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정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서울 >도봉구

    민족문화유산의 수호자, 서울 방학동 전형필 가옥
    간송 전형필은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시기 등 우리 민족이 위기와 고난에 처해 귀중한 문화유산을 지키기 어려웠을 때 전 재산을 털어 문화재를 지켰다. 간송이 지켜낸 문화유산에는 훈민정음 해례본, 고려청자, 추사 김정희의 글씨, 겸재 정선·단원 김홍도의 그림 등이 포함되어 있다. 전형필은 한국 최초의 근대적 사립박물관인 ‘보화각[현 간송미술관]’을 만들어 어렵게 모은 문화재를 간직했다. 등록문화재 제 521호인 서울 방학동 전형필 가옥은 그의 민족혼이 배어있는 집이다. 간송이 생전에 머물렀던 가옥으로는 현재 이곳이 유일하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남 >홍성군

    단종 복위에 힘쓰다. 사육신 성삼문
    성삼문은 충청남도 홍성 출신의 조선시대 문인이다. 세종 때 집현전 학사로 뽑혀 훈민정음 창제에 크게 공헌을 하였다. 성삼문은 조선시대 충절을 지킨 사육신(死六臣) 중의 한 사람이다. 1454년(단종 2) 아버지 성승, 박팽년 등과 함께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 밀고에 의해 발각되어 군기감 앞에서 온몸이 찢기는 최대의 형벌인 능지처사를 당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남 >서천군

    사육신 이개, 죽음 앞에서도 태연하게 시를 읊다
    이개는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출신의 조선전기 문신이다. 1441년(세종 23) 집현전 저작랑으로서 당나라 명황(明皇)의 사적을 적은 《명황계감(明皇誡鑑)》의 편찬과 훈민정음 창제에도 참여하였다. 이개는 단종 복위 사건을 도모하다 숨을 거둔 성삼문·박팽년·하위지·유성원·유응부와 함께 사육신으로 불린다. 이개는 끔찍한 거열형을 앞두고도 태연하게 시를 읊으며 단종에 대한 충절을 지켰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금정산성막걸리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부산 >금정구

    누룩, 국가가 통제하다.
    누룩은 곡식을 발효시켜 술로 만들 때 필요한 발효제이다. 전근대 시기 누룩은 주로 밀로 만들었는데 밀 농사를 지은 농민들이 부업으로 만들어 장에서 팔았다. 일제시대 대규모로 누룩을 제조하는 공장들이 출현하였는데 농촌에서 부업으로 만드는 누룩도 공존하였다. 1930년대 일제는 누룩 제조를 특정 공장에만 허가하고 전매권을 주었다. 다양하게 만들어지던 누룩은 국가에 의해 통제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하남정씨

연관자료

  • 지역문화 Pick (7건)
자세히보기

#북벌정책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대전 >서구

    조선 효종 북벌론의 핵심, 유혁연
    유혁연은 조선 후기 무신으로 전략과 군사행정면에서 뛰어난 재능을 발휘하였다. 그는 군사 행정과 전략에 뛰어난 재능이 있어 북방 민족 침임에 대비하기 위해 나무를 심어 기병의 내습을 막자는 의견과 화차(火車)의 사용을 권장하였으며 병서(兵書)의 연구도 강력하게 주장하였다. 효종의 북벌정책에 기용되어 그 뜻을 받들어 임무를 열심히 수행하였으나, 1680년(숙종 6) 경신환국 정변에서 남인이 숙청될 때 이에 연루되어 모함을 받아 경상도 영해로 유배되었으며 사약을 받고 65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정려각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북 >성주군

    박이현 의병장의 충절을 기리기 위한 충신문
    충신문은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임진왜란 때 참전하여 공을 세운 박이현과 이괄의 난 때 순절한 박영서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건립된 정려각이다. 박이현은 김면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성주에서 활약하였고, 박영서는 창성부사로 이괄의 난 때 장만의 선봉장으로 참전하였다가 순절하였다. 정부에서 1625년에 정려를 내리고 세운 정려각은 조선 중기의 건축양식을 잘 보전하고 있어 두 부자의 충절을 선양하는 역사적·교육적 자료로 중요한 가치가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울산 >울주군

    정려각에 얽힌 열녀와 호랑이의 우정
    조선 초 신녕현감 유혜지가 세상을 뜨자 그의 부인 정씨는 스물다섯의 나이에 과부가 되었다. 정씨의 친정에서는 재혼을 권하였지만 정씨가 거부하자, 친정어머니가 돌아가셨다는 거짓 소식을 전하여 친정으로 오게 하였다. 정씨가 친정에 갔다가 거짓말인 것을 알고 다시 시댁으로 돌아가는 길에 호랑이의 도움을 받아 무사히 돌아가게 되었다. 그 후 정씨는 남편의 시묘살이를 하였는데 매일 밤 호랑이가 찾아와 정씨를 보호해주었다. 어느 날 호랑이가 보이지 않았다. 호랑이가 함정에 빠져 구해달라는 꿈을 꾸고 정씨가 호랑이를 구해주었다. 삼년상을 마치자 무덤이 열렸고 정씨가 들어가 남편 옆에 누우니 무덤이 다시 닫혔다. 사흘 뒤 호랑이도 정씨를 따라 죽었고 가족들은 호랑이를 거두어 묻어주었다고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일제에 의해 강제로 집행된 고종 퇴위
    1905년 을사늑약이 일제에 의하여 강제로 체결되자 고종은 조약의 무효를 세계에 알리기 위하여 외교적인 노력을 전개하였다. 이에 이완용을 비롯한 매국 대신들은 이토의 요구로 연일 고종이 책임을 지고 물러날 것을 협박하며 강요하였다. 고종은 결국 1907년 7월 20일 순종에게 황제위를 대리케하고 물러났고, 이러한 소식이 전해지자 각지에서 의병이 다시 일어났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함안군

