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청주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청주 마을이야기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북 >청주시

    시민들 곁으로 다시 돌아온, 옛 청주역사공원
    1921년 개통된 청주역은 47년간의 세월을 뒤로하고 1980년, 지금의 정봉동으로 이전했다. 그리고 2019년 1월 7일, 옛 청주역을 복원한 ‘옛 청주역사공원’이 시민들 곁으로 돌아왔다. 역사 전시관 안에 디오라마, 당시의 소품, 디지털 사진자료, 간이 플랫폼 등이 있어 당시의 풍경을 보고 역사를 한 눈에 알 수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북 >청주시

    천년의 세월을 견딘 청주의 랜드마크, 용두사지 철당간
    청주지역의 유일한 국보(제41호)인 용두사지 철당간은, 고려 광종13(962년)에 조성되어 천년이 넘은 세월을 청주의 역사와 함께하고 있다. 당간은 사찰 앞에 세워진 깃발로, 당간지주는 남아있는 편이지만 당간까지 함께 남아있는 경우는 드물어 국보에 지정되었다. 이 당간에는 당간을 만들 당시의 역사적 사실이 새겨져 있어, 건립 연대가 확실한 유일한 당간이기도 하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청주지명유래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북 >청주시

    혜운스님이 창건한 청용사가 있던 마을, 청주 청용리
    청주시 상당구 가덕면의 청용리는 청용사의 절 이름에 빗대어 마을 이름으로 쓰고 있다. 청용사는 경주 황룡사 주지인 혜운스님이 창건한 절로, 부처님의 파자를 받아 청용사라 이름 지었다. 과천에 똑같은 이름의 절이 있다가 이곳 청용사가 부흥하면서 쇠퇴했다. 청용사는 조선 시대에 이르기까지 번성하였으나 명나라 이여송이 청용사 뒤에 있는 산의 정기를 끊는 바람에 절은 퇴락하였다. 청용사가 있던 자리에 사람들이 살면서 마을 이름을 절의 이름을 따서 청용리라 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청주의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북 >청주시

    충북 청주의 모 심으며 부르는 아라성소리
    충청북도 청주시에서는 모를 심을 때 아라성소리를 불렀다. 아라성소리는 경상북도와 충청북도에서 전승되던 「모심는소리」로 아라리가 정자소리의 영향을 받아 파생된 독자적 노래이다. 4마디짜리 전언가사에 “아라리야 어러리야 / 아리랑 아리송 어러리야”처럼 “아라성” 또는 그 비슷한 음을 핵심어로 하는 디딤가사를 붙여 선후창으로 부른다. 충주시 미원면에서는 모를 찔 때도 아라성소리를 불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북 >청주시

    충북 청주의 새 쫓으며 부르는 오늘만까먹고소리
    충청북도 청주시에서는 「새쫓는소리」로 오늘만까먹고소리를 불렀다. 「새쫓는소리」는 논에 날아드는 새를 두레박이나 파대, 양철조각 등으로 쫓으며 부르던 노래이다. 경북 문경과 영덕, 충북 청주에서 전승되었다. 이 노래는 <구렁덩덩 신선비>라는 옛이야기를 배경설화로 하고 있어 특징적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청주시장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북 >청주시

    청주 육거리종합시장에서의 의미 있는 답교놀이
    다리밟기는 정월 대보름에 다리를 밟는 민속이다. 충청북도 청주시 석교동에는 조선시대 이전에 놓인 다리 가운데 제일 긴 다리인 남석교(南石橋)가 있었다. 그러나 1930년대 청주 시내를 흐르는 무심천(無心川)의 물길이 변경되면서 매립되어 시장으로 변모하고, 남석교 또한 매몰되어 지금은 그 모습을 볼 수 없다. 청주시의 대표적인 시장인 ‘육거리종합시장’은 1950년 이후에 형성되었다. 이곳 육거종합시장에 바로 남석교가 묻혀 있다. 그래서 청주문화원 등의 공공단체와 시민단체들이 시장 입구에 남석교 모형을 만들어 놓고 ‘남석교 다리밟기’ 놀이를 재현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청주 표충사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북 >청주시

