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 색
고급검색
관리번호
발행년도
시 대
연 대
선택조건
지역N문화 포털은 콘텐츠 생산자 및 연구자들을 위해 서지정보 내보내기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서지관리 프로그램은 문헌 및 온라인 콘텐츠 등 자료를 관리하고 공유하는데 사용됩니다.
※ 해당 프로그램은 소속기관 또는 개인 가입이 필요할 수 있으며, 지역N문화 포털은 링크만 제공하고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관심지역 :
간편하게 로그인하고 지역N문화 시작하기
마지막으로 로그인한 계정입니다.
지역N문화는 별도의 회원가입 없이 사용중인 SNS로로그인하여 간편하게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방문화원이 기획하고 제작한 지역문화콘텐츠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전자책 제공
울산 북구 달천동에 있었던 철장(鐵場, 철광석을 캐던 광산)의 현장 근로자의 인터뷰를 채록하여 과거의 현장을 스토리텔링한 영상이다. 철장 근로자들의 희로애락을 담아, 지금은 폐광된 달천철장의 모습을 추억한다.
울산 달천 철장의 역사와 철 문화를 다룬 다큐멘터리이다. 철장(鐵場)은 철광석을 캐던 광산으로, 달천 철장(達川鐵場)은 울산광역시 북구 달천동에 소재한 제철 유적을 말한다. 본 다큐멘터리는 철의 역사와 철이 인류에 미친 영향, 삼한 시대부터 시작된 달천 철장의 역사성, 울산의 금속산업과 달천철장의 연계성을 개괄적으로 탐구한다.
울산 달천 철장의 역사와 철 문화를 다룬 다큐멘터리의 요약편이다. 철장(鐵場)은 철광석을 캐던 광산으로, 달천 철장(達川鐵場)은 울산광역시 북구 달천동에 소재한 제철 유적을 말한다. 본 다큐멘터리는 철의 역사와 철이 인류에 미친 영향, 삼한 시대부터 시작된 달천 철장의 역사성, 울산의 금속산업과 달천철장의 연계성을 개괄적으로 탐구한다.
울산광역시 언양읍 알프스시장에 있는 언양 매일대장간은 40년 동안 매일 문을 연 대장간이다. 박병오 씨가 견습과정을 거쳐 마흔 넘어 차린 대장간으로, 매일 문을 연다는 의지가 들어있는 이름이다. 농사가 주된 수입원이던 1970~80년대에는 주문이 넘쳐 밤을 새기도 했지만, 요즘은 손님이 뜸하다. 그럼에도 그가 매일 문을 여는 이유는 자신을 필요로 하는 사람이 찾아왔을 때 그 자리에 자신이 없다면 피해를 주는 거라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정직한 대장장이 박병오 씨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울산광역시 언양읍의 미진이용원은 부부가 함께 운영하는 곳으로 4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자리를 지키고 있다. 한때 장사가 잘 될 때는 면도와 안마를 맡아주는 여자 종업원들을 많이 데리고 있었는데, 지금은 두 부부가 함께 일을 하고 있다. 남편이 머리손질과 면도를 하면, 아내가 머리를 감겨주고, 머리카락을 청소한다. 이젠 '이용원'이라는 명칭 자체가 낯선 시대이지만, 다리가 버텨주고 건강이 허락하는 한 계속 이용원을 운영할 것이라고 한다.
울산광역시 언양읍 농협 옆의 적산가옥에는 울산에서 가장 처음 문을 연 하나서점이 지금도 여전히 자리를 지키고 있다. 방앗간 자리에 문을 연 이 서점은 이제 언양읍에 하나 밖에 남지 않은 동네서점이다. 하루도 문을 닫지 않겠다는 약속을 지키지 위해 자녀의 결혼식날에도 오후에 문을 열었다는 이 서점의 주인장 김충열 씨는 학생들의 참고서를 팔며 학생들의 선도부 역할도 했다. 지금도 명절이면 찾아와 용돈을 건네주고 가는 사람들이 있다고 한다.
울주군 온산읍에 살던 김 씨의 아버지가 돌아가셨다. 좋은 자리에 묘를 쓰고 싶었지만 마음처럼 쉽지 않아 걱정이 많았다. 지나가던 풍수가 김 씨를 도와주었다. 김 씨의 선산이 있던 울산시 고사동에 묏자리를 잡아주며 삼 일 후에 천석부자가 될 것이라 했다. 삼우제날 묘를 돌보던 김 씨의 눈에 청어떼가 밀려들어오는 것이 보였다. 김 씨는 청어떼를 팔아 구만석 부자가 되었다. 이후 묘가 있던 마을을 흥성구만이라고 불렀다.