    자연과 더불은 유유자적을 어찌 바꿀소냐, 함안 하환정
    하환정(何換亭)은 무기연당(舞沂蓮塘) 정원에 있는 조선시대의 정자로 무기연당과 함께 국가민속문화재 제208호로 지정되어 있다. 조선후기 이인좌의 난 때 의병장으로 활약했던 주재성이 1717년(숙종 43)에 무기연당을 조성하고 1728년(영조 4)에 하환정을 건립하였다. 정자명의 ‘하환(何換)’이란 말은 “어찌 바꿀 수 있겠는가.”라는 뜻으로, 부귀영달을 할 수 있는 영의정·좌의정·우의정의 삼공이라도 자연과 더불어 유유자적하는 삶을 바꾸지 않겠다는 뜻이 담겨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함안군

    온갖 경치 모두 모인 조물주의 무진장, 함안 무진정
    무진정은 경상남도 함안군 함안면 괴산4길 25(괴산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정자이다.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158호이다. 조선 전기의 문신 무진(無盡) 조삼(趙參:1473~?)이 후진 양성과 여생을 보내기 위해 건립하였으며, 1567(명종 22)에 조삼의 후손들이 그의 덕을 추모하기 위해 중건하였다. 주변 경관이 예로부터 뛰어나 조물주의 무진장이라고 칭하여졌다. 조선 전기의 정자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합천군

    자연과 더불어 호연지기를 키우길 바라는, 합천 호연정
    호연정은 경상남도 합천군 율곡면 문림길 40-19에 있는 조선시대의 정자이다. 경상남도 시도유형문화재 제198호로 지정되어 있다. 조선 중기의 문신 이요당 주이가 벼슬에서 돌아와 학문 연마와 후진 양성을 위해 지은 정자이다. 본래의 정자는 임진왜란 때 불타버려 후손들이 인조무렵에 다시 중건하였다. 호연정의 정자명은 맹자의 ‘호연지기’에서 따와 자연과 더불어 정정 당당한 호연지기를 키우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정자를 지었다. 정자의 건축물도 가공보다는 자연 그대로의 재료를 사용하여 독특한 자연미를 풍기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서울 >중구

    고종황제를 매혹시킨 커피
    커피는 개항이후 조선의 궁궐인 경복궁이나 덕수궁에서 서양인을 접대할 때 사용되었다. 고종은 커피를 상당히 좋아했다. 서양인 선교사들은 커피를 가지고 한국에 왔는데 한국인에게 대접하기도 하였다. 일제시대 커피는 일반인들에게 많이 퍼져서 1930년대 후반에는 다방도 많이 생겼다. 이 시기 커피는 원두를 갈아 주전자에 끓여 체에 받쳐 걸러 먹었다. 1930년대 후반 전쟁으로 수입이 통제되면서 커피의 사용은 줄어들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삼정승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강원 >횡성군

    삼정승 육판서 명당
    가난한 아이가 부모님이 돌아가시자 임시로 매장을 한다. 훈장이 ‘삼정승 육판서가 날 명당자리’를 잡아주며, 아이에게 장가간 첫날밤에 호환에 갈 것이라고 한다. 아이는 자신은 호환에 가도 상관없으니 그곳에 부모의 묘를 쓰겠다고 한다. 아이가 장가간 첫날밤에 여산대호가 나타나 물고 간다. 아이는 독수리 덕에 살아나고 나무꾼들의 보살핌으로 목숨을 건진다. 아이가 20년 만에 고향에 돌아왔더니 신부가 세쌍둥이를 출산하고 그 아들들이 삼정승이 되어 있었다는 이야기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금정역터 테마파크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남 >청양군

    금정도의 중심 금정역
    금정역은 조선시대 충청도 청양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금정도의 중심이 되는 찰방역이었으며, 충청남도의 서남부 지방으로 뻗어 있던 교통로를 관할했다. 금정역이 관할하던 역은 모두 9개였다. 1756년 본래의 금정역과 인접한 용곡역을 통합하는 과정에서 기존 용곡역을 금정역이라 명명하면서, 금정역의 위치가 지금의 청양군 화성면 용당리로 옮겨갔다. 금정역은 정약용이 천주교 사건과 관련하여 좌천되면서 찰방으로 근무했던 역이기도 하다. 지금은 조선 후기의 금정역 건물이 사라지고 역터 입구에서 찰방비가 세워져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