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진천 가볼만한곳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충북 >진천군

    모자(母子)가 한날한시에 순국한 진천군 광혜원의 3.1만세운동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의 3.1운동은 대한제국 장교 출신으로 의병 활동을 하던 윤병한의 주도로 1919년 4월 2일과 3일 양일에 걸쳐 전개되었다. 광혜원의 만승장(萬升場)이 서는 4월 3일에는 장터에 모인 600여 명의 주민이 헌병주재소를 습격하는 등 격렬하게 시위하다가 진천 헌병대에서 지원 나온 병력의 무자비한 진압으로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특히 이날 순국자 가운데는 박도철과 그의 모친이 적의 총격을 받아 3.1만세 시위 중 모자가 순국한 유일한 사례가 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북 >진천군

    평생을 부모봉양에 힘쓴 효자, 김덕숭
    김덕숭은 관직에 나가 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 등 여러 벼슬을 역임하다가 고향으로 돌아와 부모님을 모시는 데 온 힘을 다했다. 부모님이 돌아가셨을 때 정성을 다해 시묘살이를 하였다. 김덕숭의 효행을 들은 세종이 감동하여 벼슬과 술, 고기를 하사하고, 김덕숭이 세상을 떠난 후 정려 건립과 삼강행실도에 기록을 명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북 >진천군

    철비 중 유일하게 비신과 비두가 따로 주조된 현감 이원명 선정 거사비
    현감 이원명 선정 거사비는 충북 진천군 향토역사관내로 이전된 비석군 중 하나이다. 철비 전면에는 현감 이공원명 선정거사비(縣監 李公源明善政去思碑)가 양각으로 새겨져 있고, 우측으로는 숭정후 사을사십월일입(崇禎後四乙巳十月日立)이라는 건립 시기를 기록했다. 1845년 거사비가 세워졌음을 알 수 있다. 현존하는 철비 가운데 유일하게 비신과 가첨석인 비두를 별도로 주조하여 붙였는데, 비두와 비신 사이에 길이 1㎝ 정도의 쇳덩이를 눌러 붙여 고정했다. 아마도 완전히 굳기 전의 철 덩이를 사용해 용접한 것으로 보인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