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밥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진주비빔밥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북 >전주시

    인기있는 외식메뉴, 비빔밥
    비빔밥은 옛날부터 만들었던 음식으로 생각된다. 안동의 헛제사밥처럼 제사를 지내고 남은 음식들을 밥과 섞어 먹은 것이 비빔밥이기 때문이다. 비빔밥은 조선후기부터 음식점에서 팔았다. 일제시대 유명한 비빔밥으로 『별건곤』잡지는 진주(晉州)비빔밥을 거론하고 있다. 이 비빔밥은 육회비빔밥으로, 서울의 육회비빔밥보다 낫다고 하여 서울에도 육회비빔밥이 있던 것을 보여준다. 『동아일보』에서는 함평 소주와 함평비빔밥이 기막힌 조합을 이룬다고 하였다. 오늘날에는 전주비빔밥이 유명하다. 가을에 전주에서 비빔밥축제가 열리기도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돌솥밥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차문화 대신 숭늉문화
    숭늉은 쇠나 돌로 밥을 하는 솥에 물을 붓고 끓여 만드는 음료이다. 솥을 씻기 위해 반드시 눌어붙은 밥을 끓여야 했으므로, 전기밥솥이 보급되기 전 모든 한국인들은 숭늉을 먹었다고 할 수 있다. 숭늉은 솥에 물을 붓고 끓이므로 위생에도 좋았다. 한국에 차문화가 부족했지만 숭늉이 이러한 부족을 해소해 주었다. 오늘날 전기밥솥이 많이 보급되면서 숭늉은 흔하게 먹지 못하게 되었다. 숭늉차가 나오거나 커피, 보리차, 둥굴레차 등이 숭늉의 자리를 대체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일본식 김밥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남 >통영시

    일제강점기 초밥으로 만든 김밥
    김은 조선시대부터 전라도의 특산물로 기록에 남아있지만 김밥에 대한 기록은 일제강점기 밥에 초를 넣고 계란지단, 덴부(도미살을 분홍색으로 물들인 것) 등을 속으로 하여 김에 싼다고 나온다. 식초로 간을 한 김밥은 해방 후의 신문기사에서도 그 조리법이 보인다. 오늘날의 김밥은 식초보다 참기름과 소금으로 간을 한다. 김밥의 대중화는 일제강점기 김이 어느 정도 생산되고 일본의 도시락 문화가 정착되면서 만들어졌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북 >단양군

    소백산의 정기를 가득 담아 먹는 단양 소백산산채비빔밥
    소백산산채비빔밥은 소백산에서 채취한 고사리ㆍ더덕ㆍ도라지ㆍ취나물 등의 산채와 표고버섯ㆍ느타리버섯ㆍ시금치ㆍ무채ㆍ콩나물 등을 얹어 고추장과 참기름을 넣어 비벼먹는 충청북도 단양군의 향토음식이다. 원래는 단양의 산지에서 화전을 일구던 화전민들이 산에서 캔 나물과 버섯 등으로 만든 반찬을 밥에 넣어 먹던 음식이 차츰 비빔밥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통영시

    “맑은 날에 그리운 우도 해초비빔밥”
    통영 우도에는 200년이 된 동백나무도 있고, 맛있는 해초비빔밥도 있다. 그날그날 바다에 나가 필요한 양만큼 해초를 채취해야 하기 때문에 해초비빔밥을 먹으려면 예약 필수다. 청각, 모자반, 까시리, 서실, 미역, 톳 등 그날 딴 해초를 밥에 올리고 양념장에 쓱쓱 비벼 먹는다. 이 외에도 거북손, 따개비, 홍합, 고둥 등을 바닷가에서 직접 채취하는데, 그 모습을 보면 산에서 산나물을 뜯듯 똑똑 따낸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거제시

    바다의 맛과 향을 비벼보자, 거제도 멍게비빔밥
    멍게비빔밥은 살짝 얼린 멍게젓갈에 밥과 함께 김 가루, 참기름, 야채 등을 넣어 비빈 요리로 경상남도 거제도의 향토음식이다. 주재료인 멍게젓은 멍게의 살로만 만드는데, 멍게 특유의 향과 단맛이 입안에서 어우러진다. 멍게비빔밥을 먹을 때는 일반적으로 고추장을 첨가하지 않는다. 멍게젓 자체에 양념이 배어 있기도 하고 고추장이 멍게 특유의 향과 맛을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초밥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남 >통영시

    일제강점기 초밥으로 만든 김밥
    김은 조선시대부터 전라도의 특산물로 기록에 남아있지만 김밥에 대한 기록은 일제강점기 밥에 초를 넣고 계란지단, 덴부(도미살을 분홍색으로 물들인 것) 등을 속으로 하여 김에 싼다고 나온다. 식초로 간을 한 김밥은 해방 후의 신문기사에서도 그 조리법이 보인다. 오늘날의 김밥은 식초보다 참기름과 소금으로 간을 한다. 김밥의 대중화는 일제강점기 김이 어느 정도 생산되고 일본의 도시락 문화가 정착되면서 만들어졌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눌은밥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차문화 대신 숭늉문화
    숭늉은 쇠나 돌로 밥을 하는 솥에 물을 붓고 끓여 만드는 음료이다. 솥을 씻기 위해 반드시 눌어붙은 밥을 끓여야 했으므로, 전기밥솥이 보급되기 전 모든 한국인들은 숭늉을 먹었다고 할 수 있다. 숭늉은 솥에 물을 붓고 끓이므로 위생에도 좋았다. 한국에 차문화가 부족했지만 숭늉이 이러한 부족을 해소해 주었다. 오늘날 전기밥솥이 많이 보급되면서 숭늉은 흔하게 먹지 못하게 되었다. 숭늉차가 나오거나 커피, 보리차, 둥굴레차 등이 숭늉의 자리를 대체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김초밥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남 >통영시

    일제강점기 초밥으로 만든 김밥
    김은 조선시대부터 전라도의 특산물로 기록에 남아있지만 김밥에 대한 기록은 일제강점기 밥에 초를 넣고 계란지단, 덴부(도미살을 분홍색으로 물들인 것) 등을 속으로 하여 김에 싼다고 나온다. 식초로 간을 한 김밥은 해방 후의 신문기사에서도 그 조리법이 보인다. 오늘날의 김밥은 식초보다 참기름과 소금으로 간을 한다. 김밥의 대중화는 일제강점기 김이 어느 정도 생산되고 일본의 도시락 문화가 정착되면서 만들어졌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삼밥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관심지역 경기 >수원시

    경기도의 출생의례
    경기도 양주에서는 농사지어 처음 찐 쌀을 창호지에 싸서 달아두었다. 이를 삼신주머니라 부르며, 고깔을 씌우기도 했다. 인천 지역에서는 초상 중에 아이를 낳으면 팥죽을 쑤고 밥이나 떡을 해서 죽은 사람의 살을 푸는 '상문풀이'가 있었다. 아이를 낳고 나서 미역국과 밥과 정한수를 떠놓고 삼신에게 먼저 올리고 산모가 먹는 풍습도 있었다. 산모가 처음 먹는 이 밥을 ‘첫국밥’이라고 하는데 수원에서는 ‘젖국밥’, 의왕에서는 ‘첫국첫밥’이라고 불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