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치성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경기 >의정부시

    2036년까지 제관을 선정한 의정부 하금오리 꽃동네 산치성
    경기도 의정부시 하금오리에서는 매년 음력 10월 1일에 산치성을 드린다. 하금오리에서는 산치성을 드리기 3일 전에 제관을 선출하는데, 2036년까지 해당년도에 무슨 띠에 해당하는 사람이 제관이 되어야 한다는 장부를 비치하고 있다. 하금오리에서는 제의 당일 주민들 중에서 산치성에 참석할 사람을 모집하고, 제사비용은 참석한 사람이 공동으로 분담한다. 제비를 부담한 사람에게는 산치성에 올린 소머리 일부와 떡 등이 담긴 봉투를 나눠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기 >가평군

    비보숲에서 드리는 가평 방일리 음방 산치성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방일리에서는 마을의 안녕과 평안을 위해 마을 제사를 지내고 있다. 방일리는 음방, 평촌, 양방 등 3개의 자연 마을로 이루어져 있는데, 2010년 정도까지는 음력 10월 1일에 마을숲 안에 있는 느티나무를 비롯한 6곳에서 산치성을 지냈었다고 한다. 이 마을숲은 풍수지리적으로 비보숲이라고 해석된다. 그런데 현재는 중미산의 정상에서만 제사를 지내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기 >부천시

    홰나무를 당산목으로 섬기는 부천시 괴안동
    경기도 부천시 괴안동(槐安洞)은 마을에 있는 서낭목으로 인해 생긴 지명이다. 부천시 괴안동의 당산목은 매년 치성을 올리지 않으면 횡액과 질병이 돌았는데, 흥선대원군이 섭정할 때 이 나무를 잘라 대포 옮기는 수레를 만들었다. 그래서 대원군의 말로가 좋지 않았다는 이야기가 있다. 마을 풍속의 전승과 단절을 보여주는 지명유래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동해시

    용궁으로 가다 돌아봐 바위가 된 가족, 동해 노봉마을 노고암
    강원도 동해시 망상동 노봉(魯峯)마을은 노봉이라는 산의 명칭을 따서 붙은 이름이다. 중국 노나라 때 공자가 태어난 이구산(泥丘山)을 일명 노산이라 하는데, 노산과 닮은 산이라 노봉이라고 이름 붙였다. 이 마을 바닷가에는 노고암(老姑岩)이라는 유명한 바위가 있다. 노고암은 세 개의 바위로 구성되었는데, 할미바위(넓적바위), 할아버지 바위(감투바위), 딸바위(마당바위)이고, 거기에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가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서울 >노원구

    중계동 구능치성제
    중계동 구능치성제는 서울특별시 노원구 중계동에서 마을의 안녕과 평안을 위해 지내는 마을 제사이다. 노원구 중계동 144번지에 표석과 비석이 세워진 구능치성터가 있다. 구성치성제는 노원구 중계4동의 전주동 생계리에서 지내오던 마을 제사로 현재는 생계향우회에서 제사의 전반을 주관하고 있다. 구능치성제는 음력 9월 14일에 지낸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읍치성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기 >하남시

    읍치성으로 사용된 하남 이성산성
    해발 209.8m 이성산에 있는 포곡식 석축 산성이다. 이성산은 춘궁동, 초일동, 광암동의 분기점으로 남쪽으로 넓은 평야 지대는 남한산성에서 뻗어 내려온 금암산과 객산 등으로 둘러싸인 분지와 서쪽으로는 아차산 일대와 풍납토성, 몽촌토성 일대를 조망할 수 있는 둘레 1,665m의 요새지이다. 성내에서 출토되는 유물은 대체로 6-8세기 경 신라토기류와 기와류가 주종을 이룬다. 이로 보아 6세기 중엽 신라가 한강 하류지역을 장악하고 설치한 읍치성으로 추정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아들 낳기를 기원하는 치성기자(致誠祈子)
    ‘치성기자(致誠祈子)’는 아이를 가지길 바라는 마음으로 치성을 드리는 기자의례(祈子儀禮)이다. 일반적으로 산이나 하천, 바위, 나무, 절 등에 정화수를 떠놓고 두 손을 비비며 치성 드렸다. 집 안에서 치성을 드리는 경우에는 부엌이나 뒤꼍에서 했다. 치성기자는 남들이 모르게 해야 효과가 나타난다고 믿어 밤늦은 시간이나 새벽에 주로 했다. 때로는 무당을 불러 굿을 하기도 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제주 >제주시

    날개 돋친 밀양(密陽) 박씨
    제주시 외도2동에 사는 밀양 박씨 부부가 늦도록 자식이 없어 여기저기 정성을 들여 아들을 낳게 되었다. 그런데 아이에게는 날개가 있었다. 아이가 자라서 역적이 될 것을 두러워한 아버지가 아이의 날개를 인두로 지진다. 아이는 힘이 약해져 큰일을 하지 못하고 일찍 죽게 되었다는 이야기이다. 이와 같은 이야기는 전국적으로 널리 분포된 광포설화에 속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인천 >강화군

    코가 없어진 백련사 미륵불
    「코가 없어진 백련사 미륵불」은 기자습속(祈子習俗)과 관련되어 전해 내려오는 전설이다.언제부터인지는 모르지만, 강화군 백련사 미륵불은 아들을 낳지 못하는 여인이 미륵불의 코를 가져가면 신기하게도 태기가 있어 아들을 낳는다고 한다. 그래서 많은 사람이 이 미륵불에 불공을 드렸다. 그런데 아들을 낳지 못해 쫓겨난 어느 부인이 욕심이 많아서 미륵불의 코를 몽땅 떼어냈다. 그 뒤부터 미륵불의 영험이 사라졌다고 하여 더 이상 불공을 드리는 사람이 없어졌다고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백일치성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아들 낳기를 기원하는 치성기자(致誠祈子)
    ‘치성기자(致誠祈子)’는 아이를 가지길 바라는 마음으로 치성을 드리는 기자의례(祈子儀禮)이다. 일반적으로 산이나 하천, 바위, 나무, 절 등에 정화수를 떠놓고 두 손을 비비며 치성 드렸다. 집 안에서 치성을 드리는 경우에는 부엌이나 뒤꼍에서 했다. 치성기자는 남들이 모르게 해야 효과가 나타난다고 믿어 밤늦은 시간이나 새벽에 주로 했다. 때로는 무당을 불러 굿을 하기도 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