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장수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2화 천마와 아기장수

    출처 :인천광역시문화원연합회

    웹툰 인천 >서구

    2화 천마와 아기장수
    인천에서 전래하는 '아기장수 전설'을 그린 웹툰이다. 아기 장수는 비범한 능력에도 불구하고 신분적 제약 때문에 비극을 맞이한다. 비슷한 전설이 시대와 지역을 달리하며 반복적으로 출현하는데, 이는 새로운 영웅을 기대하는 억압받는 민중의 희망을 반영한다.
  • 1화 천마와 아기장수

    출처 :인천광역시문화원연합회

    웹툰 인천 >서구

    1화 천마와 아기장수
    인천에서 전래하는 '아기장수 전설'을 그린 웹툰이다. 아기 장수는 비범한 능력에도 불구하고 신분적 제약 때문에 비극을 맞이한다. 비슷한 전설이 시대와 지역을 달리하며 반복적으로 출현하는데, 이는 새로운 영웅을 기대하는 억압받는 민중의 희망을 반영한다.
  • 테마스토리 경남 >거창군

    아기장수의 말이 묻혀 말무덤이라 불리는 거창 거기리 성황단
    거창 거기리 성황단은 경상남도 거창군 주상면 거기리에 세워져 있다. 거기리는 돌이 많아 돌밭 또는 개울이 마을 끼고 흐른다고 하고 걸터라고 불렀으며, 한자로 표기하면서 도랑 거(渠) 자를 써서 거기리라 하였다. 거창 거기리 성황단은 냇가의 자갈돌을 층층이 쌓아올려 돌무지무덤처럼 만든 돌탑이다. 마을주민들은 말무덤이라 칭하며, 매년 정월 대보름날에 제사를 지낸다. 성황단제를 지내는 상당, 중당, 하당 세 곳은 용마가 나타나 발자국을 남기고 죽은 곳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북 >장수군

    장수에서 발원해 물길을 바꾸며 서해로 흘러 들어가는 금강
    금강(錦江)은 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신무산(神舞山, 897m)에서 발원해 대전광역시, 충청남도 공주시, 부여군을 거쳐 서천군과 전라북도 군산시와 경계를 이루며 서해로 흘러 들어가는 강이다. 한반도의 6대 하천 중 하나로, 유역 면적이 9,885㎢나 되는, 낙동강, 한강 다음으로 긴 강이다. 백제가 도읍을 정한 공주와 부여가 위치한 백제 문화권의 중심지이며, 하류로부터 중류까지 내륙과 바다의 물자를 운반하던 수운(水運)이 발달한 물자유통로이다. 넓은 충적지가 발달하여 이에 농수를 공급하기 위해 대청댐을 축조했으며, 대청댐의 넉넉한 수원을 토대로 주변에 대전광역시, 천안시, 세종시 등의 대도시가 발달하였다. 주변에는 계룡산, 속리산, 덕유산 등의 국립공원과 대청댐, 금강유원지, 초평저수지, 백마강 등의 유원지가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북 >장수군

    후백제군이 군량을 모으던 합미성
    장수 합미성은 전라북도 기념물 제75호로 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식천리 177-1의 자고개 서북쪽 산기슭인 해발 800m의 능선 정상에 자리한 봉우리를 중심으로 축성한 테뫼식 산성이다. 산성 내부에서 출토된 유물로 백제 기와 조각과 토기 조각 등이 확인되어 백제에 의해 축성된 산성으로 추정된다. 합미성은 해발 1151m의 팔공산 남쪽 끝자락에 위치하고 있어 동북쪽으로는 장수분지를 조망할 수 있고, 서남쪽으로는 대성고원을 한눈에 살필 수 있는 요충지에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북 >장수군

