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산지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산지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북 >청송군

    주왕산의 이야기를 모은 경북 청송 주왕산지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상의리에는 주왕산이라는 유명한 산이 있다. 조선 후기 청송군 출신의 학자 서원모는 주왕산과 관련된 기록들을 모아 『주왕산지』라는 책을 만들었다. 『주왕산지』에는 주왕 설화, 유람 기록, 시, 주왕산 관련 지명 등이 수록되어 있다. 주왕산이라는 명칭에 대하여 당나라 때 스스로를 주왕이라 일컫고 장안을 공격했던 인물 주왕에 얽힌 이야기가 전해진다. 2009년에는 한글로 번역된 『주왕산지』(청송군)가 출간되어 일반인들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광산지명유래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3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광주 >광산구

    억새밭을 일구다 금덩이가 나온 광주 산막동 보화마을
    광주광역시 산수리 마을에는 성실하기로 소문난 여양진이 살았다. 그는 스님의 권유로 산막동에 이주를 하여 농사를 지었다. 당시 이곳은 억새가 많아 그것을 일일이 베어내고 밭을 일구는 게 쉽지 않았다. 그렇게 밭을 일구던 그는 어느 날 땅에서 금덩이를 파냈다. 여양진은 금덩이가 스님의 덕으로 얻은 것이나 부처님 것으로 생각하고 그것을 전해줄 절을 찾아 떠났다. 이후 여양진이 가꿔놓은 밭에는 여러 사람들이 이주해 살았고, 주변 마을에서는 금은보화를 얻은 곳이라 해서 보화촌(寶貨村)이라 불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광주 >광산구

    광주목사가 지어준 이름, 광주 월계동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계동은 원래 군수동이었는데, 광주목사가 마을을 방문하여 월계동이라 이름을 지어주어 바꿔 부르게 되었다. 광주목사가 방문하자 마을 좌수는 목사를 극진하게 대접했다. 목사는 우연히 군수동이라는 마을 이름을 듣고 마을에서 군수가 났느냐고 물었다. 그렇지 않고 군수가 나오길 바라면서 지은 이름이라는 말을 들은 광주목사는 마을의 형국을 살펴 월계동이라는 이름을 지어주었다. 이후 군수동은 월계동이 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광주 >광산구

    스님이 수로를 만들어 물을 넘긴 무네미재
    어등산 중턱 절골 마을에 차준백 선생이 살았는데, 고개 너머에 때쭉거리에 차 선생의 천수답이 있었다. 물이 부족해 농사를 짓지 못하는 것이 안타까웠던 차선생의 부인은 어느 날 자기 집을 방문한 스님에게 사정을 이야기하고 도움을 구한다. 그러자 스님이 자기가 수로를 파는 동안 부인은 베를 짜서 장삼을 짓자며 내기를 제안한다. 부인은 흔쾌히 수락하고, 두 사람은 두 달 동안 열심히 일해서 같은 날 수로파기와 장삼짓기를 끝낸다. 이렇게 해서 아래에 있는 절골의 물이 능선을 돌아 때쭉거리 들에 물을 대개 되었고, 고개로 물이 넘어갔다고 하여 무네미재라 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논산지명유래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남 >논산시

    은혜갚은 한조, 한골
    옛날 논산시 은지면 방축리에 김 부자가 살았다. 그는 생명을 함부로 해치지 않았다. 어느 날 곡광에 둥지를 튼 한조를 돌봐준 김부자는 새끼 한조까지 부화해서 보내주었다. 그 후 김부자는 원인 모를 열병을 앓고 있었는데, 한조가 날아와 약그릇에 열매 하나를 떨구고 갔다. 그 열매가 든 약을 먹은 김 부자는 완쾌되었다. 주변 사람들은 한조가 김 부자를 살렸다며 김 부자가 사는 마을을 한조골이라 불렀고, 이것을 줄여 한골이라 부르게 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울산지명유래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5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울산 >남구

