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장군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홍의장군 곽재우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국가에서 의병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한 의병의 날
    의병의 희생정신을 기리고 의병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제정한 기념일이다. 의병이란 외국의 침략에 맞서 민중이 자발적으로 일으킨 저항 조직이다. 국가가 위기에 처했을 때 징발 명령과 관계없이 자발적으로 종군하여 전쟁에 참여하는 자위군에 해당한다. 의병의 전통은 삼국시대부터 있었으나 일반적으로 의병이라 하면 임진왜란과 한말 일제 침략기에 일어났던 항일 의병을 말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북 >장수군

    성인 육십명이 모여야 넘을 수 있었다는 육십령 옛길
    전라북도와 경상남도의 경계에 자리한 육십령은 삼국시대부터 백제와 신라의 격전지였으며, 조선 시대에는 영남지방과 호남지방을 이어주는 주요한 교통로 구실을 했다. 임진왜란 때에는 왜군이 호남지방으로 넘어오는 진격로로 활용되기도 했다. 영남지방에서 한양으로 과거 보러 가던 선비들이 넘던 길이기도 하다. 일제강점기 신작로가 개통되었고, 지금은 고속도로가 개통하면서 육십령 터널이 통과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영남대로 벼랑길을 걷다

    출처 :경상남도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경남 >밀양시

    영남대로 벼랑길을 걷다
    경남 밀양의 영남대로 상에 분포한 역사문화자원과 인물, 설화, 미담, 전설 등을 토대로 한 다큐멘터리이다. 작천잔도(벼랑의 암반을 깨고 석축을 쌓아 만든 길), 작원관(영남대로 제일관문, 임진왜란 격전지), 처자교, 뒷기미나루, 무흘역 등 여러 지역의 숨은 이야기를 만나볼 수 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최영장군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 지역문화 Pick (1건)
  • 지방문화툰 (1건)
자세히보기
  • 최영

    출처 :한국문화원연합회

    웹툰

    최영
    중부지방의 무속신앙에서 모시는 장군신 중의 하나로 ‘최일 장군’이라고도 부른다. 서울 굿에서는 ‘상산’이라고 하여 가장 중요한 신격으로 여긴다.
  • 우리 마을 고양의 문화재이야기 '고양 최영 장군 위령굿'

    출처 :경기도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경기 >고양시

    우리 마을 고양의 문화재이야기 '고양 최영 장군 위령굿'
    고려 시대 충신인 최영 장군 신을 모시고 그 혼령을 위로하는 굿인 '최영 장군 위령 굿'의 재현 영상이다. 작두날 타기, 장군 거리 등 총 12거리의 굿거리를 하는 지역 최대의 굿 중 하나로, 고양시 향토문화재 제61호로 등록되었다. 가마 행렬, 묘소에서의 넋 모시기, 위령제 등에서 유교와 불교 토속신앙이 어우러진 특징을 보인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테마스토리 전국

    중부지방의 마을신이 된 고려 장군, 최영
    최영은 중부지방의 무속신앙에서 모시는 장군신 중의 하나로 ‘최일 장군’이라고도 부른다. 서울 굿에서는 ‘상산’이라고 하여 가장 중요한 신격으로 여긴다. 무속신을 그림으로 표현하여 모시는 무신도를 보면 최영 장군은 손에 삼지창이나 월도라는 칼을 들고 있거나 말을 타는 등의 위엄있는 장군신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북 >청주시

    명사수 한봉수의병장 유적지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내수읍 학평리에는 한말의병장이자 3.1운동도 주도했던 항일지사 한봉수의병장의 유적지가 있다. 그는 의병항쟁 당시 무적장군, 번개대장으로 이름을 떨치고 전의, 옥천, 평택, 여주, 횡성, 문경 등지에서 활약했는데 33번의 공격동안 1번 패한 전과를 거둔 명사수였다고 한다. 한봉수는 1919년 3.1운동 때에도 만세운동을 주도하여 옥고를 치른 바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전힁장군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남 >보령시

    중국에서 건너와 마을신이 된 전횡장군신
    중국에서 건너온 전횡장군은 외연도와 어청도 주민들에 의해 마을신으로 모셔져 있다. 그가 마을신으로 모셔지게 된 연유는 주민들에게 공감을 얻은 부분과 함께 이들 지역이 군사지역으로 중요한 곳이었기 때문이다. 충청도 해안 지역에 전해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전횡이 황해의 어느 섬으로 피신을 왔다는 이야기도 있다. 앞서 소개한 불로초라는 이야기도 존재하지만 이 이야기가 비교적 널리 퍼져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통영시

