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산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충남 >예산군

    예덕상무사의 보부상
    예덕상무사는 충청남도 예산과 덕산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보부상단을 관리하던 기관으로 현재는 덕산면사무소 뒤편에 전시관과 사우가 남아있다. 전시관과 사우는 1970년대 당시 접장을 맡았던 윤규상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1976년 5월 21일 중요민속자료 제30호로 지정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남 >예산군

    보부상들의 도량형으로도 쓰였던 예산 효교리 매향비
    충청남도 예산군 봉산면 예덕로 321-13 번지에는 예산 효교리 매향비가 있다. 매향은 대표적인 불교 신앙 활동으로, 석가모니불 이후 중생을 구제할 미래의 부처인 미륵불의 용화회(龍華會)에 사용할 향나무를 묻어두는 행위를 말한다. 예산 효교리 매향비는 조성 연대를 추정할 수 있는 암각문과 지역적 특성이 반영된 일화 등이 함께 전하고 있다는 점에서 사료적 가치가 높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남 >예산군

    백제부흥군이 당군과 싸운 전적지 예산산성
    예산산성은 충청남도 기념물 제30호로 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 산성리의 서쪽에 있는 무한천변의 넓은 평야에 솟아 있는 해발 50m의 무한산에 흙으로 쌓은 토성이다. 예산은 태안반도를 통해 내륙으로 이어지는 교통의 요지에 위치하고 있으면 무한천변의 너른 평지를 품고 있다. 따라서 예산산성은 백제시대에 축성되어 조선시대까지 사용되었고 예산의 치소이며 방어지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여산대호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강원 >횡성군

    삼정승 육판서 명당
    가난한 아이가 부모님이 돌아가시자 임시로 매장을 한다. 훈장이 ‘삼정승 육판서가 날 명당자리’를 잡아주며, 아이에게 장가간 첫날밤에 호환에 갈 것이라고 한다. 아이는 자신은 호환에 가도 상관없으니 그곳에 부모의 묘를 쓰겠다고 한다. 아이가 장가간 첫날밤에 여산대호가 나타나 물고 간다. 아이는 독수리 덕에 살아나고 나무꾼들의 보살핌으로 목숨을 건진다. 아이가 20년 만에 고향에 돌아왔더니 신부가 세쌍둥이를 출산하고 그 아들들이 삼정승이 되어 있었다는 이야기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원주시

    동악제를 계승한 강원도 원주시 치악산제
    강원도 원주시에서 매년 10월 동악단에서 여는 종합축제를 치악산제라고 한다. 치악산은 조선시대 때 명산의 하나로 여겨져 소사를 지냈던 곳이다. 치악산제는 조선초 치악산에 동악단을 쌓은 후 조정에서 원주 부근의 7개 고을에 봄, 가을에 향과 함께 축문을 보내왔다. 그러면 7개 고을의 수령들이 모두 모여서 산신제를 지냈던 것이 동악제의 기원인데, 조선말에 중단되었다. 이후 1981년 원주치악제위원회에서 원주치악제로 다시 계승되었다. 2005년부터는 강원감영제로 제의명이 변경되어 매년 10월에 지내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환인현 파리전자 취리두 남산마을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기 >포천시

    ‘국립수목원산림박물관’, 광릉 숲 원시림의 세계를 탐험해 보자!
    국립수목원산림박물관[이하 산림박물관]은 산이 많은 포천에서 숲을 주제로 1999년에 문을 연 박물관이다. 조선시대 포천은 나라에서 쓸 나무를 기르는 지역이었고, 사냥과 활쏘기 장소기도 했다. 또 세조가 자신의 무덤[광릉]을 남양주시로 정하면서, 왕릉 주변의 숲을 포천의 지역주민들이 관리한 적도 있었다. 숲이 울창하고 아름다운 포천. 1987년 포천에 ‘광릉수목원’이 설립된 것과 이곳이 2010년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된 것은 우연의 일이 아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인천 >강화군

    오랑캐의 침입에 죽음을 택한 순절자들의 배향, 강화도 충렬사
    강화도의 충렬사는 병자호란 당시 척화정신으로 죽음을 선택한 39인을 배향하는 사우이다. 물살이 거세 적군이 들어올 수 없다는 철옹성이라 여기던 강화도에 청나라군이 들이닥치자 도성의 수많은 사람이 스스로 목숨을 거두었다. 오랑캐 여진족에게 굴복하기보다 자결로 절의를 지키고자 한 것이었다. 김상용을 포함해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순절하는 사람들이 줄을 이었다. 충렬사에 배향된 인물들 외에도 자결한 자들이 수도 없이 많았다고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인천 >강화군

