 씨와 부인 홍금자 씨 부부가 용인중앙시장에 문을 연 이래 40년 넘게 한 자리를 고수한 오래된 가게이다. 특히 김상석 씨는 가게에서 일하였던 여러 직원에게 떡 만드는 기술을 아무런 조건 없이 전수하여 독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선행을 베풀기도 하였다. 현재는 아들 김충헌 씨가 2대째 가업을 계승할 준비를 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기 >동두천시

    “갈빗살이 팔팔팔 살아있을 때 살을 발라, 정성으로 구워야 제맛”
    동두천역은 경기도에 위치하며 서울과 북한 원산을 잇고 있는 곳이다. 6.25 전에는 우시장이 자리하고 있었다고 한다. 현재는 우시장이 남아있지 않지만 떡갈비 식당만이 자리를 지키며 과거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경기, 서울지방을 중심으로 떡갈비는 지역마다 다양한 조리법을 가지고 있다. 30년이나 지났지만 동두천만의 떡갈비 맛을 보존하기 위해 한결같은 조리법을 유지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광주 >광산구

    떡갈비의 변신은 무죄? 송정 떡갈비
    떡갈비는 왕실 사람들이 섭취하기 편하게 소고기를 잘게 다져서 양념하여 구워 먹는 궁중음식이었다. 전라도 지방에는 610여 년 전 담양에 유배된 사대부가 떡갈비를 전하였고, 경기 지방에는 1910년을 전후하여 궁궐에서 방출된 나인들이 떡갈비를 전하였다. 송정 떡갈비는 1950년대에 궁중 떡갈비를 서민의 음식으로 발전시킨 광주광역시 광산구의 향토음식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떡판

연관자료

  • 지역문화 Pick (1건)
자세히보기
  • 태안 디지털 융합 향토민속관 사업 (떡판)

    출처 :충청남도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충남 >태안군

    태안 디지털 융합 향토민속관 사업 (떡판)
    태안의 전통 소금 생산방식인 자염과 관련된 자료를 모아 구축한 '디지털 융합 향토민속관'이다. 자염 관련 도구와 지역 주민의 기증 유물, 기타 향토사료 이미지와 영상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본 영상에서는 유물 기증자가 기증한 유물과 기증하게 된 배경을 이야기한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테마스토리 전국

    설날하면? 뭐니 뭐니 해도 역시 떡국!
    떡국은 새해 첫날인 설에 먹는 전통음식으로 흰 가래떡을 썰어서 쇠고기나 꿩고기, 닭고기로 맛을 낸 맑은 장국에 넣고 끓여 만든다. 새해 첫날의 밝음의 의미로 흰 떡을 사용하고 떡을 길게 늘여 가래로 뽑는 것은 재산이 늘어나기를 바라는 의미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북한

    눈사람 닮은 조랭이떡국
    조랭이떡국은 새해 아침 한해의 안녕을 기원하면서 누에고치 모양으로 떡을 만들어 장국에 넣고 끓인 개성지방의 향토 음식이다. 조랭이란 가운데가 잘록한 모양이 마치 조롱박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한편 조랭이떡국은 조롱박 모양을 했다고 해서 귀신을 물리치는 의미가 있다고 전해진다. 조롱박은 두드리면 소리가 나서 귀신을 쫓고 입구가 좁아 귀신이 들어가면 나올 수 없다고 믿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조상님께 새해인사를 드리는 설 차례
    차례는 달이나 계절, 해가 바뀌어 새로운 계절이 찾아왔음을 조상에게 알리면서 계절음식과 명절음식을 올리는 의례다. 설 차례는 설날에 올리는 차례로 새해를 맞아 조상님께 인사를 올린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제물로 떡국이 올라가서 떡국 차례라고 부르기도 하고, 정조다례라고 부르기도 한다. 명절차례가 대부분 사라졌지만 설 차례만은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언감자송편

    출처 :한국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강원 >평창군

    언감자송편
    평창군 도사리에 사는 김봉자 요리 도사님의 밥상, 언감자송편 레시피를 촬영한 영상. 평창 자연밥상을 차린 요리명인 5인의 삶과 요리 이야기를 담은 콘텐츠.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화전민 밥상에서 올림픽 밥상까지 평창의 자연밥상

    출처 :한국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강원 >평창군

    화전민 밥상에서 올림픽 밥상까지 평창의 자연밥상
    산에 불을 놓아 농사를 지어 먹던 화전민들이 세계의 축제 동계올림픽을 성공적으로 치른 먹거리 비법, 평창의 자연밥상을 소개하는 콘텐츠. 먹을 것이 풍족하지 않던 시절 먹던 ‘언감자송편’, ‘메밀국죽’, ‘칡기정‘에서부터 동계 올림픽동안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은 ‘황태버거’, ‘솔잎고등어구이’까지 요리레시피와 요리에 얽힌 이야기를 담은 책자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테마스토리 충북

