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청주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일제강점기부터 있던 백 년 가게, 청주약국

    출처 :한국문화원연합회

    웹툰 충북 >청주시

    일제강점기부터 있던 백 년 가게, 청주약국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에는 한 자리에서 백 년이 넘는 역사를 지킨 '청주약국'이 있다. 청주약국은 1910년대 일본인 약사가 현 위치에 문을 연 ‘소전약국’에서 비롯되었다. 고(故) 신철우가 소전약국 점원으로 일하다 1945년 해방이 되자, 약국을 인수하여 ‘청주약방’의 간판을 걸면서 청주약국이 시작되었다. 약사면허가 없었던 신철우는 고용 약사를 두고 오랜 기간 약국을 운영하였다. 이후 1986년에서야 약사인 신동남이 맏며느리로 시집오자 자연스럽게 약국을 물려주게 되었다.
  • 테마스토리 충북 >청주시

    청주의 옛이름을 단 상당산성
    상당산성은 청주에서 동쪽으로 7.5km에 청주와 청원군의 경계를 이루는 해발 491.2m 상당산 위에 쌓은 포곡식 석성이다. 둘레가 4.2km, 높이 3~4m, 내부면적 220,000평이다. 『삼국사기』에는 통일신라 초기에 김유신의 셋째 아들이 서원술성을 쌓았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때 쌓여진 것이 아닌가 추측되기도 한다. 상당이란 이름은 백제 때 청주목을 상당현이라 부르던 것에서 유래한 것이다.서쪽으로 청주·청원 시내가 한 눈에 내려다 보여 서쪽 방어를 위해 쌓여진 곳이었음을 알 수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북 >청주시

    자연과 더불어 두꺼비와 함께 공존하는 청주 두꺼비시장
    청주 두꺼비시장은 충북 청주시 서원구에 위치한 작은 골목형 재래시장으로, 아파트, 주택 밀집 지역에서 발전해 왔으며 전통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2016년 10월부터 3개월간 시장 환경개선사업을 실시하였다. 인근 두꺼비생태공원과 연계한 내부 디자인을 두꺼비와 연관된 다양한 스토리텔링을 접목시킨 뒤 시장의 특색을 살렸다. 시장의 주 판매 품목은 농수축산물, 생필품, 야채, 과일 등이고, 작은 순대골목에서 순대로 만든 맛있는 음식도 맛볼 수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청주 근대문화유산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북 >청주시

    미국 선교사 주택으로 쓰인 여섯채의 건물, 청주 탑동 양관
    충청북도 청주시 탑동에는 청주 탑동 양관이라는 6동의 서양식 건물이 있다. 미국의 선교사와 관련된 건물로 1906년에서 1932년 사이에 지어졌다. 모든 건물은 2층 이상이며 지하실을 갖추고 있으나 시간의 흐름에 따라 건축의 변화를 보인다. 벽돌로 쌓은 벽체에 지붕에는 기와가 올려져 있어 한식과 양식의 절충식 형태를 띠고 있다. 제3호부터 제6호는 일신여자고등학교 내부에, 제1호와 제2호는 외부에 자리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북 >청주시

    주성교육박물관으로 재탄생한 청주 구 청주공립보통학교 강당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영동에는 구 청주공립보통학교의 강당이었던 ‘주성교육박물관’이 자리하고 있다. 청주공립소학교로 개교하여 청주공립보통학교, 주성국민학교로 교명이 변경되다가 현재 주성초등학교로 불린다. 구 청주공립보통학교 강당은 2001년 주성교육박물관으로 개관하여 학습자료 및 민속용품 등 다양한 자료를 전시하고 있다. 이 건물은 충청북도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학교 건물로 역사적·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 2007년 국가등록문화재 제350호에 지정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북 >청주시

    전국 5대 재래시장, 청주 육거리종합시장
    육거리종합시장은 청주의 대표적인 전통시장이자 전국 5대 재래시장에 꼽힐 만큼 규모가 크고, 점포 수, 방문객 수가 많은 곳이다. 12개의 시장이 합쳐져, 전통시장의 현대화에 성공한 대표적인 시장으로도 꼽힌다. 육거리종합시장의 심볼은 남석교인데, 그 색깔에 따라 물건의 종류를 상징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북 >청주시

    시민들 곁으로 다시 돌아온, 옛 청주역사공원
    1921년 개통된 청주역은 47년간의 세월을 뒤로하고 1980년, 지금의 정봉동으로 이전했다. 그리고 2019년 1월 7일, 옛 청주역을 복원한 ‘옛 청주역사공원’이 시민들 곁으로 돌아왔다. 역사 전시관 안에 디오라마, 당시의 소품, 디지털 사진자료, 간이 플랫폼 등이 있어 당시의 풍경을 보고 역사를 한 눈에 알 수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북 >청주시

    추억의 골목 여행, 청주 수암골 벽화마을
    충북 청주시 상당구 우암산 자락에 위치한 수암골은 6·25전쟁 후 피난민들이 정착하면서 형성된 전형적인 달동네였다. 낙후되고 초라한 마을의 모습이었던 이곳은 2007년에 진행된 공공미술 프로젝트와 함께 벽화마을로 재탄생되었다. 이후 드라마 촬영지로 알려지면서 청주를 찾는 탐방객들이 꼭 들르는 최고의 명소가 됐다. 현재 수암골 벽화마을은 문화공간으로 변신중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청주의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북 >청주시

