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하동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경남 >하동군

    물이 넘나드는 물래골
    경상남도 하동군 적량면에는 물래골이라는 고개가 있다. 물래골은 괴목마을과 삼화실을 잇는 고개로, 두 마을 간의 교통을 책임지던 길이다. 물래골의 지명은 괴목마을과 삼화실에 각기 다른 유래가 전해진다. 괴목마을에서는 물이 넘나들던 고개여서 물래골이라는 이름이 붙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한편 삼화실에서는 베를 짜는 방을 닮아 방골이라 불리는 골짜기 가까이에 있어 물레인 물래골이 되었다는 유래가 전승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하동군

    공주의 눈을 멀게한 이무기가 살던 이명산
    경상남도 하동군 진교면에는 이명산이 있다. 이명산은 용이 운 곳이라 하여 용명산이라고도 한다. 이명산에서는 신라와 관련된 이야기와 유적을 만나볼 수 있다. 이무기의 독기로 인해 인근 사람들이 눈이 멀어 뜨거운 돌을 연못에 던져 이무기를 쫓았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또 석불사지, 마애여래좌상 등 신라시대 유적 또한 찾아볼 수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하동군

    걸어오다가 멈춘 갈미봉
    경상남도 하동군 청암면 명호리에는 갈미봉이 있다. 갈미봉은 그 모양이 꼭 물을 마시려는 말을 닮았다하여 갈모봉이라고도 불린다. 갈미봉에 관하여 하나의 이야기가 전해진다. 낙노국의 번영을 위해 갈미봉을 움직이려 하였으나, 한 여인이 발견하여 지금의 자리에 멈춰섰다는 것이 그것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하동 마을신앙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남 >하동군

    하동군 청암면 명호리 명사 당산제
    경상남도 하동군 청암면 명호리 명사마을은 지리산 기슭에 있는 산촌 마을이다. 명사마을에서는 마을의 안녕과 평안을 위해 음력 1월 15일인 정월 대보름에 마을제사인 당산제를 지낸다. 원래부터 정월 대보름에 당산제를 지냈던 것은 아니다. 명사마을의 당산제는 과거에는 음력으로 한 해의 마지막 날인 섣달 그믐날 밤 11시에서 새벽 1시 사이인 자시에 지냈는데, 마을의 인구가 줄어들 뿐만 아니라 마을 주민들이 노령화됨에 따라 10여 년 전부터 정월 대보름 아침에 지내고 있다. 당산제의 대상은 마을 입구에 위치하고 있는 당산 할매와 마을 뒷산 중간쯤에 있는 당산 할배이다. 명사마을 당산제는 명사마을 뿐만 아니라 이웃한 사동마을과 점마마을에서 함께 지내고 있다. 2010년부터 시작된 지방 정부의 지원으로 당산제의 물적 토대를 확보했다고 볼 수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하동군

    경상남도 하동군 축지리 대축 문암송대제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축지리 대축마을에서는 5월 8일에 당산제를 지내는데, 이를 문암송대제라고 한다. 대축마을의 당산나무를 문암송이라고 하기 때문이다. 문암송제는 매년 음력 4월 8일에 지냈는데, 초파일이 농번기로 바쁜 관계로 근래에는 백중날인 음력 7월 15일에 지내고 있다. 그러다가 2014년부터는 양력 5월 8일에 지내고 있다. 제일이 이렇게 바뀌게 된 것은 문암송제에 보다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게 위함이다. ‘문암송보존위원회’에서 주관하고, 제사는 일반적인 가정에서 지내는 기제사와 같은데, 하동 향교에서 사용하는 홀기를 사용해서 지내기 때문에 그 절차에 준해서 지낸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하동읍성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남 >하동군

    하나의 산성에서 여러 모습을 볼 수 있는 하동읍성
    해발 149m의 양경산에 위치하고 있다. 조선전기 산 위에 축조된 산성에 가까운 포곡식 석축성이다. 1417년(태종 17)에 축성된 조선전기의 전형적인 연해읍성(沿海邑城)의 하나로서, 일명 고현성(古縣城)이라 한다. 현재 남아있는 둘레는 1,400m이고, 폭 4.5m이며, 최고높이는 5.2m 정도의 규모이다. 축성신도(築城新圖) 반포 이전에 초축된 성에서부터 세종연간과 그 이후에 이르는 시기에 나타나는 다양한 형태의 축성양식을 단일성곽에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축성사적 중요성이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하동 가옥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남 >하동군