    물의 뿌리 신앙의 뿌리, 장수성당 수분공소
    장수성당 수분공소가 자리 잡은 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수분리는 금강과 섬진강의 발원지가 있는 마을이다. 지역 토박이들은 수분리를 ‘물뿌랭이’ 마을이라고 부른다. 물의 뿌리라는 뜻이다. 수분리 일대에는 병인박해 이전부터 숨어사는 천주교 교우촌이 있었다고 한다. 수분공소는 1913년에서 1914년 사이 경상남도 함안성당과 전라북도 진안 어은동 성당 주임신부 간의 합의에 따라 중간 쉼터 격으로 세워졌다. 한옥으로 지어진 수분공소는 1921년 신도들의 합심 노력으로 현재 모습의 원형을 갖추었다. 들보와 서까래로 쓴 목재는 곡선을 그대로 살려 사용함으로써 친근하고 자연스러운 느낌을 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삼척시

    노인이 쌓인다는 삼척시 적노동
    강원도 삼척시 남양동에 있는 적노동(積老洞)은 무로리(無老里)가 바뀐 지명이다. 무로리는 없을 무(無)자에 늙을 로(老)자를 써서 늙지 않는 마을이라는 뜻으로 지었는데, 노인이 없는 마을, 즉 단명하는 마을에 되어버리는 바람에, 조선 중기에 장수마을을 염원하며 쌓을 적(積)자에 늙을 로(老)자로 바꿨다. 마을 이름을 바꾸고 나니 노인이 마을에 가득하며 장수마을이 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예천군

    아기장수와 용마의 넋을 달래주는 예천 구룡동
    옛날 한 마을에 비범한 아기가 태어났다. 아기는 태어난 지 이레 만에 말을 하고 다락을 걸어 올라갔다. 아기장수가 태어나면 멸문의 화를 입는다는 말에 아기의 부모는 아기를 챗돌로 눌려 죽였다. 그러자 앞산에서 용마가 나타나 아흐레 동안 울었고 마을 식수인 샘물은 핏빛으로 변했다. 스님은 장군이 죽었기 때문이라고 알려주며 마을 사람들에게 새로운 마을 터를 봐주었다. 그리고는 아기 장수와 용마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 새로 옮긴 마을을 ‘구룡동’이라 부르라고 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남 >천안시

    중이 까불다 장수에게 죽은 골짜기, 중 썩은 골
    옛날 천안시 병천면 도원리에 장수가 살았다. 하루는 지나가던 중이 병풍바위를 오르는 내기를 제안했다. 지는 사람은 목숨을 내놓기로 했다. 먼저 중이 뛰어올랐으나 실패했다. 이어서 장수가 뛰어올라 정상을 밟았다. 장수는 경쟁이 되지 않는 중이 감히 자신에게 경쟁을 청한 것에 몹시 화가 나 자신도 모르게 중의 등을 잡고는 내던졌고, 중은 땅에 떨어져 죽었다. 이후 마을에서는 중이 죽은 곳이라 해서 ‘중 썩은 골’이라 불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국도 28호선 장수로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북 >영천시

    경상도 영천의 장수역을 중심으로 형성된 장수도(長水道)
    장수도는 조선시대 경상도 신령(지금의 영천시 신녕면)에 있던 장수역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역로이며, 지금의 경상북도 남부 내륙과 동해안 및 경상북도 남부를 통과하는 역로를 관할했다. 1457년에 문경을 중심으로 형성된 유곡도에 통합되었다가 1462년 다시 장수도로 분리되었다. 장수도는 조선시대 한양에서 일본으로 향하던 사행단이 통과하던 구간이기도 하다. 지금의 경상북도 영천시를 비롯하여 경주시, 경산시, 청도군과 울산광역시를 통과하던 역로가 포함되었다. 이 일대를 운행하는 중앙선 및 대구선 철도에는 조선시대의 역 이름을 유지한 철도역이 설치되어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서울 >광진구

