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정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정읍 근대문화유산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북 >정읍시

    일제 수탈의 아픈 역사를 지닌 정읍 화호리 구 일본인 농장 가옥
    전라북도 정읍시 신태인읍 화호리에는 정읍 화호리 구 일본인 농장 가옥이 있다. 이 건물은 1920년대 농장의 지주였던 구마모토가 정읍 화호리를 방문할 때 사용하기 위해 지은 가옥이다. 두 개의 공간이 복도로 이어져 앞쪽은 일본인 지주의 가족이 머물고 뒤쪽은 일본인 경리과장이 머물렀다고 한다. 일제강점기 우리 농민들의 노동력을 착취해 쌀을 수탈하고 부를 축적한 일본인의 행적이 고스란히 남은 곳으로 우리 민족의 가슴 아픈 역사를 보여주는 건물이다. 2005년 11월 11일 국가등록문화재 제215호로 지정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정인홍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남 >합천군

    의병장이며 두루 관직을 거친 정인홍
    정인홍은 임진왜란 때 합천에서 의병장 김면과 함께 의병을 모집하여 성주에 쳐들어온 왜군을 물리쳤다. 성주에서 승리를 거둔 뒤 영남 의병장이라는 호를 얻었다. 그 이후로도 그는 여러 지역의 항일 의병 활동에 참여하여 명성과 강력한 지역의 기반을 구축했다. 1597년 다시 일본군이 쳐들어오자 다시 의병을 일으켰고, 정유재란이 종결되자 합천으로 낙향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정렬각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남 >곡성군

    유팽로장군의 충절을 기리는 유월파장군정열각
    유월파장군 정열각은 전라남도 문화재자료로 전남 곡성군 옥과면 합강리 48번지에 위치하고 있다. 이 정열각은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왜적과 싸우다 전사 순국한 월파 유팽로 장군의 충절과 부인의 열행을 기리기 위해 1625에 세운 건물이다. 정면 2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으로 지어졌고, 마을에는 유팽로 장군이 순국 후 잘린 머리를 물고 집으로 돌아왔다는 말 무덤도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서울 >도봉구

    민족문화유산의 수호자, 서울 방학동 전형필 가옥
    간송 전형필은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시기 등 우리 민족이 위기와 고난에 처해 귀중한 문화유산을 지키기 어려웠을 때 전 재산을 털어 문화재를 지켰다. 간송이 지켜낸 문화유산에는 훈민정음 해례본, 고려청자, 추사 김정희의 글씨, 겸재 정선·단원 김홍도의 그림 등이 포함되어 있다. 전형필은 한국 최초의 근대적 사립박물관인 ‘보화각[현 간송미술관]’을 만들어 어렵게 모은 문화재를 간직했다. 등록문화재 제 521호인 서울 방학동 전형필 가옥은 그의 민족혼이 배어있는 집이다. 간송이 생전에 머물렀던 가옥으로는 현재 이곳이 유일하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남 >홍성군

    단종 복위에 힘쓰다. 사육신 성삼문
    성삼문은 충청남도 홍성 출신의 조선시대 문인이다. 세종 때 집현전 학사로 뽑혀 훈민정음 창제에 크게 공헌을 하였다. 성삼문은 조선시대 충절을 지킨 사육신(死六臣) 중의 한 사람이다. 1454년(단종 2) 아버지 성승, 박팽년 등과 함께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 밀고에 의해 발각되어 군기감 앞에서 온몸이 찢기는 최대의 형벌인 능지처사를 당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남 >서천군

    사육신 이개, 죽음 앞에서도 태연하게 시를 읊다
    이개는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출신의 조선전기 문신이다. 1441년(세종 23) 집현전 저작랑으로서 당나라 명황(明皇)의 사적을 적은 《명황계감(明皇誡鑑)》의 편찬과 훈민정음 창제에도 참여하였다. 이개는 단종 복위 사건을 도모하다 숨을 거둔 성삼문·박팽년·하위지·유성원·유응부와 함께 사육신으로 불린다. 이개는 끔찍한 거열형을 앞두고도 태연하게 시를 읊으며 단종에 대한 충절을 지켰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오정산성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북 >보은군

