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동해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동해 향토음식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3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강원 >동해시

    여름바다의 인절미, 쥐노래미(돌삼치)
    도심 속의 무더위를 피해 강원도 동해안으로 피서를 떠나면, 길을 따라 유명한 항구와 수산시장 앞에 사람들이 바글바글 몰려있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이곳저곳 좌판을 펴고 살아있는 생선 파는 것을 구경하다 보면 상추와 깻잎쌈에 회 한 점 올려 쌈을 싸 먹고 싶은 마음에 침을 흘리곤 한다. 이럴 때면 쥐노래미를 찾아 눈에 불을 켜보길 바란다. 작은 어종이라 쉽게 지나치고는 하지만, 제철이 여름이고 수분기가 많아 상추쌈, 혹은 회덮밥으로 먹어도 아주 그만인 어종이기 때문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동해시

    다금바리와 맞먹는 귀한 생선, 줄가자미
    흔히 시장에서 만나는 가자미는 생선조림이나 생선구이의 대상이다. 납작하게 생기고 잔가시도 별로 없는 가자미만큼 먹기 편한 생선도 드물기 때문이다. 가자미 요리는 친근한 서민 음식이다. 그런데 가자미 중에서도 최고급을 찾으면 제주도의 다금바리와 맞먹는 가격에 눈이 휘둥그레진다. 그 비싼 횟감이 바로 줄가자미다. 양식도 되지 않고 잘 잡히지도 않아 아주 귀한 대접을 받는 가자미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동해시

    바다의 푸아그라, 아귀 간 요리
    푸아그라(Foie gras)라하면 프랑스의 대표요리이자 한국에서 트러플(송로버섯), 캐비아(철갑상어알)과 함께 세계 3대 진미로 꼽히는 요리이면서, 동시에 동물복지를 외치는 서방세계의 아킬레스건이기도 한 음식이다. 억지로 사료를 먹여 살찌운 거위의 간인 푸아그라의 의미는 지방간(Fatty liver)이다. 푸아그라가 주는 고소하고 녹진한 맛에 하나도 뒤처지지 않는 바다의 푸아그라가 한국에 있다. 바로 아귀 간 요리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포항시

    송라도의 중심 송라역
    송라역은 조선시대 경상도 청하(지금의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청라면)를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송라도의 중심이 되는 찰방역이었으며, 경상북도 동해안을 연결하는 교통로를 관할했다. 송라역이 관할하던 역은 모두 7개였다. 송라역이 있던 곳에는 도이산 봉수대가 함께 있었으며, 봉수대와 역을 중심으로 큰 규모의 역촌이 형성되었다. 송라역을 드나들던 사람을 대상으로 주막을 열어 재산을 모아 송라역 주민들의 안전을 지켜준 김설보를 기리는 여인의 숲이 있기도 하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강원도 동해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강원 >동해시

    바다와 바위가 만난 풍경, 동해 해암정
    고려 공민왕 때 창건된 해암정(海巖亭)은 동해의 관광명소인 추암, 곧 촛대바위 인근에 있다. 추암은 조선 초기 한명회가 능파대(凌波臺)로 고쳐 부른 이후 많은 선비들이 그렇게 불렀다. 해암정과 눙파대는 오래도록 삼척에 속하다가 1980년 삼척읍 북평동이 동해시로 통합되면서 동해시 관할이 되었다. 뾰족뾰족한 바위가 병풍으로 둘러친 해암정은 바다를 등지고 있다. 해암정 정면에는 우암 송시열이 쓴 ‘해암정’ 등 세 개의 편액이 걸려있고, 정자 안에는 기문과 시판이 벽마다 빽빽이 걸려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다큐멘터리 동해시 서낭제

    출처 :한국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강원 >동해시

    다큐멘터리 동해시 서낭제
    마을의 안녕과 주민들의 건강을 기원하는 마을신앙 서낭제의 의미와 가치를 담은 다큐멘터리 영상. 한국 서낭제의 기원을 살펴보고 동해지역 산신제는 물론 주문진 서낭제, 추암 풍어제 등 의례를 통해 동해안 서낭제의 특징을 찬찬히 고증해 체계적으로 담았다. 마을신앙에 그쳤던 지역 서낭제의 원형을 보존하기 위한 노력이 돋보이는 콘텐츠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테마스토리 강원 >동해시

