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신안의 샘과 우물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전남 >신안군

    바위 틈으로 흘러나오는 이슬같은, 암태도의 노만사 돌틈샘
    전라남도 신안군 암태면 수곡리에 있는 돌틈샘은 돌틈에서 물이 난다. 돌틈샘은 승봉산(355.5m)이라는 큰 산어귀에 있는 노만사(露滿寺)라는 절 옆에 있다. 샘의 크기는 높이 2m, 너비 1m가량 되는 돌틈에서 흘러내리는 샘이다. 샘의 바닥에 고인 물이 40~50cm가량 되며, 물은 가물거나 장마가 져도 한결같이 같은 양이 나온다. 물이 흘러내리는 벽면은 파란 이끼가 덮여 있는데 또 다른 운치를 낸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남 >신안군

    최익현의 혼이 서린 흑산도 유배지의 서당샘
    흑산도 서당샘은 면암 최익현(崔益鉉)이 살던 집에서 흘러나오던 샘이다. 최익현은 1876년(고종13) 1월 22일 화친하자는 제의를 물리치는 척화(斥和) 상소를 올렸다가 가거도로 유배를 당했다. 그는 가거도에 흉년이 들어 잠시 흑산도에 갔다가 흑산도 사람들의 만류로 흑산도에 머무르게 되었다. 흑산도에서 최익현은 작은 초가를 짓고, 일신당이라는 서당을 열어 학생들을 가르쳤다. 이때 최익현이 머물던 초가의 담벼락에서 흘러나오는 물을 사람들은 서당샘이라 불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남 >신안군

    노랫소리 맑게 하는 장산도의 옛샘, 향음정
    전라남도 신안군 장산면 다수리 대성산 자락에 있는 향음정은 농부들의 배고픔과 갈등을 해결해 주던 우물이다. 오음산, 배미산, 대성산, 비둘기산, 부학산 등의 산이 길게 이어져 있다고 해서 긴 장(長)자에 뫼 산(山)을 써서 장산도라 하였다. 산이 많기에 샘이 좋은 것은 당연하다. 농토가 넓고, 산이 있고, 샘이 있어 이미 고려 때부터 무역상들이 거쳐 가던 유명한 섬이 장산도이다. 또한 들노래를 부르며 힘든 농사를 이어 나갔던 장산도 주민들의 역사를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우물이 향음정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