    하동의 상류층 전통 가옥, 화사별서(花史別墅)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에 위치한 화사별서(花史別墅)는 조준(趙浚, 1346~1405)의 직계손인 화사 조재희(花史 趙載禧, 1861~1941)가 1890년 초반에 조성하였으나, 1894년 동학농민운동 때 화재로 소실되었다. 그 이후 1900년에 들어서면서 조재희는 약 16년에 걸쳐 대규모 재건공사를 하여 지금의 화사별서를 1918년에 완성하였다. 화사별서는 한국전쟁(1950~1953) 등 세월의 풍파를 겪으면서 사랑채, 대문채 겸 바깥행랑채, 작은행랑채를 비롯하여 후원의 초당(별당)이 소실되었고, 현재 안채, 안행랑채, 부속건물이 남아 있다. 또한 별서 내에 방지, 연정(蓮亭), 취병(翠屛, 비취색 병풍) 등 조선시대의 풍류적 조원(造園)수법이 잘 적용되어 근대 별장 한옥으로서의 특징을 갖추었다고 한다. 화사별서는 박경리의 대하소설 『토지』에 등장하는 최참판댁의 배경이 된 고택으로 알려져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하동군

    아흔아홉석의 운명을 가진 사람이 살았던 새미골
    경상남도 하동군 진교면에는 새미골이라는 고개가 있다. 새미골이라는 이름은 샘처럼 물이 풍부하여 붙은 이름이다. 새미골은 늘 아흔아홉석을 수확하던 노인이 한 해는 욕심을 부려 백석을 채우려다 죽고 말았다는 운명과 연관지어 아흔아홉골이라고도 불렸다고 한다. 새미골은 조선시대에 막사발의 주요 산지 중 하나로 풍부한 도예 문화를 가진 곳이기도 하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하동군

    노인을 기리는 마음이 담긴 선비샘
    경상남도 하동군의 덕평봉 정상 인근에는 선비샘이 있다. 선비샘은 지리산을 오르는 많은 등산객들의 갈증을 해소해주는 곳이다. 이 샘에는 평생을 박대 받던 이씨를 기리게 된 연유에 관한 이야기가 전해진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하동군

    일제 강점기에 가래떡처럼 잘린 떡국재
    경상남도 하동군에는 떡국재가 있다. 떡국재는 고전면과 적량면의 경계에 있던 고개로 인근 마을에 가기 위하여 넘어야 하는 고개였다. 떡국재의 이름과 관련하여 한 이야기가 전해진다. 떡국재는 마을 사람들에게 명당으로 알려져 그곳에 묘를 쓰려고 했으나 한 도사가 그곳이 훗날 가래떡처럼 잘린다고 알려주어 다른 곳에 묘를 썼고, 그때부터 사람들이 그 고개를 떡국재라고 불렀다는 것이다. 훗날 떡국재는 신작로와 수로 건설 등을 이유로 네 번이나 잘렸다고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별님과 달님의 비극적인 러브스토리

    출처 :한국문화원연합회

    웹툰 경남 >하동군

    별님과 달님의 비극적인 러브스토리
    경상남도 하동군의 금오산에는 별님과 달님의 비극적인 사랑이야기가 전해진다. 별님과 달님은 금오산에 살면서 많은 동물이 축복하는 아름다운 사랑을 했다. 그러나 둘의 사랑을 질투한 지신이 잡신을 시켜 별님의 목숨을 앗아갔고, 이를 본 달님도 눈물을 흘리며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이후 별님과 달님의 피는 금오산 이곳저곳에 뿌려졌으며, 뿌려진 곳마다 붉은 꽃이 피어났다고 한다.
  • 테마스토리 경남 >하동군

    임걸년 일화가 전하는 지리산 선비샘
    선비샘은 지리산 덕평봉 남쪽의 상덕평 능선 1,500m의 높이에 위치한 샘으로,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대성리에 속한다. 선비샘 아래에는 과거에 덕평마을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덕평마을은 의신마을과 더불어 지리산에 형성되었던 촌락인 ‘청학동’에 해당하는 공간으로 지목되는 곳이기도 하다. 또한 선비샘에는 전국적으로 분포된 설화인 말무덤설화와 유사한 내용의 의적 임결년 일화도 전해지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하동군