    개로왕이 굴욕을 겪은 아차산성
    해발 285m의 아차산에 있는 삼국시대의 퇴뫼식 석축산성으로 둘레 약 1,125m이다. 268년(책계왕 원년) 이를 수축하여 고구려의 침략에 대비하였으며 475년(개로왕 21) 9월 고구려 장수왕이 군사 3만명을 거느리고 백제에 침입하여 개로왕을 죽인 곳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북한

    안학궁과 대성산성
    고구려시기 427년(장수왕 15) 평양으로 도읍을 옮길 때 평지성인 안학궁을 짓고 전쟁에 대비한 대성산성을 한 쌍으로 지은 것으로 추정한다. 안학궁은 평지에 토성으로 둘러싸인 궁성이자 도성으로 남쪽 3km에 대동강이 흐르고 북으로는 대성산성이 자리하고 있다.대성산성은 안학궁의 북쪽 해발 274m의 대성산에 있는 돌로 만든 성이며 국사봉 등 6개의 봉우리와 그 능선을 따라 돌로 쌓은 포곡식 산성이다. 전체 둘레는 7,076m인데 2중 성벽과 3중 성벽 등을 합치면 9,284m에 달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엿장수소리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대전 >중구

    엿치기로 실력을 겨루는 문창 엿장수놀이
    문창 엿장수놀이는 조선시대 황가네와 김가네의 엿장수 이야기를 모티브로 만든 놀이이다. 오랫동안 중단된 이 놀이는 1990년대에 재현되었고, 몇 차례 변화를 거쳐 모두 다섯 마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마당인 장날을 시작으로 놀이판-싸움-엿치기-엿불림순으로 진행된다. 장날 호객행위로 시작된 김가네와 황가네의 싸움이 엿치기로 승부를 보는 내용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남 >논산시

    충남 논산시 연산면에서 엿 팔며 부르는 엿사시오소리
    충남 논산시에서는 「엿파는소리」로 엿사시오소리를 불렀다. 엿장수가 엿을 팔 목적으로 사람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부르는 노래로 이후 노는 자리에서도 불리었다. 엿사시오소리는 내용상 상품선전과 호객행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상품선전은 나열법, 호객행위는 과장법을 사용해 유쾌하고 익살맞은 느낌을 자아낸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북 >장수군

    후백제군이 군량을 모으던 합미성
    장수 합미성은 전라북도 기념물 제75호로 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식천리 177-1의 자고개 서북쪽 산기슭인 해발 800m의 능선 정상에 자리한 봉우리를 중심으로 축성한 테뫼식 산성이다. 산성 내부에서 출토된 유물로 백제 기와 조각과 토기 조각 등이 확인되어 백제에 의해 축성된 산성으로 추정된다. 합미성은 해발 1151m의 팔공산 남쪽 끝자락에 위치하고 있어 동북쪽으로는 장수분지를 조망할 수 있고, 서남쪽으로는 대성고원을 한눈에 살필 수 있는 요충지에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북 >장수군

    물의 뿌리 신앙의 뿌리, 장수성당 수분공소
    장수성당 수분공소가 자리 잡은 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수분리는 금강과 섬진강의 발원지가 있는 마을이다. 지역 토박이들은 수분리를 ‘물뿌랭이’ 마을이라고 부른다. 물의 뿌리라는 뜻이다. 수분리 일대에는 병인박해 이전부터 숨어사는 천주교 교우촌이 있었다고 한다. 수분공소는 1913년에서 1914년 사이 경상남도 함안성당과 전라북도 진안 어은동 성당 주임신부 간의 합의에 따라 중간 쉼터 격으로 세워졌다. 한옥으로 지어진 수분공소는 1921년 신도들의 합심 노력으로 현재 모습의 원형을 갖추었다. 들보와 서까래로 쓴 목재는 곡선을 그대로 살려 사용함으로써 친근하고 자연스러운 느낌을 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북 >장수군

