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해외 독립운동가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인천 >부평구

    사진신부 민함나, 미국에서 독립운동을 함께하다
    민함나(閔함나)는 인천광역시 부평구 출생으로 1914년 민의식의 사진신부로 미국 하와이에 들어온 이민자였다. 1938년 대한부인구제회 와히아와 대표, 1939년 5월 대한부인구제회 부회장 및 힐로 지방대표, 1940년 1월 하와이 한인기독교회 평신대 대표회 대표원, 1941년 5월 재미한족연합위원회 준비위원회 부인구제회 대표 및 의사부 위원으로 활동하였다. 1941년 독립금수봉위원, 1941~1943년까지 대한인부인구제회 중앙부장, 1944년 회장을 역임하였다. 1945년 전후조선구제위원회 회장으로 선임되었고, 1938~1945년까지 여러 차례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남 >함평군

    김철, 대한민국임시정부에 몸 바치다
    김철은 전남 함평군 천석꾼의 아들로 태어나 재산을 처분하여 상해임시정부청사를 마련하는 데 기여하고 임시정부 수립과 운영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교통차장, 임시의정원 의원, 군무장, 재무장 등을 역임하고 임시정부가 독립운동단체의 분열을 막고 독립운동의 구심점이 되도록 노력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인천 >동구

    중국 대륙에서 투철한 민족의식으로 독립을 준비한 광복군 청년 장교 김동수
    김동수(金東洙)는 1916년 인천 출생으로 본관은 경주이다. 어린 시절부터 민족의식과 기독교의 종교적 믿음이 있는 가풍 속에서 성장하였다. 1923년 중국 상해로 건너가 인성소학교, 공시중학교에서 수학하였고, 중국군관학교 낙양분교에 입학하여 훈련을 받았다. 1936년 7월 중국 육군 제25사단 견습사관으로 근무하던 중 1937년 중일전쟁이 일어나자 남경으로 가 피난길의 임시정부를 경호했다. 1939년 10월 '한국청년전지공작대'를 조직하여 부대장이 되었다. 1945년 4월 중경에 토교대(土橋隊) 설치로 3대 대장을 역임, 광복 후 한국독립당 감찰위원, 상해지당부 특파원 등으로 선임되어 활동을 이어갔다. 1946년 임시정부 주화대표단 동북특파원으로 교포의 귀국을 도왔고, 본인은 1948년 6월에 귀국하였다. 정부에서 1963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