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김매기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전국

    외국에도 수출된 호미
    호미는 종자를 심거나 김을 매는 데 쓰이는 중요한 농기구이다. 토질에 따라서 날의 너비와 두께가 달라진다. 북으로 갈수록 호미날과 자루가 넓고 길며, 남쪽으로 갈수록 날이 가늘고 자루의 길이도 짧아진다. 또 우리나라의 호미는 그 기능과 모양에 따라 논호미와 밭호미로 나눈다. 밭매기는 1년 내내 두루 쓰이고 논매기는 음력 7월 무렵에 세벌 논매기가 끝나면 ‘호미씻이’ 또는 ‘호미걸이’라고 하여 호미를 씻어 걸어 두고 농부나 일꾼이 모여 음식과 술을 장만해 먹고 마시며 하루를 보낸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잡초를 뿌리뽑자, 김매기
    김매기는 논이나 밭에 심은 곡식의 생장을 방해하는 풀을 제거하는 일을 말한다. 논이나 밭에서 자연스럽게 자라나는 풀(잡초)를 기음이라고 하는데, 이를 손 또는 호미와 같은 연장을 이용해 뽑거나 흙에 묻는 것을 김매기라고 한다. 김매기는 밭에서 하는지 논에서 하는지에 따라서 밭매기, 논매기라고도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대전 >서구

    김매기의 고됨을 놀이로 승화시키는 숯뱅이 두레놀이
    숯뱅이 두레놀이는 대전광역시 서구 탄방동에서 행해지는 놀이다. 다른 지역 두레놀이와 유사하지만 모내기 대신 김매기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이 특별하다. 첫 번째 과장은 농신제이, 이어 첫번째 김매기인 아시매기를 하고 가래질소리를 한다. 그 다음 두번째 김매기인 이듬매기를 하고 새참멕기를 하고, 못줄놀이를 진행한다. 마지막 김매기인 만물매기를 하고 뒤풀이를 하는 것으로 놀이는 마무리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