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의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한국의 지명유래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북 >정읍시

    귀신 붙어 물을 퍼내지 않은 정읍시 북면의 신방죽
    전라북도 정읍시 북면 용호동에 신방죽 또는 신지(神池)방죽 등으로 부르는 방죽이 소재해 있다. 신방죽이 소재해 있는 정읍시는 대부분 지역이 해발고도 50m 미만의 구릉지와 평야 지대다. 옛날 신방죽은 물고기가 많기로 소문나 있었다. 그러나 어느 해부턴가 물을 퍼내서 물고기를 잡으려 하면, 물고기가 한 마리도 없었다. 하루는 큰 붕어에 실을 묶어서 방죽 안에 풀어 놓았다. 그리고 방죽의 물을 퍼냈는데, 다른 물고기는 물론 실로 묶어 두었던 붕어마저도 보이지 않았다. 마을 사람들은 실패에 연결된 실을 당겨보았다. 그랬더니 실이 방죽을 벗어나 앞 산골짜기로 가는 것이었다. 그리고 산골짜기에서 실에 묶은 붕어가 땅에 박혀 있었다. 이를 귀신이나 도깨비의 장난이라고 믿게 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쌍산의병 유적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남 >화순군

    쌍산의병창의지 증동마을
    증동마을은 1906년 양회일이 증동마을의 임노복 등을 찾아가 쌍산의소 결성을 논의하고 수개월간 준비한 곳으로 한말 의병의 대표적인 창의소이다. 증동마을의 쌍산의병 유적은 사적 제485호로 지정되어 있고, 현재 양화일 순의비, 호남창의소 터, 무기 제작소, 마을 뒤편의 의병 막사 터와 화약 원료인 유황 등을 보관했다는 유황굴 등이 남아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영호남의병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남 >함양군

    진주성을 찾은 한말의병장 노응규
    노응규(盧應奎, 1861~1907)는 한말의병장으로 1895년 을미사변과 단발령을 계기로 안의에서 거의를 하게 된다. 이후 정한용 진주의병장과 힘을 모아 진주성을 되찾고, 영호남 일대에서 항일운동을 펼치다 1907년 핵심 의병진들이 충청북도 경무서 황간분견소 순검들에게 일시에 체포되면서 의병진은 자연스럽게 해산되었다. 그는 옥중에서도 하거하다 경성감옥소에서 고문으로 숨졌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조선의 성곽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남 >창원시

    삼포왜란의 흔적이 있는 웅천읍성
    웅천읍성은 경상남도 기념물 제15호로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웅천동 성내동에 있는 평지성이다. 웅천읍성은 조선시대 웅천현의 행정중심지에 축성된 성으로 창원을 지키는 곳이었으며 바다 조운을 돕는 곳이기도 하였다. 이 성은 1434년인 세종 때 처음 축성되었고, 1453년 증축된 성으로 현재도 사면의 성벽 상당부분이 잘 남아 있다. 1510년 삼포왜란 당시 현장이기도 하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남해군

    임진왜란 때 군관민이 힘을 합쳐 쌓은 임진성
    남해 임진성은 경상남도 기념물 제20호로 경상남도 남해군 남면 상가리 294번지에 있는 해발 108m의 기업산 제2봉 정상부에 축성된 테뫼식 산성이다. 임진성은 임진왜란 때 왜적이 쳐들어온다는 소식을 듣고 관군과 백성들이 힘을 합쳐 백성을 지키기 위해 쌓았다 하여 민보성(民堡城)이라고도 불린다. 남해의 성산토성, 성고개성, 비자당산성 등과 함께 대국산성의 지휘를 받아 남해일대를 지키는 산성으로 이용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원주의병장 이춘영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기 >양평군

    한말 원주에서 창의한 의병장 이춘영
    이춘영(李春永, 1869~1896)은 조선말의 의병장으로 양평의 지평 출신이다. 화서학파 사람을 스승으로 모시고 있다가 단발령과 을미사변 등의 참상을 보면서 의병을 일으키기로 하였다. 처음에는 지평감역으로 있는 맹영재와 같이 거의하려 하였으나 실패하였다. 고종32년(1895) 안승우(安承禹)와 함께 의병을 모아 활약하다 충주전투에서 28세의 나이로 전사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민주주의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서울 >도봉구

