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영남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영남길

연관자료

  • 지역문화 Pick (1건)
자세히보기
  • 성남 스토리여행

    출처 :경기도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경기 >성남시

    성남 스토리여행
    성남지역의 지명, 설화, 전설, 역사, 문화유산 등을 소개하는 책이다. 경기도 성남은 예로부터 서울과 지방을 이어주는 교통의 요지였다. 그 대표적인 옛길인 ‘영남대로’와 영남대로 주변에 산재한 이야기를 엮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테마스토리 경북 >영주시

    창락도의 중심 창락역
    창락역은 조선시대 경상도 풍기(지금의 경상북도 영주시)를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창락도의 중심이 되는 찰방역이었으며, 죽령 이남에 해당하는 경상북도 북부 내륙의 역로를 관할했다. 창락역이 관할하던 역은 모두 9개였다. 풍기는 죽령을 통해 영남지방과 한양으로 연결되던 영남대로의 길목이었던 만큼, 조선시대에 창락역은 많은 사람으로 붐비던 곳이다. 역제가 폐지된 이후에도 죽령 옛길을 넘는 사람들이 창락역의 역촌을 많이 찾았지만, 중앙선 철도가 개통한 이후 창락역 일대는 지나는 길손의 발길이 뜸해졌다. 최근 영주시가 죽령 옛길을 복원하고 창락역터 주변에 다양한 시설을 설치해 다시 창락리를 찾는 사람이 많아졌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영남대로 마지막 구간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남 >밀양시

    경상도 양산의 황산역을 중심으로 형성된 황산도(黃山道)
    황산도는 조선시대 경상도 양산에 있던 황산역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역로이며, 지금의 경상남도 동남부에 있던 고을과 울산광역시 및 부산광역시 등을 연결하던 역로이다. 고려시대의 금주도를 계승한 황산도는 한양에서 부산으로 이어지던 영남대로의 마지막 구간이었다. 낙동강의 동쪽에 자리한 역로를 관할했으며, 조선 후기로 들어와서 밀양으로까지 관할 범위가 확대되었다. 황산도는 과거시험 보러 가는 사람, 장사꾼, 군사, 일본을 오가던 사행단 등이 다니던 옛길이며, 해안과 내륙을 연결하던 교통로로 기능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영남지역농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관심지역 경북 >안동시

    영남 지역의 모심는 소리 정자소리
    정자소리는 영남 지역에 주로 분포하는 모심는소리로서 느린정자소리, 자진정자소리, 조리자소리로 나뉘기도 한다. 이앙법이 발달한 후로 나왔을 것으로 짐작되는 이 모심는소리는 메나리토리로서 경상남북도와 전라북도 동부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산악지대에 분포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영남대로 벼랑길을 걷다

    출처 :경상남도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경남 >밀양시

    영남대로 벼랑길을 걷다
    경남 밀양의 영남대로 상에 분포한 역사문화자원과 인물, 설화, 미담, 전설 등을 토대로 한 다큐멘터리이다. 작천잔도(벼랑의 암반을 깨고 석축을 쌓아 만든 길), 작원관(영남대로 제일관문, 임진왜란 격전지), 처자교, 뒷기미나루, 무흘역 등 여러 지역의 숨은 이야기를 만나볼 수 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테마스토리 경북 >문경시

    유곡도의 중심 유곡역
    유곡역은 조선시대 경상도 문경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유곡도의 중심이 되는 찰방역이었으며, 경상북도 문경시에서 남쪽의 상주시 방면과 동쪽의 예천군을 거쳐 의성군 및 군위군으로 통하는 곳에 있던 역을 관할했다. 유곡역은 영남지방과 한양을 오가는 사람들이 통과하던 교통의 결절점 역할을 수행했으며, 사람의 이동이 많은 구간이었던 만큼 주변에는 숙박시설인 원이 여러 곳에 설치되었다. 홍귀달은 유곡역을 사람의 목구멍처럼 중요한 곳으로 비유하면서 인후라는 표현을 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밀양시

    왜군의 발목을 4일 동안 잡았던 작원관 전투
    밀양의 삼랑진읍 검세리 끝자락에 있는 작원관지는 신라와 가야의 접경 지역으로 가야가 신라에 복속되기까지 금관가야의 신라정벌 교두보였다. 임진왜란 때 소서행장의 주력부대가 한양으로 질주할 때 32세의 밀양 부사 박진이 2박 3일 동안 발목을 잡고 한양의 함락을 지연시켰던 혈전의 장소이기도 하다. 동래에서 한양 가는 제 1관문으로 군사 요새였으며 임진왜란사에 빼놓을 수 없는 전적지(戰迹地)였는데, 역사 속에는 ‘작원관 전투’가 밀양 부사 박진의 패주만 부각되고 공적은 퇴색되어 있어서 안타깝다. 선열의 발자취를 다시 한번 재조명해 주면 좋겠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영남

연관자료

  • 지역문화 Pick (1건)
자세히보기
  • 범패의 양대산맥과 팔공산재 범패

    출처 :대구광역시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대구 >동구

    범패의 양대산맥과 팔공산재 범패
    팔공산제 범패의 개요, 역사, 관련 문헌, 사진, 인터뷰 등을 망라한 자료집이다. 범패(梵唄: 불교 의식 음악)는 가곡 판소리와 함께 한국의 3대 성악이다. 팔공산제 범패는 영남지역 및 한국불교 음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호남지방 영남지방 갈림길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남 >천안시

    성환도의 중심 성환역
    성환역은 조선 시대 충청도 직산 (지금의 천안시)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성환도의 중심이 되는 찰방역이었으며, 천안을 중심으로 사방을 향해 있던 지금의 충청남도 동부지방 교통로를 관할했다. 성환역은 경기지방에서 호남지방과 영남지방으로 향하던 갈림길이었기에 이들 지방을 오가는 사람들이 반드시 통과해야 하는 곳이었다. 조선 시대에는 임금이 온양으로 온천을 가는 길에 머무르기도 했다. 한반도에서 청나라와 일본이 처음으로 전쟁을 시작한 곳도 성환역 일대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영남의병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대구 >동구

    영남의병을 기리는 임란호국영남충의단
    영남충의단은 임진왜란으로 국토가 유린될 때 가장 먼저 의병을 일으켜 나라를 위해 순절한 영남의병을 기리기 위한 곳이다. 영남의병은 대개가 전직관료나 선비출신으로 충의정신이 투철하였으며 낙동강을 따라 침입하는 적을 막아 무기와 군량 등 군수물자의 전방 수송로를 차단하고 곡창지대인 전라도 침공을 저지하여 전세를 역전시키는데 공헌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