    첨성대 닮은, 이념대립 시대의 유물 - 장수 호룡보루
    전라북도 장수군 산서면 동화리 ‘호룡보루’는 외관이 경상북도 경주시의 첨성대와 비슷하다. ‘호룡보루’는 1949년 빨치산의 동태를 감시하고, 공격에 대비하기 위해 경찰지서 앞에 세워진 일종의 망루다. 호랑이와 용처럼 용감하게 싸우라는 뜻으로 ‘호룡보루’라 이름 붙여진 망루는 원래 2개가 있었지만 서쪽 망루는 사라졌고 동쪽 망루만 남아 있다. 위로 갈수록 다소 작아지는 민흘림 방식으로 지어진 망루에는 3단에 걸쳐 총안이 나 있다. 1951년 호룡보루에서 전투가 벌어져 경찰관 4명과 민간인 향토방위대원 11명이 숨지기도 했다. 호룡보루가 세워진 전라북도 장수군 산서면은 지리산, 회문산, 덕유산 등을 근거지로 활동하던 빨치산들의 이동 경로였다. 극단적 이념대립 시대의 산물인 호룡보루는 2005년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장수의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북 >장수군

    삼을 삼으면서 부르는 전북 장수 압곡마을의 「삼삼는소리」
    전라북도 장수군 계북면 매계리는 해발 400m의 산촌으로 매계(매골)·압곡·삵다리·장동 등의 자연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삼삼는소리」는 삼의 올실을 길게 이으면서 부르는 노래인데, 형식이나 노랫말이 정해져 있지 않은 까닭에 자신이 알고 있는 노래를 부르는 것이 보통이다. 하지만 실제 부른 노래는 시집살이의 어려움을 토로하는 내용의 노랫말이 중심을 이룬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장수 마을신앙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3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북 >장수군

    마을 구석구석을 돌며 팥죽을 뿌리는 장수 삼고리 삼장 탑제
    전라북도 장수군 천천면에 위치한 삼고리는 삼국지와 관련해서 생긴 지명이다. 삼장마을에서는 매년 정월 초사흗날 오후에 마을 구석구석을 돌며 팥죽을 뿌리고 할아버지당산(조탑)에 모여 팥죽을 비롯한 제물을 진설하고 제를 올린다. 탑제를 달리 팥죽제라고도 한다. 장수 지역의 조탑은 대개 길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 보고 있는데 비해 삼장마을 조탑은 마을 입구와 안쪽에 분산하여 세워져 있다. 그리고 뒷당산의 신격이 보통 남신인데 비해 삼장마을에서는 여신으로 인식된다. 탑제는 여성 중심의 제의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북 >장수군

    하루에 두 번 산신과 조탑을 위하는 장수 선창리 음선 당산제와 조탑제
    선창리는 마을 지형이 배 모양처럼 생겼다고 해서, 음선마을은 음지쪽에 있는 마을이라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음선마을에서는 매년 정월 초사흗날에 당산제와 조탑제를 모시며 마을의 안녕을 기원한다. 음선마을에서는 3그루의 노송을 ‘웃당산’, 2기의 조탑을 ‘아랫당산’이라 한다. 이런 이중적 구조는 전라북도 산간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형태로 음선마을의 당산제와 조탑제는 지역성과 향토성을 잘 반영한 것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북 >장수군

    팥죽으로 액막이를 하는 장수 장판리 장척 산신제와 중천제
    전북 장수 장판리의 장척마을은 역사가 500년 이상 된 마을이다. 장척마을은 개꼬리 형상으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마을 숲과 돌탑을 조성하고, 매년 정월 초사흗날 자시에 산신제와 중천제를 모시고 있다. 산신제는 유교식으로 치러지고, 중천제는 여성이 중심이 되어 진행하는 액막이 의식으로 일명 ‘팥죽제’라고도 한다. 장수군과 진안군 일부 마을에서만 전승되는 제의 방식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