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 색
고급검색
관리번호
발행년도
시 대
연 대
선택조건
지역N문화 포털은 콘텐츠 생산자 및 연구자들을 위해 서지정보 내보내기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서지관리 프로그램은 문헌 및 온라인 콘텐츠 등 자료를 관리하고 공유하는데 사용됩니다.
※ 해당 프로그램은 소속기관 또는 개인 가입이 필요할 수 있으며, 지역N문화 포털은 링크만 제공하고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관심지역 :
간편하게 로그인하고 지역N문화 시작하기
마지막으로 로그인한 계정입니다.
지역N문화는 별도의 회원가입 없이 사용중인 SNS로로그인하여 간편하게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방문화원이 기획하고 제작한 지역문화콘텐츠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전자책 제공
공주 생활사 온라인 박물관에 수록된 소장품의 사진이다. 공주 생활사 온라인 박물관에서는 농기구, 악기, 가구, 혼례 및 장례 용구 등 1,800여 점의 다양한 공주 지역 전통 생활문화 소품 사진을 볼 수 있다.
채상장은 얇게 떠낸 대나무 껍질인 피죽을 색으로 물들인 다음 아름다운 무늬가 배치되도록 엮어서 상자를 만드는 장인이다. 채상장이 언제부터 있었는지 확실하지 않지만, 채상의 역사는 선사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채상은 고대 이래로 궁중과 귀족 계층의 여성들이 귀하게 여기고 애용했던 안방 가구의 하나였다. 조선시대 말기에는 양반사대부가 뿐만 아니라 일반 서민층에서도 채상이 혼수품으로 유행하였다.
선자장은 부채를 만드는 장인이다. 부채는 우리 조상들이 한여름을 보내는 데 필요한 필수품이었다. 여름이 들어서는 길목에 있는 단오를 맞아 부채를 선물하는 풍습이 있었다. 우리나라 부채는 형태상으로 크게 둥근 모양의 부채와 접고 펼 수 있는 접부채로 나뉜다. 접부채 가운데 합죽선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대표적인 공예품이다.
종다래끼는 짚이나 오리버들, 싸리로 만든 바구니를 말한다. 주로 파종할 씨앗이나 곡식을 나를 때 사용한다. 아가리에 끈을 만들어 허리에 차기도하고 어깨나 목에 걸기도 한다.
섬은 곡식을 갈무리하기 위해 짚으로 거적처럼 짜서 반으로 접어 상자처럼 꿰맨 일종의 자루다. 곡식을 담아 보관하는데 사용했다. 표면이 거칠고 성글기 때문에 곡식이 샐 우려가 있고, 또 이를 막기 위해 두툼하게 짜기 때문에 짚이 많이 들고 무겁다.가마니는 새끼를 날줄로 하고 그 사이를 짚으로 촘촘하게 엮어 짠 일 종의 자루로서 섬과는 달리 틈새가 조밀하여 곡식이 샐 염려가 없다. 1900년대 초에 일본에서 도입되면서 섬을 대신했다.
'성환장'은 천안시 북부 지역에 위치한 성환읍에서 열리는 오일장이며, 매월 1일과 6일에 장이 서는 정기시장이다. 현재는 '성환이화시장'으로 불리며, 미술관을 품은 예술시장으로 다양한 볼거리와 문화행사 등을 체험할 수 있는 전통시장이다.
시전지는 시나 편지를 적는 종이를 의미한다. 조선시대 이전부터 사용됐지만 조선 후기에 이르러 개인에게까지 보편화되었다. 목판에 다양한 그림이 새겨지고 여러 가지 색의 염료를 묻혀 인쇄하는 방식으로 시전지가 제작되었다. 시전지 목판은 전국 여러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현재까지 꾸준히 전시되어 오고 있다. 시전지 목판 인쇄는 선조들의 감성적이고 예술적인 삶을 알게 해주는 기록문화의 한 수단이다.
금박연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촌동에 있는 금박을 하는 가게이다. 5대째 금박 가업을 잇고 있는 김기호가 2006년 '금박'이라는 이름으로 가게를 열었다. 그리고 2012년 현재의 위치로 이전을 하면서 ‘금박의 잔치’라는 의미의 금박연이라는 상호를 걸었다. 금박연은 김기호의 아버지인 김덕환이 작품 전시회를 열 때 사용했던 이름이다. 상호를 내걸고 가게를 연지 오래되지는 않았지만 금박연이 의미가 있는 것은 조선 철종때부터 5대에 걸쳐 가업으로 금박을 이어오고 있기 때문이다.
고려화문석은 정택용이 1980년 인천광역시 강화군 중앙시장에서 문을 연 화문석 전문점이다. 정용택이 2008년 병으로 세상을 떠나면서 부인인 이경옥이 가게를 이어가고 있다. 고려화문석이 개업을 하던 시기에 중앙시장에는 수십 곳의 화문석 가게가 있었으나 지금은 풍물시장에 5개소만이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고려화문석도 현재 이경옥이 자리를 옮겨 풍물시장‘화문석, 약초’ 특화구역에서 전통을 지키고 있다.
성씨와 인물 / 인물
종교와 문화 / 문화예술
SNS에 공유해보세요.
카카오스토리
블로그
페이스북
트위터
QR코드를 스캔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