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곶감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강원 >강릉시

    강릉의 특산물을 넘어 명품으로, 강릉 곶감
    강릉지역의 대표적인 특산물 중의 하나인 강릉 곶감은 생감의 껍질을 벗겨서 말린 감을 말하는데, 생감에 비해 오랜 기간 저장해서 먹을 수 있다. 곶감은 다른 말로 건시(乾柿)라고도 한다. 강릉지역의 특산물인 곶감은 강릉에서 100여 년의 역사와 전통을 자랑한다. 강릉시에서는 지역의 특산물인 곶감을 명품화하기 위해 1990년대부터 지속적인 지원으로 하고 있다. 이후 2016년부터 2017년에도 곶감 건조장, 곶감 가공 및 저장 시설에 대한 지원과 함께 곶감 가공을 위한 매뉴얼을 표준화하여 개발한 후 보급하고 강릉 곶감 스토리텔링을 위한 기반 마케팅 지원 사업을 추진하기도 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함안군

    곶감으로 아버지 병 고친 임효자
    경상남도 함안군 함안면 파수리에 은진 임씨 문중이 살았는데 문중의 어른이 병들어 앓게 되었다. 그 어른에게는 아들이 있었는데 효심이 매우 깊었다. 임효자는 매일 산에 올라 약초를 캤다. 어느 날 아무 약초도 캐지 못하고 낭떠러지에서 발을 헛디뎌 기절하고 말았다. 한참 후 한 노인이 어서 일어나라고 호통을 쳤다. 노인은 절벽의 열매를 아버지의 약으로 쓰라고 알려준 뒤 사라졌다. 임효자는 겨우 절벽에 올라 열매를 따와서 껍질을 벗긴 후 말려서 물에 녹여 아버지에게 드리니 씻은 듯이 낫게 되었다. 이 열매는 감이었고 이것이 곶감이 만들어지게 된 계기였다고 전해진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상주시

    곶감 중에 으뜸 상주시의 곶감
    상주시는 예로부터 삼백(三白)의 고장으로 알려져 있다. 삼백이란 세 가지 흰 것을 말하는데, 상주 지역에서 산출되는 세 가지 흰 것, 다시 말하자면 곶감을 비롯해 쌀, 누에고치가 그것이다. 한 동안 이 세 가지 산물은 상주를 대표하는 것으로 각광을 받았으나 생업환경 등이 바뀌면서 오늘날에는 곶감만이 그 명성을 이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상주시에서 생산되는 곶감은 일찍부터 왕에게 바치는 공물의 하나로 쓰일 정도로 맛과 품질이 뛰어났다. 그 이유는 토양과 기후 등이 감나무를 재배하는데 최상의 조건을 갖추었기 때문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