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지역먹거리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강원 >강릉시

    약용으로 효험이 탁월한 강릉 갯방풍
    강릉의 갯방풍은 강릉 해안가에 자생하던 방풍나물이다. 예전에는 해안가에 이곳저곳 방풍나물이 많아서 봄 되면 강릉 사람들의 식탁에 올라 인기를 누렸다. 그러나 해안가의 모래 침식과 개발 및 사람들이 뿌리째 뽑아가는 통에 갯방풍이 멸종위기에 처했다. 이에 강릉의 농가와 농업기술센터에서 이를 보전하고 상품화하고자 하여 시험 재배했고, 재배에 성공하여 널리 확산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삼척시

    한겨울을 견뎌 맛을 더한 삼척 고포미역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원덕읍 월천2리의 고포마을에는 자연산 미역 채취로 유명한 마을이다. 1680년경 난을 피해 할머니가 아기를 업고 배를 구해 마을을 떠나려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살아서 할미 고(姑)자에 개 포(浦)자를 쓰는 고포마을 명칭이 생겼다. 이 지역에서 나는 미역은 고려 때부터 진상품으로 쓰였고, 품질이 뛰어나 지금까지도 특산물로 인정받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고성군

    달고 아삭아삭한 맛 고성 참다래
    경상남도 고성군 하일면 송천리는 참다래 마을로 유명하다. 이 지역에는 처음 약 20농가 정도가 참다래를 시작해서 꾸준히 농가도 늘고 참다래의 맛을 유지해 그 명성을 이어오고 있다. 이 참다래는 우리나라와 중국이 원산지로 알려져 있는데, 뉴질랜드에서 씨를 가져가서 새롭게 개발해서 키위라는 이름으로 불렀다. 키위라는 이름은 뉴질랜드의 나라 새 키위푸르트와 닮았기 때문이었다. 이를 다시 역 수입해서 우리 고유의 명칭 다래에 ‘참’자를 넣어 참다래라 명하고, 재배해서 성공하였다. 이제는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참다래가 전국적으로 유통되고 있으며, 우리 고유의 다래 과일로 자리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