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만세운동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영월 항일독립운동사

    출처 :강원도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강원 >영월군

    영월 항일독립운동사
    강원도 영월군의 항일운동사를 종합적으로 조망하는 책이다. 강원도 영월은 임진왜란 때 의병이 일어난 곳이며 19세기 말 세 번이나 항일 의병이 조직될 정도의 항일운동 중심지였다. 임진왜란기 김삿갓면 진별리 고종원 3형제의 의병 창의, 19세기 말 류인석의 을미의병, 원용팔의 을사의병, 이강년·김상태의 정미의병 창의를 중심으로 영월군의 항일운동사를 다룬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테마스토리 충남 >천안시

    독립운동의 터전 아우내장
    아우내장은 충청남도 천안시 병천면에서 매월 1일과 6일 열리는 오일장이다. 문헌상의 기록에는 1779년부터 개설된 것으로 보이며,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또한 유관순 열사가 만세운동을 벌렸던 곳으로 인근에는 유관순 열사의 생가와 기념관이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만세운동 주도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북 >김천시

    항일사회주의자 김단야, 스탈린의 광풍에 스러지다
    김단야는 박헌영과 함께 1925년 조선공산당을 창당하고 산하기관인 고려공산청년회 창립에도 참여한 사회주의자이다. 그는 조선 독립을 위해서는 민족주의자, 아나키스트 등과 연대해 일본과 싸워야 한다고 생각했다. 천도교, 기독교, 불교 등을 아우르는 민족주의자와 함께 6.10만세운동과 같은 항일운동을 준비하기도 한다. 약소민족의 사회주의자를 돕는다고 믿었던 소련 지도자 스탈린에 의해 약소민족 사회주의자 김단야는 숙청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김천시

    사회주의 독립운동가 임종업, 보도연맹학살로 숨지다
    임종업은 김천의 대표적인 사회주의 독립운동가이다. 중앙고등보통학교 학생이었던 1926년에는 조선학생사회과학연구회 회원으로 6.10만세운동에 적극 가담한다. 1928년 이후부터는 본격적인 사회주의 운동을 시작한다. 김천청년동맹과 신간회 김천지회에서 활동한다. 1930년에는 부산 ‘조선방직공장 파업’에 가담한다. 1931년 이후에는 김천에서 노동자의 파업을 지원하고 야학을 통해 사회주의 사상을 전파하며, 조선공산당 재건 운동을 벌인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관심지역 경북 >안동시

    6.10만세 운동의 설계자 권오설의 생가터
    권오설은 경상북도 안동군 풍서면 가곡동[현 풍천면 가곡리]의 몰락한 양반 집안에서 태어나 고향에서 학교를 졸업한 후 사회주의를 받아들여 고려공산청년회, 조선노농총동맹, 조선공산당에 몸을 담고 일제하 민족해방운동을 전개한 독립운동가이다. 1926년 6월 10일 순종의 장례일인 6.10만세운동을 기획하고 준비하던 중 사전에 발각되어 5년 형을 선고받고 복역하다 출옥을 며칠 앞둔 채 고문 후유증으로 옥중 순국하였다. 2001년 그가 태어난 고향 입구에 기적비(紀蹟碑)가 건립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관심지역 경북 >안동시

    권오설, 6.10 만세운동을 준비하다
    권오설은 고향 안동에서 조선노동공제회, 풍산소작인회 등에 소속되어 농민운동을 이끌며 사회주의 독립운동가로 성장한다. 1925년 조선공산당 결성에 참여하고, 1926년에는 제2차 조선공산당 중앙집행위원이자 고려공산청년회 책임비서로 민족주의 세력과 연합해 6.10만세 운동을 준비한다. 그는 시위대열을 이끌 학생조직을 편성하고, 시위운동에 쓸 격문을 작성하고 인쇄까지 했으나, 인쇄물 보관을 맡은 천도교 쪽에서 인쇄물이 발각되면서 체포되어 옥사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