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한국 복식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전국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무릎 보호대, 호슬
    호슬(護膝)은 무릎 보호대로 왕실 및 반가의 남자들이 무릎을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하였으며, 슬갑(膝甲)이라고도 한다. 호슬은 무릎 보호대였지만, 화려한 비단에 자수 장식을 하여 장식품의 역할과 하사품으로 쓰였으며, 혼례 복식에도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사신에게 주는 선물을 하거나 종친의 선물이나 백관의 하사품으로 사용되기도 하였고, 신분에 따라 금하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왕실이나 관리 계층에 한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한하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조선시대에만 착용한 신분 상징물, 흉배
    흉배(胸背)는 조선시대에만 나타나는 일종의 표식으로 사각형의 직물에 수를 놓아 착용자의 신분을 표시하는 신분 상징물이다. 왕·왕세자·왕세손 등이 사용한 것을 보(補)라 하고, 문무백관 관리들이 사용한 것을 흉배라고 하며 왕과 왕세자의 용문 흉배가 오조룡(五爪龍)·사조룡(四爪龍)·삼조룡(三爪龍)으로 구별되듯이 문무백관도 관품에 따라 문(文)의 구별이 있었으며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길게 땋은 머리에 드리는 끈, 말뚝댕기
    말뚝댕기는 길게 땋은 머리에 드리는 끈으로, 조선 후기에 주로 어린이용으로 만든 끝이 편편하고 납작한 직사각형 댕기이다. 말뚝댕기는 남여 어린이가 도투락댕기를 착용할 나이가 지나고, 머리가 짧아서 제비부리댕기를 사용하지 못할 때 제비부리댕기 사용 전에 드리웠으며, 직사각형 댕기 중 말뚝댕기는 어린이용이고, 목판댕기는 어른용으로 구분할 수 있다. 말뚝댕기의 형태는 미리 고를 접어 놓고 끈을 다는 것과 직사각형 댕기를 반으로 접어 만드는 두 가지 방식이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