    충북 청주의 모 심으며 부르는 아라성소리
    충청북도 청주시에서는 모를 심을 때 아라성소리를 불렀다. 아라성소리는 경상북도와 충청북도에서 전승되던 「모심는소리」로 아라리가 정자소리의 영향을 받아 파생된 독자적 노래이다. 4마디짜리 전언가사에 “아라리야 어러리야 / 아리랑 아리송 어러리야”처럼 “아라성” 또는 그 비슷한 음을 핵심어로 하는 디딤가사를 붙여 선후창으로 부른다. 충주시 미원면에서는 모를 찔 때도 아라성소리를 불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북 >청주시

    충북 청주의 새 쫓으며 부르는 오늘만까먹고소리
    충청북도 청주시에서는 「새쫓는소리」로 오늘만까먹고소리를 불렀다. 「새쫓는소리」는 논에 날아드는 새를 두레박이나 파대, 양철조각 등으로 쫓으며 부르던 노래이다. 경북 문경과 영덕, 충북 청주에서 전승되었다. 이 노래는 <구렁덩덩 신선비>라는 옛이야기를 배경설화로 하고 있어 특징적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청주시장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북 >청주시

    청주 육거리종합시장에서의 의미 있는 답교놀이
    다리밟기는 정월 대보름에 다리를 밟는 민속이다. 충청북도 청주시 석교동에는 조선시대 이전에 놓인 다리 가운데 제일 긴 다리인 남석교(南石橋)가 있었다. 그러나 1930년대 청주 시내를 흐르는 무심천(無心川)의 물길이 변경되면서 매립되어 시장으로 변모하고, 남석교 또한 매몰되어 지금은 그 모습을 볼 수 없다. 청주시의 대표적인 시장인 ‘육거리종합시장’은 1950년 이후에 형성되었다. 이곳 육거종합시장에 바로 남석교가 묻혀 있다. 그래서 청주문화원 등의 공공단체와 시민단체들이 시장 입구에 남석교 모형을 만들어 놓고 ‘남석교 다리밟기’ 놀이를 재현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청주 관문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북 >청주시

    율봉도의 중심 율봉역
    율봉역은 조선시대 충청도 청주를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율봉도의 중심이 되는 찰방역이었으며, 청주를 중심으로 지금의 충청북도 동남부 일대의 교통로를 관할했다. 율봉역은 청주 지방의 대표적인 역이었으며, 청주의 북쪽 관문 역할을 했다. 조선시대에 유배가던 조원의와 관련한 이야기가 전해지는 밤나무고개가 역의 남쪽에 있다. 율량동 중리마을에 있던 율봉역의 옛 건물은 1992년 화재로 소실되었으며, 역터는 대부분 사라졌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청주우체국 율봉역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북 >청주시

    충청도 청주를 통과하던 율봉도(栗峰道)
    율봉도는 조선 시대 충청도 청주의 율봉역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역로이다. 율봉도는 청주를 중심으로 북쪽의 진천, 동북쪽의 청안, 동남쪽의 보은-회인-상주로 이어지는 구간, 남쪽의 문의-옥천-영동-황간-추풍령으로 이어지는 구간 등을 관리했다. 지금의 충청북도 서북부를 제외한 충청북도 전 지역의 역을 관할했다. 조선 시대의 역로였던 율봉도와 이를 계승한 현대의 도로망은 청주가 충청북도에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도시임을 짐작케 해 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청주성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북 >옥천군

    조헌의병장의 위패를 모신 옥천후율당
    옥천 후율당은 충청북도 기념물로 충청북도 옥천군 안내면 도이길 42에 위치하고 있다. 조선시대 공조좌랑, 전라도도사, 보은현감 등을 지낸 문신이자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이었던 조헌의 위패를 모시고 있는 사당이다. 후율당은 정면 3칸, 측면 1칸의 팔작지붕건물로 보은현감을 사직하고 옥천에 있을 때 제자를 양성하기 위해 지은 후율정사를 조헌이 순국한 뒤 사당으로 만든 것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뿌리공원 성씨비 (청주한씨,후면비문)

    출처 :대전광역시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대전 >중구

    뿌리공원 성씨비 (청주한씨,후면비문)
    전국 유일의 '효' 테마공원인 대전 뿌리공원의 사진이다. 자신의 뿌리를 알 수 있는 성씨별 조형물과 공원시설 등을 갖춘 체험학습 교육장이다. 성씨비에는 각 성씨와 성과 본관, 유래 등을 표기하고 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뿌리공원 성씨비 (청주한씨,전면비문)

    출처 :대전광역시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대전 >중구

    뿌리공원 성씨비 (청주한씨,전면비문)
    전국 유일의 '효' 테마공원인 대전 뿌리공원의 사진이다. 자신의 뿌리를 알 수 있는 성씨별 조형물과 공원시설 등을 갖춘 체험학습 교육장이다. 성씨비에는 각 성씨와 성과 본관, 유래 등을 표기하고 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뿌리공원 성씨비 (청주한씨,우측면)

    출처 :대전광역시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대전 >중구

    뿌리공원 성씨비 (청주한씨,우측면)
    전국 유일의 '효' 테마공원인 대전 뿌리공원의 사진이다. 자신의 뿌리를 알 수 있는 성씨별 조형물과 공원시설 등을 갖춘 체험학습 교육장이다. 성씨비에는 각 성씨와 성과 본관, 유래 등을 표기하고 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청주 표충사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북 >청주시

    반란군의 회유에 넘어가지 않은 청주성 3인의 청주 표충사
    청주의 표충사는 이인좌의 반란군이 청주성을 함락할 때 성을 지키던 이봉상, 남연년, 홍림을 배향하는 사우이다. 청주성은 영남과 호남의 중간지점으로 군대가 무기를 갖춘 병영이 설치되어 있어 반란군이 가장 먼저 점령한 곳이었다. 청주성을 지키던 무신들은 반란군의 회유에도 넘어가지 않았고 오히려 반란군을 꾸짖고 죽임을 당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