    용궁으로 가다 돌아봐 바위가 된 가족, 동해 노봉마을 노고암
    강원도 동해시 망상동 노봉(魯峯)마을은 노봉이라는 산의 명칭을 따서 붙은 이름이다. 중국 노나라 때 공자가 태어난 이구산(泥丘山)을 일명 노산이라 하는데, 노산과 닮은 산이라 노봉이라고 이름 붙였다. 이 마을 바닷가에는 노고암(老姑岩)이라는 유명한 바위가 있다. 노고암은 세 개의 바위로 구성되었는데, 할미바위(넓적바위), 할아버지 바위(감투바위), 딸바위(마당바위)이고, 거기에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가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동해시

    까마귀 많은 마을에서 선비가 나는 마을로, 동해 묵호동
    강원도 동해시 묵호동은 물도 바다도 물새도 검어 묵호동(墨湖洞)이라 했다. 옛날 묵호에는 까마귀가 많아 까마귀 오(烏)자를 써서 까마귀가 많은 마을의 나루라는 뜻으로 오리진(烏里津)이라 불렀다. 강릉부사 이응유가 와 보니 바다도 검고 까마귀도 많아 검을 묵(墨)자를 써서 묵호라 했다. 또 이 지방 선비들이 학문과 선비를 뜻하는 한묵(翰墨)의 의미로 옆 마을 발한(發翰)에 상대해서 묵호라 지었다는 설도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동해문화원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0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강원 >동해시

    강원도와 동해의 발전을 위해 달려온, 동해의 해결사 전억찬
    전억찬 구술자는 1946년생으로 동해에서 태어나 고등학교 1학년 때 야간학교를 열었다. 망상야간학교, 묵호새마을청소년학교, 성림기술고등학교, 동해자동차공업고등학교로 발전하면서 전 학력 인정을 받는 학교로 발전시켰다. 도의원으로 활동하였고 동해경제인연합회를 창립하였다. 현재는 강원경제인연합회 회장과 동해경제대학 학장으로서 지역의 발전을 위하여 힘쓰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동해시

    어황이 좋았던 묵호를 기억하는 이춘자
    이춘자 구술자는 1943년 강릉에서 부농의 딸로 태어났다. 사라호 태풍으로 집안이 망해 그 많던 땅을 팔고 동해로 이사왔다. 결혼한 시절에는 물 반, 고기 반이라 할 정도로 어황이 좋았던 때라 매일 명태와 오징어 손질하는 일꾼들 밥을 지어 먹이고 돈도 많이 벌었다고 한다. 50대에는 부녀회장을 하면서 진폐 환자 위문 봉사활동과 논골담길 조성 작업에도 참여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동해시

    묵호항의 활황기, 쇠퇴기, 재도약기를 함께한 이우열
    이우열 구술자는 포항 태생으로 포항에서 학창 시절을 보냈다. 24세에 동해로 이주, 묵호항 활황기 시절 생계를 위해 정착하여 건조업으로 생업을 이어왔다. 성실함과 묵묵함을 기본으로 열심히 일한 덕분에 건조인협회 회장 및 북부지역 바르게살기 협의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동해안 철도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북 >포항시

    경상도 청하의 송라역을 중심으로 형성된 송라도(松羅驛)
    송라도는 조선시대 경상도 청하(지금의 포항시 북구 청하면)에 있던 송라역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역로이며, 경상북도 동해안을 연결하는 역로를 관할했다. 송라도는 고려시대의 경주도를 계승했으며, 주변의 여러 역로와 통합 및 분리되는 과정을 거쳐 역로가 최종적으로 획정되었다. 지금의 경상북도 포항시를 비롯하여 경주시와 영덕군에 걸친 구간이 포함되었다. 포항에서 영덕까지는 동해선 철도가 개통되어 운행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동해 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강원 >동해시

    강원도 영동지방에서 삼을 삼을 때 부르는 「다복녀」
    옛날에는 옷을 전부 만들어 입었다. 삼베옷을 만들기 위해서는 삼나무를 쪄야 한다. 삼나무를 찐 후에는 삼나무 껍질을 벗긴다. 삼나무 껍질을 벗긴 후에는 더 고된 작업인 삼삼기가 남아있다. 삼삼는 일은 혼자 할 수 없는 협동작업이다. 가족끼리, 혹은 이웃 여자들과 함께 했다. 일이 시간이 더디고 힘들어 일하는 동안 삼삼는 소리를 했는데 강원도 영동지방에서는 「다복녀」 민요를 종종 부르곤 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동해시