    청어떼가 몰려와 구만석 부자가 된 울산 흥성 구만
    울주군 온산읍에 살던 김 씨의 아버지가 돌아가셨다. 좋은 자리에 묘를 쓰고 싶었지만 마음처럼 쉽지 않아 걱정이 많았다. 지나가던 풍수가 김 씨를 도와주었다. 김 씨의 선산이 있던 울산시 고사동에 묏자리를 잡아주며 삼 일 후에 천석부자가 될 것이라 했다. 삼우제날 묘를 돌보던 김 씨의 눈에 청어떼가 밀려들어오는 것이 보였다. 김 씨는 청어떼를 팔아 구만석 부자가 되었다. 이후 묘가 있던 마을을 흥성구만이라고 불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울산 >동구

    오누이가 삼을 캐어 부모님의 병을 고쳤다는 울산 삼밭골
    옛날 울산의 어느 마을에 오누이가 살고 있었다. 어느 날, 부모님이 병에 걸려 자리에 눕고 말았다. 할 수 있는 것은 모두 해보았지만 부모님의 병은 깊어지기만 했다. 그러던 어느 겨울날, 탁발 온 스님이 오누이에게 산삼을 캐어 부모님께 드려보라고 조언을 해주었다. 오누이는 눈 덮인 산에 올랐지만 산삼을 발견하지 못하고 무를 캐서 부모님께 뭇국을 끓여드렸다. 그랬더니 부모님의 병이 씻은 듯이 나았다. 알고 보니 그것이 산삼이었다. 이후 오누이가 산삼을 캔 곳을 삼밭골이라 부르게 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울산 >울주군

    물고기밥이 된 남편 생각에 생선을 끊은 아내, 울주군 효열리
    옛날 울주군의 한 바닷가 마을에 금슬 좋은 부부가 살고 있었다. 어부인 남편이 고기잡이를 나갔다 돌아오지 않았다. 아내는 몇 날 며칠을 기다렸지만, 기다렸던 남편 대신 남편 배의 파편들이 밀려왔다. 아내는 남편의 죽음에 통곡했고, 물고기밥이 된 남편을 생각하면 생선과 해초 등 바다에서 난 것은 먹을 수 없다며 이후부터 입에 대지 않았다고 한다. 아내의 절개를 높이 산 관에서 이 마을의 이름을 효열리라고 이름하였다고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부산지명유래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4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부산 >수영구

    매품 팔러 온 사람들이 보리를 팔았던 부산 보리전
    부산 수성구 민락동에는 보리전이라는 마을이 있다. 이는 매품팔이와 관련이 있는 이름이다. 당시 수영의 백성들이 죄를 지어 곤장을 맞게 되면 수영구 관아로 가야했다. 관아 근처에는 열흘에서 보름치의 보리를 싸들고 와서 기다리며 매품을 파는 사람들이 많았다. 운이 좋게 일찍 매품을 팔게 되면 남은 보리를 팔기 위해 보리전을 벌였는데, 여기에서 ‘보리전’이라는 이름이 유래했다고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부산 >강서구

    갈대밭을 일궈 녹두를 키운 부산 녹산동
    부산 강서구 녹산동의 지명은 녹두산이라는 뜻이다. 옛날 이곳이 갈대밭이었을 때 산 밑에 노부부가 녹두를 키우며 살고 있었다. 하루는 어사가 암행을 다니다 노부부의 집에 이르렀다. 마침 노부부가 녹두죽을 끓여 먹고 있었다. 어사는 부부에게 녹두를 키우고 녹두죽을 끓여 먹는 이유를 물었다. 그랬더니 할아버지가 인심 좋은 마을을 만들기 위해서라고 답했다. 감탄한 어사는 이 마을을 조개풀 녹(菉)자에 뫼 산(山)자를 써서 ‘녹산’이라 부르라 했다는 것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부산 >강서구

    임진왜란 때 왜군과 함께 처녀가 죽은 부산 처녀골
    임진왜란 때, 순아라는 처녀가 살던 마을에 왜군이 들이닥쳤다. 순아 아버지는 순아를 데리고 강 건넛마을로 피신하다가 왜군이 쫓아오자 골짜기로 도망쳤다. 순아 아버지가 바윗돌을 굴렸지만 왜군을 맞추지 못했고, 순아가 왜군을 절벽으로 밀어버렸지만 떨어지면서 순아 아버지의 옷자락을 붙잡고 함께 떨어졌다. 순아 역시 왜군이 떨어지면서 던진 칼에 죽었다. 이후 순아와 순아 아버지가 죽은 골짜기를 처녀골이라고 불렀으며 순아가 살던 섬은 순아섬이라고 불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