    앙증맞고 노오란 호박송편
    추석 명절에 먹는 가장 대표적인 떡인 송편은 지역에 따라 들어가는 재료, 모양 등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다양한 채소를 잘 활용하는 충청도에서는 추석이면 호박송편을 만든다. 호박송편은 썰어 말렸던 가을 호박을 빻아서 가루로 만들어 사용하거나 찐 호박을 으깨어 멥쌀가루와 섞어서 피를 만든다. 모양 역시 호박의 모양을 따서 만들어 앙증맞고 귀엽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낙원동 떡골목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관심지역 서울 >종로구

    우리 고유의 행사음식, 떡과 낙원동 떡골목
    떡은 우리나라에서 옛날부터 명절이나 생일 등 특별한 날 만드는 음식이자, 간식으로 흔히 먹던 음식이다. 일제강점기 출판된 요리책에도 다양한 떡 요리법이 있다. 해방 이후 쌀이 부족해지면서 떡문화는 위축되었다. 그래도 명절이나 관혼상제에 떡이 있어야 했으므로 서울 등 도시에는 떡집이 생겼다. 떡과 관련된 유명한 서울거리는 종로구 낙원동의 떡골목이다. 과거에는 이 일대에는 모두 30여개의 떡집이 몰려 있어 문전성시를 이루었으나 지금은 10여개의 업소만이 남아있다. 이 10여개의 떡집들은 길게는 3대, 짧게는 30년 이상 운영해오고 있는 집이다. 낙원동에 떡집이 생긴 것은 한일합방 후 궁궐을 나온 궁중 나인들이 창덕궁과 가까운 이곳에 떡집을 차렸기 때문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관심지역 서울 >종로구

    근대 서민의 술안주, 빈대떡
    조선시대 빈대떡은 녹두를 불려 간 반죽을 밤이나 팥에 꿀에 말은 소를 안에 넣고 부친 음식이었다. 일제강점기 빈대떡은 대표적인 술안주가 되었는데 양념을 털어낸 김치, 되재고기 채썬 것, 각종 채소를 녹두반죽위에 올려놓고 돼지기름을 바른 철판에 구워내는 요리가 되었다. 이렇게 만든 빈대떡은 값싸고 맛있는 최고의 술안주가 되어 선술집의 단골메뉴가 되었다. 남편에게 버림받고 자식을 부양해야 하는 여성들이 빈대떡을 안주로 선술집을 운영하기도 하였다. 현대는 녹두값이 많이 올라 빈대떡은 더 이상 서민의 음식이 아니게 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기장떡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밥과 떡을 만드는 기장
    기장은 조와 비슷하게 생겼으나 냉해에 강하고 산지에 잘 자라 강원도 경상북도에서 많이 재배한 작물로 찰기장과 메기장으로 나뉜다. 알갱이는 조보다는 조금 더 굵어 주식으로 이용하기에도 적합하지 않고 수확량도 적은 편이다. 그래서 주식에 적합하지 않아 현재는 재배량이 줄었으며 찰기장으로 떡을 해 먹고 밥에도 섞어 먹는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떡매

연관자료

  • 지역문화 Pick (1건)
자세히보기
  • 태안 디지털 융합 향토민속관 사업 (떡매, 돌)

    출처 :충청남도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충남 >태안군

    태안 디지털 융합 향토민속관 사업 (떡매, 돌)
    태안의 전통 소금 생산방식인 자염과 관련된 자료를 모아 구축한 '디지털 융합 향토민속관'이다. 자염 관련 도구와 지역 주민의 기증 유물, 기타 향토사료 이미지와 영상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본 영상에서는 유물 기증자가 기증한 유물과 기증하게 된 배경을 이야기한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수수떡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남 >무안군

    전라도의 출생의례
    출생의례는 새로운 생명을 가지는 것을 기원하거나 태어난 생명을 무탈하게 키워내기 위하여 행하는 각종 의례를 말한다. 기자속을 전라도에서는 지앙맞이라고 한다. 그렇게 아이를 가지면 태몽이나 산모의 상태를 통해서 성별을 예측해보기도 했다. 산모는 몸가짐과 마음가짐을 주의하고 먹는 것부터 행동까지 주의했다. 산실을 마련하고 삼신상을 차린다. 대문에는 삼칠일간 금줄을 걸어둔다. 금줄을 걷어내고 나면 아이와 산모는 첫 나들이로 친정집에 간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