    씨알의 세상을 외치다, 함석헌
    인권운동가이자 시인·교육자·사상가·언론가·역사가인 함석헌은 평생을 민중운동에 헌신했던 사상가다. 함석헌이 발간한 잡지 『씨알의 소리』는 함석헌이 일생을 걸쳐 수립한 사상인 '씨알사상'이 반영된 것이다. 민주주의와 평화를 중심으로 하는 씨알사상은 함석헌의 정치·사회활동의 근간이었으며, 우리가 본받아야 할 중요한 정신유산이다.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동에는 함석헌을 기리기 위해 조성된 함석헌 기념관이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실직국의 전설

연관자료

  • 지역문화 Pick (27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북 >고령군

    영남 3대 의병장 김면 유적
    김면의병장의 유적은 경상북도기념물 제76호로 김면의병장을 기리기위해 1666년 건립된 도암서원과 사당, 신도비, 묘소로 조성되어 있다. 김면은 1541년(중종 36)에 태어난 학자로 임진왜란 당시 곽재우, 정인홍과 함께 경상우도 3대의병장 중 한 사람이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그는 의병의 선봉에서 30여 차례 전투를 치르며 큰 공을 세우고 1593년 금산 의병진에서 전투준비 중 순국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영양군

    의병장 김도현이 개인재산으로 쌓은 검산성
    영양의 검산성은 한말 의병장 김도현이 사재를 들여 쌓은 산성이다. 이 산성은 보존가치가 있어서 경상북도기념물 제65호로 1985년 10월에 지정되어 있다. 김도현은 나라에 변고가 생길 것을 미리 알고 병법을 연구했으며 점고회를 조직해서 군사훈련을 하였다. 그리고 1894년 민비(뒤에 명성황후) 시해사건이 일어나고 나라가 일제에 압박을 받자 의병을 조직하여 투쟁에 나섰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의성군

    공산(孔山)에서 의병을 일으킨 박연백
    박연백(朴淵伯)은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효선리에서 태어났고, 자는 응구(應九), 호는 암재(巖齋)이다. 그는 1905년에 체결된 을사늑약 이후 공산(孔山)에서 의병을 일으켜 항일 의병투쟁을 시작하였다. 1907년 정미의병기에는 경상북도 영천에서 산남의진(山南義陣)의 정용기의병장 휘하에 들어가 연합작전을 벌였고, 이후 경상북도 의성·청송 등지에서 항일투쟁을 이어갔다. 정부에서는 박연백의 공훈을 기리어 1963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이하현 의거지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북 >영양군

    한말 경상도 의병장 이하현
    이하현(李夏玄, 1874~1917)은 경상북도 영양출신으로 다른 이름은 이현규이다.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영양 등지에서 의병대장에 추대되어 의병활동을 하였다. 의병장이 된 이하현은 의병들을 주왕산과 청량산 등에서 훈련시킨 뒤 이듬해인 1906년 2월에 의진(義陣)을 편성하였다. 이후 전투에서 이하현은 독립 의진으로서 활약하기도 하였고, 신돌석(申乭石) 의진과 연합하여 그 돌격장으로 활약하여 영해(寧海) 성을 함락하는 큰 공을 세우기도 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박달과 금봉이의 사랑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북 >제천시

    경상도 총각과 충청도 처녀의 사랑을 간직한 박달재 옛길
    박달재는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면과 백운면 사이에 있는 고개로 제천과 충주를 연결하던 옛길이다. 박달재는 충청도 제천에서 한양으로 가던 관리들이 이용하던 길이었으며, 장사꾼들이 넘나들던 길이다. 경상도 총각 박달과 충청도 처녀 금봉이의 애닲은 사랑 이야기가 전해지는 박달재 옛길은 길도 험하고 산짐승에 도적 떼까지 많아 옛날에는 박달재 너머로 시집가면 다시는 친정을 구경하기 힘들어 새색시들이 눈물을 쏟으며 넘었다고 한다. 2000년 12월에 박달재터널이 완전히 개통되면서 구불구불한 박달재를 넘을 일이 많지 않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