    보은의병 전투지 삼년산성
    삼년산성에서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던 시기는 정미의병시기였다. 1907년 고종이 강제 퇴위당하고 군대가 해산되면서 해산군인이 대거 의병으로 합류하여 격렬한 항일전이 벌어졌다. 보은의병은 삼년산성을 근거지로 항일투쟁을 전개하고 있었는데, 1907년 8월 일본군의 공격을 받았다. 이로 인해 의병은 30여 명의 사상자와 소총 4자루를 빼앗기는 피해를 입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지정환신부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북 >임실군

    임실에서 처음 생산된 국산 치즈
    치즈는 소, 염소, 물소, 양 등의 동물의 젖에 들어있는 단백질을 응고시킨 식품이다. 한국에 치즈공장이 대규모로 세워진 것은 신부 지정환씨(본명 디디에세 스테벤스)가 고향인 벨기에에서 치즈 제조법을 배워 돌아온 1967년이다. 임실군의 10여 농가와 같이 국내최초로 산양젖으로 치즈 공장을 만들었으나 1970년대 젖소를 농가에서 많이 사육하면서 우유로 만들게 된다. 1975년 삼양식품과 서울우유협동조합에서 치즈를 만들고 1979년 해태유업에서도 치즈를 만드는 등 오늘날 여러 기업에서 다양하게 치즈를 만들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정의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3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한국 지명유래 개념과 분류
    지명유래는 전부터 내려오는 지명의 전승 내력이다. 그리하여 지명유래는 전설과 통한다. 이에 연구자들은 지명유래를 지명 전설이라고도 한다. 지명을 분류하는 데 있어 정설(定說)은 없으나 일반적으로 자연과 관계된 지명과 인문과 관계된 지명으로 분류하였다. 지명유래 또한 이러한 지명의 분류를 바탕으로 나누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연과 관계된 지명유래는 다시 마을의 지형, 위치·방향, 산·바다·바위 등의 자연물 그리고 동식물 등 네 개의 하위 범주로 나눌 수 있으며, 인문과 관계된 지명유래는 산업·경제, 교통, 역사, 유적과 유물 등 네 개의 하위 범주로 나눌 수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지명유래담의 종류 - 역사, 교훈, 풍수지리
    지명유래담은 내용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역사적 사건과 관련하여 역사서에서는 볼 수 없었던 이면의 이야기나 전설을 전하는 지명, 윤리적으로 민중을 계도할 수 있는 교훈을 주는 지명, 지형을 풍수지리로 설명하는 지명이 그것이다. 전국 곳곳에는 효자 이야기, 개무덤, 탁발 온 스님 이야기 등 비슷한 내용의 지명유래담이 전하고 있으며, 예로부터 선비들이 신성시하고 좋아했던 매화, 학, 거북, 용 등의 풍수지리와 관련된 이야기도 곳곳에 전해 내려온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한국 지명의 명명과 지명유래의 전승
    지명유래는 지명으로부터 시작한다. 곧 지명이 명명된 사연이 지명유래이니 지명의 존재가 중요하다. 우리나라에 한자가 들어오기 전부터 우리는 지명 및 지명유래를 구술(口述)로 기록하였다. 그리고 이것이 구비(口碑) 전승(傳承)되어 현재에 이르렀다. 그런데 처음에 명명된 지명은 시대에 따라 변하기도 하며, 이에 따라 그 유래 또한 달라진다. 그런가 하면 지명은 그대로 있는데 전승 과정에서 지명유래가 구술자에 따라 변하거나 바뀌기도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조선국녀, 정유재란 때 끌려간 한 소녀이야기

