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박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서울 >중구

    한국의 외교권을 박탈한 을사늑약
    한국 보호국화를 일찍부터 거론하고 있던 일본은 1905년 들어 러일전쟁에서 승세가 굳어지자 이토 히로부미를 파견하여 보호늑약 체결을 추진하도록 하였다. 고종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을사늑약은 강제로 체결되었고, 한국은 외교권을 박탈당하고 통감부가 설치되어 일본의 간접적인 통치하에 들어가게 되었다. 그러자 국권침탈에 분노한 의병들도 다시 봉기하여 의병항쟁을 전개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양산시

    경상남도 양산 지방의 여름철 보양식, 애호박죽
    애호박죽은 물에 불린 멥쌀에 애호박과 바지락살을 넣고 장국에 끓인 죽으로 경상남도 양산시의 향토음식이다. 양산의 애호박죽은 바지락조개의 조갯살을 이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경상남도 양산시가 낙동강 하류에 위치하였을 뿐만 아니라 예로부터 조개나 멸치 등 해산물을 구하기 쉬웠던 지리적 조건이 작용한 것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관심지역 경북 >안동시

    궁중음식이 궁궐 담을 넘어 경상도로 내려오다, 호박선
    호박선은 칼집을 내어 데쳐낸 애호박에 볶은 소고기와 각종 버섯, 당근, 계란지단 등을 넣어 만든 경상도 지방의 향토음식이다. 선은 소고기, 닭고기, 민어, 광어, 버섯 등의 고급재료를 사용하고 만드는 방법도 손이 많이 가는 고급음식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반남박씨

연관자료

  • 지역문화 Pick (7건)
자세히보기
  • 뿌리공원 성씨비 (반남박씨,후면비문)

    출처 :대전광역시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대전 >중구

    뿌리공원 성씨비 (반남박씨,후면비문)
    전국 유일의 '효' 테마공원인 대전 뿌리공원의 사진이다. 자신의 뿌리를 알 수 있는 성씨별 조형물과 공원시설 등을 갖춘 체험학습 교육장이다. 성씨비에는 각 성씨와 성과 본관, 유래 등을 표기하고 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뿌리공원 성씨비 (반남박씨,전면비문)

    출처 :대전광역시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대전 >중구

    뿌리공원 성씨비 (반남박씨,전면비문)
    전국 유일의 '효' 테마공원인 대전 뿌리공원의 사진이다. 자신의 뿌리를 알 수 있는 성씨별 조형물과 공원시설 등을 갖춘 체험학습 교육장이다. 성씨비에는 각 성씨와 성과 본관, 유래 등을 표기하고 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뿌리공원 성씨비 (반남박씨,우측면)

    출처 :대전광역시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대전 >중구

    뿌리공원 성씨비 (반남박씨,우측면)
    전국 유일의 '효' 테마공원인 대전 뿌리공원의 사진이다. 자신의 뿌리를 알 수 있는 성씨별 조형물과 공원시설 등을 갖춘 체험학습 교육장이다. 성씨비에는 각 성씨와 성과 본관, 유래 등을 표기하고 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박세무

연관자료

  • 지역문화 Pick (2건)
자세히보기
  • 괴산인물열전 서봉 김사달

    출처 :충청북도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충북 >괴산군

    괴산인물열전 서봉 김사달
    충북 괴산의 대표적인 역사 인물 중 5명(김사달, 이문건, 김시만, 김홍도, 박세무)을 선정하여, 각 인물별 생애와 관련 유적지, 유물의 사진을 청소년이 알기 쉽도록 정리한 책자이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괴산인물열전 전자책

    출처 :충청북도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충북 >괴산군

    괴산인물열전 전자책
    충북 괴산의 대표적인 역사 인물 5명(김사달, 이문건, 김시만, 김홍도, 박세무) 중 김사달 박사에 대한 다큐멘터리이다. 근현대에 교사, 의사, 서예가, 수필가, 보건 행정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며 이름을 날린 김사달 박사에 관해 알아보고 그의 흔적이 담긴 역사적 장소를 찾아본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동북 3박

연관자료

  • 지역문화 Pick (1건)
자세히보기
  • 절골마을 이야기지도

    출처 :광주광역시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광주 >서구

    절골마을 이야기지도
    광주시 서구 일대의 위인들과 관련 유적지의 숨겨진 이야기를 소개하는 관광지도이다. '절골'이란 절이 골짜기에 있는 마을을 뜻한다. 정조가 조선 최고의 시인으로 상찬한 시인 눌재(訥齋) 박상(朴祥, 1473-1530)의 고향인 서창동 절골마을을 중심으로 광주시 서구 일대의 위인들과 관련 유적지의 숨겨진 이야기를 소개한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박달재 옛길 걷기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북 >제천시

    경상도 총각과 충청도 처녀의 사랑을 간직한 박달재 옛길
    박달재는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면과 백운면 사이에 있는 고개로 제천과 충주를 연결하던 옛길이다. 박달재는 충청도 제천에서 한양으로 가던 관리들이 이용하던 길이었으며, 장사꾼들이 넘나들던 길이다. 경상도 총각 박달과 충청도 처녀 금봉이의 애닲은 사랑 이야기가 전해지는 박달재 옛길은 길도 험하고 산짐승에 도적 떼까지 많아 옛날에는 박달재 너머로 시집가면 다시는 친정을 구경하기 힘들어 새색시들이 눈물을 쏟으며 넘었다고 한다. 2000년 12월에 박달재터널이 완전히 개통되면서 구불구불한 박달재를 넘을 일이 많지 않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정해박해

연관자료

  • 지역문화 Pick (1건)
자세히보기
  • 정해박해와 조선천주교

    출처 :한국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전남 >곡성군

    정해박해와 조선천주교
    남쪽의 작은 고을 곡성이 품고 있는 정해박해의 현장을 찾아 순교의 역사를 생생히 담은 다큐멘터리. 정해박해가 갖는 역사적 위상을 재조명하고, 순교의 정신을 기리는 콘텐츠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씨없는 수박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부산 >동래구

    식량난을 해결하는데 기여한 우장춘
    일본에서 육종학 연구를 시작하여 해방 후 채소와 볍씨의 품종개량에 힘썼던 식물학자 및 육종학자. 1916년 도쿄제국대학 농과대학을 졸업하고 일본 농림성 농사시험장에 취직하여 육종학 연구를 시작했다. 「종의 합성」이라는 논문으로 1936년 도쿄제국대학 농학박사학위를 받은 후 다키이종묘회사 연구농장장으로 초빙되어 1945년 사임할 때까지 연구는 물론 『원예와 육종』을 발행하는 등 육종의 과학화를 위해 노력했다. 해방 후 귀국하여 1950년 한국농업과학연구소 초대소장으로 취임하고 후진 양성에 힘썼다. 씨없는 수박을 소개하여 널리 알려졌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