    통영 금평리 진촌 최영장군제
    경상남도 통영시에 있는 사량도에서는 최영 장군과 옥녀를 당산신으로 해서 매년 정월 대보름인 음력 1월 15일에 당산제를 지내고 있다. 이 당산제는 원래는 1년에 두 번, 음력 1월 5일과 음력 12월 15일에 지냈는데, 2017년부터 제일을 정월대보름으로 옮기고 1년에 한번씩만 당산제를 지내고 있다. 진촌 최영 장군제는 당산제와 더불어 용왕제의 전통을 잘 계승하고 있는 곳이라는 점에서도 마을신앙에서 의의가 있는 곳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제주 >제주시

    제주 추자도에서 드리는 영흥리 산신제
    제주시 추자면 영흥리 추자도는 행정상으로는 제주도에 속해 있지만 문화적으로는 전라도에 더 가깝다. 추자도의 마을제의에는 산신제, 사당제 혹은 장군제, 장승제, 용왕제가 있다. 추자도에서 이루어지는 마을제의들은 기본적으로 바다를 의지하면서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맞게 풍어제의 의미를 가진다. 이중 영흥리의 산신제는 영흥리 마을 뒷산에 있는 절기미라고 불리는 산신당에서 지낸다. 영흥리 산신당에는 영흥리 지역의 마을신앙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 있다. 최영장군 사당이 들어선 후 최영장군사당의 당제와 연계된 후에도 영흥리 사람들은 별도로 해신제를 지낸 다음에 산신당에 찾아와서 제를 지내곤 했다. 영흥리의 산신제는 제주도식이 아닌 전형적인 전라도식의 제의이다. 현재 영흥리는 제주도에 속해 있지만 제주도의 산신신앙과는 전혀 다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남이흥 장군

연관자료

  • 지역문화 Pick (1건)
자세히보기
  • 조선을 빛낸 충장공 남이흥 장군

    출처 :충청남도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충남 >당진시

    조선을 빛낸 충장공 남이흥 장군
    남이흥 장군의 업적과 명성을 재조명하고자 일대기를 그려낸 만화이다. 충남 당진의 위인인 남이흥 장군은 정묘호란 때 안주성의 방위를 맡아 후금 3만 대군과 싸우다가 열세에 몰리자 적들을 성안으로 유인하여 화약고에 불을 붙여 적군과 함께 자폭 순절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남이장군

    출처 :한국문화원연합회

    웹툰

    남이장군
    귀신을 볼 수 있는 탁월한 능력을 지닌 남이장군은 용문동 지역을 중심으로 신으로 모셔져 있다. 억울하게 누명을 쓰고 죽은 부분도 있지만 인간이 갖고 있지 않은 영험한 부분과 용맹하고 모든 사람들의 소원을 들어주는 것으로 인해 그를 마을신으로 모시게 된 것이다. 남이장군 사당이 약 300년 전 용문동에 세워진 것은 남이장군이 처음 출진(出陣)할 때 군졸을 뽑아 훈련시킨 곳이 용산 부근이었으며, 또 장군이 처형된 곳이 용산 부근인 새남터였기 때문이라 전해지고 있다.
  • 한장군신

    출처 :한국문화원연합회

    웹툰

    한장군신
    경상북도 경산시 자인지역을 중심으로 모셔진 한장군신은 지역에 왜적의 침입을 막아주기 위해 노력하다 목숨을 잃은 연유로 지역의 신으로 모셔져 있다. 경상남도 경산시에 속한 자인 지역에 전해오는 이야기를 따르면 한장군은 왜적이 마을에 침범하여 백성들을 괴롭히자, 여자로 가장한 뒤에 누이와 화관을 만들어 쓰고 광대들의 풍악에 맞추어 춤을 추었다.넋을 잃고 공연을 보는 왜적들을 한장군과 광대들은 숨겨둔 칼을 들고 공격하였다. 갑작스러운 공격에 왜적들은 대응도 하지 못한 채 목숨을 잃었다.
  • 최영

    출처 :한국문화원연합회

    웹툰

    최영
    중부지방의 무속신앙에서 모시는 장군신 중의 하나로 ‘최일 장군’이라고도 부른다. 서울 굿에서는 ‘상산’이라고 하여 가장 중요한 신격으로 여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