    출처 :한국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전북 >남원시

    조선국녀, 정유재란 때 끌려간 한 소녀이야기
    정유재란 때 남원에서 끌려간 것으로 추정되는 베 짜는 소녀를 기리는 일본 고치현 가미카와구치 마을을 찾아 “조선국녀묘(朝鮮國女墓)”에 얽힌 기록과 이야기를 추적한 다큐멘터리 영상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조선국녀, 정유재란 때 끌려간 한 소녀이야기

    출처 :한국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전북 >남원시

    조선국녀, 정유재란 때 끌려간 한 소녀이야기
    정유재란 때 남원에서 끌려간 것으로 추정되는 베 짜는(직공) 소녀의 이야기를 소재로 한 그림책. 400년이 지난 지금도 일본 고치현 가미카와 구치 마을에 소녀를 기리는 “朝鮮國女墓”에 얽힌 이야기를 삽화와 함께 누구나 쉽게 읽어 볼 수 있도록 제작한 콘텐츠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정유재란과 구례의병 '석주관을 지켜라'

    출처 :전라남도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전남 >구례군

    정유재란과 구례의병 '석주관을 지켜라'
    전남 구례의 석주관에 묻힌 조선 시대 의사 7명의 이야기를 담은 웹툰이다. 석주관(石柱關)은 전라도 내륙 침범을 방어하는 관문성으로, 조선 선조 30년 정유재란 때 여러 차례 왜와의 격전이 벌어진 곳이다. 열악한 상황에서 왕인득·왕의성 부자를 위시하여 구례의 선비들이 의연히 의병을 일으켰고 대다수 장렬히 순절하였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정읍! 솜씨를 담다

    출처 :전라북도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전북 >정읍시

    정읍! 솜씨를 담다
    전북 정읍지역의 전통 생활문화를 소개하는 다큐멘터리이다. 의류, 음식, 생활 등 테마별로 전통공예의 달인을 만나 그들의 이야기와 솜씨를 만나본다. 삼베 짜기, 의류 제작, 다식 만들기, 뻥튀기 만들기 등 농경문화에서 꽃피운 우리의 생활상을 생생히 볼 수 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테마스토리 전북 >정읍시

    보천교 교당을 헐고 다시 지은 집, 정읍 관청리 근대 한옥
    정읍 관청리 근대 한옥은 1940년 고부 지방의 대지주였던 조상원이 지은 집이다. 조상원이 ‘보천교’ 중앙본소 건물을 1938년경에 사들여 해체한 다음 재목을 활용해 2년에 걸쳐 주택으로 고쳐 지었다. 정읍시 입암면 대흥리에 있었던 ‘보천교’ 중앙본소 건물은 건축자재를 백두산의 원시림에서 가져다 썼으며 궁궐 규모의 거대한 성전이었다고 한다. 조상원의 손자인 조재홍 일가가 외지로 이주하면서 집은 방치되었으나 2005년 가옥의 종교·건축·역사적 가치가 인정되어 등록문화재로 지정되며 2008년과 2010년 대대적으로 보수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북 >정읍시

    최치원을 추모하는 연꽃 향기 그윽한, 정읍 피향정
    피향정은 전라북도 정읍시 태인면 태창리 102-2번지에 있는 조선시대의 정자이다. 보물 제289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 정자는 동방 유학자의 시조로 일컬어지는 신라의 최치원이 890(진성여왕 4)~893년 사이에 태인태수로 있으면서 태인에 지었다고 한다. 이후 최치원을 추모하며 조선시대에 거듭 중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피향정에는 상련지·하련지의 연꽃 연못이 있어 그 향기가 널리 퍼진다고 하여 피향정이라 명명하였다. 연꽃은 군자의 꽃으로 일컬어지는데, 동방 유학의 시조 최치원을 연꽃에 비유하여 그의 고고한 군자의 덕을 칭송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