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탑제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대전 >대덕구

    다시 돌아온 부수동 느티나무 목신제
    대전광역시 대덕구 부수동은 지금은 대청호에 잠긴 수몰 마을이다. 옛 부수골 입구에는 도랑을 가운데 두고 양쪽에 탑이 자리하고 있었으며, 부수골에서는 마을의 안녕을 위해 매년 음력 1월 14일 탑제를 지내왔었다. 수몰 후 흩어진 부수동 사람들이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바탕으로 현재 부수동 산3번지에 있는 느티나무에서 목신제를 지내기로 하였다. 옛 부수골 탑제에 비하면 목신제 규모는 작지만 부수동 사람들이 고향 땅에 모여 부수골 민속을 잇는다는데 의미가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북 >옥천군

    산신제의 중단에도 지속되는 탑제, 옥천 자모리 윗자모실 탑제
    충북 옥천군 자모리에서는 음력 1월 3일에 아래자모실과 윗자모실이 함께 산제를 지내고 이후 음력 1월 14일에 각각 따로 탑제를 지냈다. 자모리의 마을신앙은 상하당의 구조였음을 알 수 있다. 자모리에서 산신제를 지낼 때 각 가정마다 ‘맞산제’를 올렸는데, 이것은 산신의 가호가 집안에 미치기를 바라는 민간의 심성을 반영한 것이다. 현재는 윗자모실에서 지내는 탑제만이 남아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남 >공주시

    탑할머니를 모시게 된 흥미로운 전설이 전하는 공주 공암리 탑제
    공주시 공암리는 공암굴에서 유래한 지명이다. 공암리는 이천서씨의 집성촌으로 충현서원이 있는 유서 깊은 마을이다. 공암리에서 언제부터 탑제를 지내게 되었는지 정확한 연원을 알 수는 없다. 다만, 공암리에서는 탑과 선돌을 마을을 수호하는 신으로 여기고 치성을 드리고 있다. 탑할머니의 내력에 관해 흥미로운 전설(보살 전설)이 전승되고 있다. 이것은 공암리 탑이 무속과 관련되었음을 짐작케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