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효자 설화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대전 >서구

    조선 효종 북벌론의 핵심, 유혁연
    유혁연은 조선 후기 무신으로 전략과 군사행정면에서 뛰어난 재능을 발휘하였다. 그는 군사 행정과 전략에 뛰어난 재능이 있어 북방 민족 침임에 대비하기 위해 나무를 심어 기병의 내습을 막자는 의견과 화차(火車)의 사용을 권장하였으며 병서(兵書)의 연구도 강력하게 주장하였다. 효종의 북벌정책에 기용되어 그 뜻을 받들어 임무를 열심히 수행하였으나, 1680년(숙종 6) 경신환국 정변에서 남인이 숙청될 때 이에 연루되어 모함을 받아 경상도 영해로 유배되었으며 사약을 받고 65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관심지역 경북 >안동시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한 이홍인을 기린 안동 예안이씨 충효당
    예안이씨 충효당(禮安李氏忠孝堂)은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한 이홍인(李洪仁, 1525~1594년)의 충(忠)과 그의 후손 이한오(李漢伍, 1719~1793년)의 효성(孝誠)을 기념하기 위해 이름 지은 사당이다. 이곳에는 이홍인의 충을 기려 내려진 정충각(旌忠閣)과 이한오의 효성을 기려 내려진 정효각(旌孝閣)이 함께 있어 쌍수당(雙修堂)이란 별당도 있다. 쌍수당은 충과 효를 한 집안에서 다 갖추었다는 의미이다. 충효당은 보물 제553호로 지정되었고, 정충각과 정효각은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48호로 지정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기 >과천시

    서울로 나무를 팔러다니던 나무꾼의 일상을 엿볼 수 있는 과천 나무꾼놀이
    경기도 과천시에서 전승되는 과천 나무꾼놀이는 이 지역의 나무꾼들이 나무를 베어 시장에 내다파는 일련의 과정을 놀이로 표현한 것이다. 서울과 인접해 있기도 하고 농사 지을만한 땅이 부족했던 과천 주민들은 산에서 나무를 해와 서울 등에 내다 팔아 생활을 하였다. 한국전쟁 무렵 중단되었던 놀이는 과천시와 과천문화원의 노력으로 2000년대 초반 복원되었다. 과천 나무꾼놀이는 입장인사-지게목발놀이(나무하러 가기)-놀이마당1-나무하기와 놀이마당2-도강하기와 선상놀이- 나무팔기와 생필품사기-돌아오기와 지게풍장-퇴장 인사 순으로 진행된다. 대표적인 공연으로는 지게목발타기, 지게 작대기 고누기, 지게무동, 도강하기, 지게목발타기, 지게놋다리밟기 등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