    반란군의 회유에 넘어가지 않은 청주성 3인의 청주 표충사
    청주의 표충사는 이인좌의 반란군이 청주성을 함락할 때 성을 지키던 이봉상, 남연년, 홍림을 배향하는 사우이다. 청주성은 영남과 호남의 중간지점으로 군대가 무기를 갖춘 병영이 설치되어 있어 반란군이 가장 먼저 점령한 곳이었다. 청주성을 지키던 무신들은 반란군의 회유에도 넘어가지 않았고 오히려 반란군을 꾸짖고 죽임을 당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청주우체국 율봉역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북 >청주시

    충청도 청주를 통과하던 율봉도(栗峰道)
    율봉도는 조선 시대 충청도 청주의 율봉역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역로이다. 율봉도는 청주를 중심으로 북쪽의 진천, 동북쪽의 청안, 동남쪽의 보은-회인-상주로 이어지는 구간, 남쪽의 문의-옥천-영동-황간-추풍령으로 이어지는 구간 등을 관리했다. 지금의 충청북도 서북부를 제외한 충청북도 전 지역의 역을 관할했다. 조선 시대의 역로였던 율봉도와 이를 계승한 현대의 도로망은 청주가 충청북도에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도시임을 짐작케 해 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북 >청주시

    무장이 영조의 태실을 보호하는 충청북도 청주의 무성리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낭성면에는 ‘무성리(武城里)’라는 마을이 있다. 3·1운동을 기점으로 전국적으로 독립운동이 확산할 때, ‘학도사’라 불리는 풍수가 명당자리를 살폈다. 그리고는 오래된 건물이 있는 자리에 부친의 무덤을 썼다. 그런데 학도사의 꿈에 한 무장(武將)이 나타나 호통을 치면서 형틀에 몸을 묶어 놓고 때렸다. 다음 날 아침에 그곳에 가보니 그 오래된 건물은 왕의 태실이었다. 마을 사람들은 이러한 이야기를 듣고, 무장이 태실을 보호하고 있다고 해서 ‘무성리’라 부르게 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북 >청주시

    용이 영웅의 정기를 빼앗아 올라간 충북 청주의 용박골
    충청북도 청주시 용암동에 ‘용박골’이라 부르는 마을이 있다. ‘용박’은 용바위를 의미하는 말이다. 마을에 ‘용바위’라 불리는 바위가 소재해 있어서 원래는 ‘용바위골’로 부르다가 ‘용박골’이 되었다. 옛날 영웅이 되기 위해 용박골에 한 무사가 찾아왔다. 그러나 용이 먼저 그 자리를 차지해 결국 무사는 영웅이 되지 못하고 어디론가 사라졌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북 >청주시

    스님들이 넘어 다니던 충북 청주의 구중고개
    충청북도 청주시 용암1동에 속해 있는 법정동인 용정동에 ‘구중고개’ 또는 ‘이정골고개’라고 부르는 고개가 있다. 옛날 청주시에 소재한 낙가산 보살사를 오르내리던 스님들이 넘어 다니던 고개였다. 그러나 한 스님과 젊은 처녀가 목을 매어 자살한 이후부터 주지 스님인 보현스님이 고개를 넘어 다니는 것을 금지했다. 그 후 스님들이 넘어 다니지 않게 되어 옛 구(舊)를 써서 ‘구중고개’라 불렀다고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청주성 수복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기 >김포시

    의병장 조헌을 기리는 우저서원
    우저서원 조선 선조 때의 학자이며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인 조헌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하여 1648년에 지은 서원으로 1675년에 우저라는 사액을 받았다. 조헌의병장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옥천, 홍성, 청주 등지에서 의병을 모아 청주성 탈환에 큰 공을 세웠으며 왜군들이 전라도를 공략하기 위하여 금산으로 쳐들어올 때 의병장으로 왜적에 맞서 싸우다 전사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북 >청주시

    문의문화재단지로 옮겨온 청주 노현리 고가
    충청북도 청주시 문의면 노현리에 위치한 조선후기에 건립된 연안 이씨 이양훈(李讓勳)의 가옥이다. 본래 강릉 김씨 김승지(金承旨)의 종가(宗家)였으나 매매를 통해 이씨 소유가 되었다. 1993년에 문의문화재단지로 옮겨 보존 중이다. 문의문화재단지는 급속히 변화하는 산업화의 과정에서 전통문화를 교육하고자 만든 역사교육 현장으로 여러 채의 고가가 있다. 노현리 고가는 ㄱ자 형태의 안채 一자형의 광채, 사주문으로 이루어진 중부지역의 가옥이다. 안채에만 기와를 얹고, 나머지 건물채에는 초가를 얹어 건물의 위계를 보여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