    수많은 외국과의 전투가 이루어진 강화산성
    이 산성은 몽고의 침입으로 서울을 개경에서 강화로 1232년 6월 천도하면서 축성한 내·중·외 3성중 내성에 해당하는 것이다. 내성은 주위 약 1,200m로 지금의 강화성이다.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강화성에는 봉림대군을 위시한 빈궁들과 일부 신하들이 들어갔다. 그러나 청군은 1637년 1월 각도의 근왕병을 패전시키고, 1월22일 홍이포를 쏘면서 강화성을 유린하였다. 조선 후기 병인양요·신미양요와 일본 침략에 의한 강화조약을 체결한 수많은 외세침략의 역사적인 현장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군산의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북 >군산시

    벼를 베면서 부르는 군산 금광마을의 「어사용」
    전라북도 군산시 회현면 금광리는 만경강가에 있는 마을로 금광리 남쪽에는 만경강 유역의 충적 평야와 해안 간척 평야가 펼쳐져 있다. 벼베는 소리는 논농사 관련 노동요 중 몇몇 지역에서만 전승되는 흔하지 않은 노동요이다. 금광마을에서 부르는 베 벼는 소리인 「어사용」은 윤창, 곧 돌림노래 형식으로 불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북 >군산시

    집 나간 영감과 손녀딸을 찾는 전북 군산 안정마을의 「어사용」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 보덕리는 내덕·덕곡·외덕·안정·초산·분토·덕봉마을 등의 여러 자연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보덕리에서 나무하러갈 때면 마을의 대초산과 금성산을 비롯하여 옆 마을인 고봉산을 다녔다. 이 노래는 산에 나무하러 가면서 혹은 나무를 하면서 부르기 때문에 「산타령」, 노랫말에 “구야 구야 구야 구야 아아/ 지리산 가리 갈가마구야”와 같이 ‘갈가마귀’ 있으므로 「갈가마귀타령」, 노랫말에 “아이고 딸아딸아 우리 딸 봉덱이 어디루 갔나/ 설흔아홉살 먹은 과부가 스물아홉살 먹은 딸을 읽구 어디루 갈까”와 같이 ‘봉덕이’가 구성되어있으므로 「봉덕이타령」 등으로도 불린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거칠산국

연관자료

  • 지역문화 Pick (1건)
자세히보기
  • 거칠산국의 주검, 죽음 부산에 거칠산국이 있었다

    출처 :부산광역시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부산 >연제구

    거칠산국의 주검, 죽음 부산에 거칠산국이 있었다
    2017년 3월 국가사적 지정이 예고된 삼국 시대 거대 고분군을 홍보하는 책자. 부산시 연제구의 가야 유적지인 연산동 고분군과 배산성지에서 출토된 유물에 대한 설명과 관련 역사에 기반한 소설 '거칠산국의 주검, 죽음-부산에 거칠산국이 있었다'를 수록했다. 거칠산국(居漆山國)은 현 부산 동래에 위치했던 가야국의 부족국가를 칭한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산지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북 >청송군

    주왕산의 이야기를 모은 경북 청송 주왕산지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상의리에는 주왕산이라는 유명한 산이 있다. 조선 후기 청송군 출신의 학자 서원모는 주왕산과 관련된 기록들을 모아 『주왕산지』라는 책을 만들었다. 『주왕산지』에는 주왕 설화, 유람 기록, 시, 주왕산 관련 지명 등이 수록되어 있다. 주왕산이라는 명칭에 대하여 당나라 때 스스로를 주왕이라 일컫고 장안을 공격했던 인물 주왕에 얽힌 이야기가 전해진다. 2009년에는 한글로 번역된 『주왕산지』(청송군)가 출간되어 일반인들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난산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난산을 예방하는 주술적 믿음, 안산법(安産法)
    과거에는 의료 시설이 부족하여 출산 과정에서 유감 주술적인 의식이 자주 이루어졌다. 안산법(安産法)은 아이와 산모가 모두 건강하길 바라는 마음을 담아, 난산을 예방하기 위해 행했던 주술적인 행위들을 일컫는다. 삼신에게 순산을 기원하거나 아이를 잘 낳기 위해 미끄러운 성질의 음식을 먹거나 순산한 집의 속옷이나 허리띠를 차는 등의 행위를 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