    동해 천곡동에서 멸치를 퍼낼 때 부르는 「멸치 후리는 소리」
    강원도 영동지역은 동해안을 따라 멸치 떼가 많이 올라왔다. 예전에는 고성, 속초, 양양, 동해 등지에 멸치잡이 후릿배가 있었다. 멸치잡이를 할 때 부르는 소리가 양양과 동해에 전해져 온다. 멸치는 고기가 작아 낚시로는 잡을 수 없고, 일반 그물보다 촘촘한 후릿그물로 잡는다. 후릿그물로 멸치를 잡아 멸치를 육지에 털어 내면서 부르는 소리가 「멸치 터는 소리」, 「멸치 후리는 소리」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삼척시

    “시원한 곰치국 재료? 푹 삭은 김치 한 국자”
    꼼치는 동해안을 비롯한 모든 해안에서 나는 어종이다. 동해안의 꼼치는 다른 지역과 모양이 조금 다르다. 서·남해안의 것은 메기와 비슷하여 물메기, 미거지라고 부른다. 동해안에서는 꼼치를 곰치, 물곰이라고 부른다. 곰치는 여름 내내 1,000m의 깊은 바다에 살다가 겨울이 되면 산란을 위해 수심이 얕은 바위틈으로 올라온다. 겨울 곰치는 흐물거리던 살도 단단해져 제 맛이 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제주 >제주시

    이제는 없어진 동해안 전복의 추억
    조선시대부터 전복은 임금님에게 진상되는 귀한 해산물이었다. 조선시대에는 위생상의 문제로 말려서 유통되었다. 일제강점기 항구에 제빙공장과 통조림공장이 생기면서 전복은 통조림이나 생전복으로 유통되기 시작하였다. 일제강점기 전복은 대부분 자연산으로 제주도 해녀들이 채취했는데, 육지로 진출해 경북 동해안에서 많이 채취하였다. 그 결과 전복의 씨가 말라 1930년대 경북 동해안에는 2년 간 전복채취 금지령이 내려지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동해안에서 더 이상 전복은 나지 않는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동해시

    연등천장과 두둥불이 있는 동해 김진사 고택
    동해 김진사 고택은 강원도 동해시 지가동에 있는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83호이다. 2018년 8월에 ‘동해 김형기 가옥’에서 ‘동해 김진사 고택’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726년에 지은 것으로 김형기의 11대조부터 살기 시작하였다고 한다. 안마당과 부엌의 벽 사이에 두등불이 있는데, 이는 삼척 산간 지역의 조명 장치로, 이 지방 서민들의 생활상을 보여주는 가옥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동해시

    배산임수(背山臨水)에 자리한 동해 심의관 고택
    동해 심의관 고택은 강원도 동해시 동남단에 있는 단봉동에 자리 하고 있다. 2017년 「강원도 지정문화재(전통가옥) 지정명칭 변경고시」에 따라 ‘동해 심상열 가옥’에서 ‘동해 심의관 고택’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동해 심의관 고택은 건립된 지 260여 년 된 가옥으로, 작은 규모이지만 배산임수에 자리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안채와 사랑채, 곳간이 ‘ㅁ’자형으로 배치된 동해 심의관 고택은 건립 당시의 민가를 연구하는 데 있어 중요한 자료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동해 로컬푸드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강원 >동해시

    지장수와 해풍(海風)이 만들어낸 맑은 지장수막걸리를 맛보셨나요!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낙천에서는 황토를 물에 섞어 가라앉힌 후 뜬 맑은 물인 지장수를 정제수로 넣어 빚은 ‘지장수막걸리’를 만든다. 지장수막걸리는 2022년 대한민국 주류 품평회 대상 수상의 영광을 수여하기도 한 명품 막걸리이다. 알코올 도수는 5도로 낮고, 텁텁하지 않고 신맛과 단맛이 어우러진 맑은 술맛이 일품이다. 지장수를 사용해 술맛이 부드러워 목 넘김이 좋다는 평이 있다. 12~13도의 원주의 도수를 낮추기 위해 지장수를 섞어 만들었다. 지장수의 약효와 시골의 투박함이 어우러진 동해시의 특산품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