    김수로왕이 일곱 왕자의 성불을 기념하여 세웠다는 하동 칠불사
    칠불사(七佛寺)는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범왕리에 위치한 사찰로, 쌍계사(雙磎寺)의 말사이며 지리산 계곡에 자리하고 있다. 가락국 수로왕의 일곱 왕자가 외삼촌인 장유화상의 가르침을 받아 수행하다가 성불한 것을 기념하여 수로왕이 세운 사찰이라 전한다. 일곱 왕자의 그림자가 비쳤다는 영지(影池)와 담공선사(曇空禪師)가 승려들의 수행을 위한 선방(禪房)으로 지은 아자방이 유명하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하동군

    소 한 마리와도 바꾸지 않는다는 섬진강의 맛, 하동 참게탕
    참게탕은 경상남도 하동군 일대의 섬진강에서 잡아 올린 참게에 토란대와 무, 미나리 등을 넣고 된장을 풀어 끓인 하동군의 향토음식이다. 참게는 전국의 하천에서 서식했지만 현재는 1급수의 수질을 유지하고 있는 섬진강에서만 서식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하동군

    섬진강 하동시장의 보약 재첩국
    하동시장은 바다와 산, 강이 어우러져 물자가 풍부한 경상남도 하동군에 오래전부터 개설된 시장이다. 하동시장의 대표적인 먹을거리는 단연‘재첩국’이다. 재첩은 난류와 한류가 교차하는 지역 중에서 염분이 적고 물의 오염이 적은 깨끗한 곳에서 서식한다. 우리 조상들은 옛날부터 재첩을 조개류 중의 ‘보약’으로 여겼다. 재첩에는 필수 아미노산인 메티오닌이 들어 있어 간장의 활동을 도와주고, 타우린이 담즙 분비를 활발하게 해서 해독 작용을 하기도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하동군

    재치국 말고 갱조개국으로 불러 주이소, 하동 재첩국
    하동 재첩국은 섬진강 하구에서 채취한 재첩을 부추와 함께 끓인 경상남도 하동군의 향토음식이다. 하동군에서는 재첩을 ‘강에서 나온 조개’라 하여 ‘갱조개’, 재첩국도 ‘갱조개국’으로 부른다. 경상남도 하동군에는 재첩음식을 전문으로 하는 명소가 두 군데나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하동군

    대하장편소설 '토지'의 작가 박경리
    경상남도 하동의 작가로 박경리가 있다. 하동에 있는 최참판댁과 박경리문학관에는 박경리를 기억하는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고 있다. 박경리의 대표작은 『토지』로, 조선 후기와 일제강점기를 거치는 근대 한국의 역사를 담은 대하장편소설이다.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가 『토지』의 주 무대다. 작품 속에서는 지리산과 섬진강을 낀 평사리의 넓고 비옥한 대지에 최참판댁과 마을 사람들이 생을 기탁하고 있다.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에는 이러한 『토지』의 공간을 실재화해 낸 장소인 최참판댁이 있다. 최참판댁이 건립된 장소는 1985년 처음으로 『토지』를 텔레비전 드라마로 제작할 당시 박경리가 최참판댁이 있을만한 장소라고 언급했던 곳이라고 전해진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하동지명유래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남 >하동군

    천 마리 닭으로 지네를 없앤 하동 봉계마을
    옛날 경남 하동군 횡천면 애치리 봉계마을에서는 섣달그믐날이면 사람 하나씩이 사라졌다. 마을사람들은 밤새 망을 보았지만 그 원인을 알지 못했다. 어느 날, 도사가 나타나 닭 천 마리를 길러 섣달그믐날 닭장문을 열어놓으라고 했다. 도사가 시키는 대로 하자, 봉닭이 앞장을 서고 그 뒤를 다른 닭들이 따르며 커다란 바위 틈새로 사라졌다. 다음 날 바위 틈새에는 천년 묵은 지네와 닭들이 죽어 있었다. 닭들이 독지네를 쪼아 죽인 것이다. 이후 이 마을을 봉닭에서 따와 봉계마을이라고 불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하동군

    이무기를 용으로 만들어 화를 면한 하동군 진교면
    옛날 고관대작들이 낳은 딸들이 한쪽 눈이 머는 일이 일어났다. 원인을 찾기 위해 길을 나선 사람들은 하동군 이명산 달구봉에서 호수를 발견했다. 호수에는 늙은 이무기가 살고 있었고, 그 일들은 이무기가 벌인 짓이었다. 사람들이 화철석을 호수에 집어넣자, 견디지 못한 이무기가 물 밖으로 나와 광포바다로 도망쳤다. 사람들은 이무기를 용으로 만들어주면 못된 짓을 그만두리라 생각하고 마을 이름을 용 진(辰)에 다리 교(橋)를 써서 진교리라 불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