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해남 가볼만한곳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전남 >해남군

    해막 개맥이는 이동형으로 특별했다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 묵동리에서는 1960년대 후반까지 개를 막아 고기를 잡았다. 개를 막는 그물이라 하여 ‘개맥이’, ‘개막이’라 불렀다. 조수간만의 차이를 이용해 고기를 잡는 어법으로, 보통은 고정형 그물을 사용하지만, 해남에서는 갯고랑을 옮겨 다니며 고기를 잡도록 고안된 이동식 그물이었다. 봄과 가을에 사리 때에 고기를 잡는데, 10월에는 집집마다 시제를 지내야 하므로 고기값을 좋게 쳐줘서, 이 즈음에 어로활동을 본격적으로 했다. 추위가 오면 고기가 깊은 곳으로 가므로, 그 이전에 힘을 다해 고기를 잡았다. 1960년대 후반에 동력선이 보급되면서 중단되었는데, 당시 배에서 오랜 기간 동안을 생활해야 했기에 뱃고사가 발달했다. 갯가에 모여 돼지를 잡아 용왕님께 무사안일을 빌었다. 지금은 사라진 묵동리 개맥이는 조수간만의 차이를 이용한 전통어업으로, 비록 짧은 기간동안 사용되었지만 지역민의 자연에 대한 인식이 투영된 어구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남 >해남군

    백두대간이 남으로 흘러 최남단에 멈춘 곳에 지은 해남 대흥사
    전라남도 해남군 두륜산에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인 대흥사가 있다. 통일신라 삼층석탑이 응진당 앞에 있어 창건의 시기를 신라시대로 볼 수 있다. 1607년 해남에서 의병을 모은 서산대사에 의해 숭유억불의 압제에도 많은 승려를 배출하였다. 특히 선교양종(禪敎兩宗)의 대도량으로 일신하여 현재에 이른다. 대부분의 유물이 조선 후기의 것으로 대표적인 불상으로 천불상이 있다. 2009년에는 사적으로 지정되었으며, 2018년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7곳 중 하나로 등재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남 >해남군

    국토최남단에서 새해를 맞이하는 '땅끝해넘이해맞이 축제'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갈두리의 땅끝마을은 한반도의 최서남단으로, 삐죽하게 바다로 내민 땅끝에서 해넘이와 해맞이를 동시에 할 수 있다. 땅끝전망대 및 땅끝탑은 국토의 끝이자 한반도의 땅끝이므로 한 해를 보내고, 새로운 해를 맞이하는 최적의 장소로 손꼽힌다. 땅끝마을은 한 해를 보내는 해넘이와 새해를 보내는 해맞이 축제를 통해 희망찬 새해를 맞이하고자 축제를 벌인다. 해를 보며 기올리기, 달집태우기, 소원탑쌓기, 소원띠, 해맞이제 등을 통해 한 해를 의미 있게 시작할 수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