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장생포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동해의 바닷물과 바람, 햇볕으로 구운 울산소금 이야기

    출처 :한국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울산 >남구

    동해의 바닷물과 바람, 햇볕으로 구운 울산소금 이야기
    바닷물과 바람, 햇볕으로 구운 울산 소금의 문화와 역사를 채록한 영상. 바닷물을 염전에 끼얹고 말리는 일을 반복해 만든 건세를 섯등에 넣고 바닷물을 부어 우려낸 함수를 다시 끓이는 독자적인 제염방법을 재현해 기억에서 사라져가고 있는 제염문화를 담아 이야기로 풀어낸 콘텐츠.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테마스토리 울산 >남구

    일제강점기 한해 100여 마리씩 잡은 고래
    우리나라는 신석기시대부터 고래사냥을 하였으나 근대적인 포경은 대한제국기 러시아인과 일본인이 독점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의 동양포경회사가 포경을 독점하여 한반도 해안에서 한해 평균 100여 마리의 고래를 잡았다. 고래는 고기와 기름 등이 수요가 있었다. 일제강점기 포경선이 모이는 곳은 울산 장생포였다. 이외 제주도 서귀포에도 고래잡이 전진기지가 있었다. 장생포항의 향도(向島)나 서귀포에는 고래공장도 있었다. 1978년 우리 나라는 국제포경위원회에 가입하였으며 이때부터 고래의 포획대상 종류 및 조업시기 등에 제한을 받았고 1985년 11월 1일부터 포경어업이 금지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울산 >남구

    수천 년간 울산 사람들의 입맛을 지킨 장생포 고래고기
    장생포 고래고기는 육지의 소고기에 비견될 정도로 부위별로 12가지 맛을 자랑하는 고래고기로 만든 육회ㆍ수육ㆍ불고기ㆍ두루치기ㆍ찌개 등 다양한 음식으로 만들어 먹는 울산광역시의 향토음식이다. 울산 장생포항의 고래고기 전문음식점을 중심으로 1970년대까지 호황을 누리던 고래고기 요리는 1986년 이후 상업포경이 금지되면서 현재는 어망에 혼획된 고래 등에 한해 공급 및 판매가 허락되어 귀한 음식으로 대접받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