울산광역시 태화강을 남북으로 연결하는 삼호교는 3개가 있다. 일제강점기인 1924년 건설된 삼호교는 이제 구 삼호교라고 불리고, 바로 옆에 1959년 놓인 삼호교가 있으며, 서쪽으로는 1990년대에 설치된 신 삼호교다. 구 삼호교는 울산에서 가장 먼저 놓인 근대 교량이다. 울산광역시 남구 삼호동·무지동과 울산광역시 북구 다운동을 잇는 구 삼호교는 교각만으로 상판을 떠받치는 단순 공법으로 만든 철근콘크리트 다리다. 길이는 230m이고, 폭은 5m이며, 높이 7m에 경간 거리 9.6m다. 구 삼호교가 놓이면서 부산에서 울산을 거쳐 경주까지 자동차로 손쉽게 갈 수 있게 되었다. 구 삼호교가 건설되던 1924년 울산에 전기가 공급되기 시작했다. 울산은 1931년 면에서 읍으로 승격했고, 1962년 시가 되는 동시에 국가산업단지가 들어섰다. 구 삼호교가 울산의 근대를 이끌었다고 할 수는 없으나, 울산의 근대화가 시작되는 시점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평가된다. 구 삼호교는 신 삼호교가 건설되면서, 안전 문제로 차량 통행이 금지돼 보행자 전용 다리가 되었다. 구 삼호교는 등록문화재 제104호다.
좌수영 어방놀이는 부산시 남구 수영동에서 전승되어온 어업의 작업과정과 노동요를 놀이화한 민속놀이다. 새해를 맞이해 바다로 나가기 전, 굿을 하고 놀이를 벌여 고기를 많이 잡아 만선으로 돌아오기를 기원하였다. 1978년 국가무형문화재 제62호로 지정되어 보존 및 전승되고 있다.
풋나무깎기놀이는 농촌에서 땔감으로 쓸 나무 베기를 끝낸 후 즐기는 유희다. 나무를 다 베고 나면 일꾼 하나를 좌의정으로 삼아 남여(藍輿)에 앉힌다. 땔나무 주인집으로 가서 진짜 좌의정인 양 거드름을 피운다. 이 모습이 기가 막힐 법도 하지만 집주인은 일꾼들을 내치지 않고 닭을 잡아 후하게 대접하고 밤새워 놀게 했다. 이 놀이를 통해 일꾼들의 고된 노동을 위로하고 억눌려 있던 삶의 고단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배려한 것이다.
울산 언양은 경상남도 천주교의 최초 전래지다. 1790년에 벌써 영세를 받은 신도가 나왔고, 천주교 박해 시대엔 언양 일대에 피신한 천주교인들이 여러 곳에 교우촌을 형성했다. 언양성당은 1926년 본당 승격 후부터 성당 건축을 꾸준히 추진해 우여곡절을 딛고 1932년 성당을 완공했다. 1936년에는 사제관도 완성되었다. 언양성당 건물은 원래 설계보다 축소 건축할 수밖에 없었는데도, ‘뾰족탑 솟을 돌집’으로 명성이 자자했다. 성당은 일본 건축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은 고딕 르네상스 양식이고, 사제관은 북유럽의 전원주택 풍이다. 언양성당은 죽림굴을 비롯한 천주교 온양성지의 중심이다.
경상남도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양읍 남창리에는 남창옹기종기장이 있다. 이 시장은 조선시대 개설되었던 남창장에서 비롯되었으며, 현재도 상설시장과 오일장을 함께 운영하고 있다. 2011년 기존의 남창시시장에서 ‘남창옹기종기시장’으로 시장의 이름을 변경하였고, 옹기를 특성화한 시장으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상사소리는 후렴에 '상사'나 그와 비슷한 음가가 들어가는 노동요로서 주로 논매는소리, 모심는소리, 땅다지는소리로 불려지는 소리이다. 호남지역에서는 모심는소리로 그외 지역에서는 논매는소리로 많이 불려진다.
울산광역시 남구 신정동 울산박물관에는 조선 후기 울산 도호부사라는 벼슬을 지낸 박명부가 지은 「울산민폐소(蔚山民弊疏)」 초고본이 소장되어 있다. 박명부는 울산 지역 백성들의 삶을 살핀 뒤 여러 폐단을 발견하고 그것을 바로잡기 바라는 내용의 「울산민폐소」를 임금께 올렸다. 「울산민폐소」를 통해 조선 후기 울산 지역의 실상에 대해 파악할 수 있다. 「울산민폐소」는 울산박물관에 방문하면 관람할 수 있다.
울산 경상좌도병영성은 사적 제320호이며 울산광역시 중구 서동 149-1번지 일대의 동천 옆 낮은 구릉지 위에 축성한 포곡식성으로 경상좌도를 관할하던 병마절도사영이었다. 이 성은 조선시대들어 1415년 경주에 있던 경상좌도병영이 옮겨오면서 1417년 석축성으로 축성하였다. 울산병영성은 울산의 북쪽 황방산 자락이 동천과 만나는 구릉지위에 위치하여 북쪽으로는 경주와 통하는 길목에 해당하고 남쪽으로는 울산항을 감시할 수 있는 요충지이다.
문화유산
SNS에 공유해보세요.
카카오스토리
블로그
페이스북
트위터
QR코드를 스캔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