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계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강원 >양구군

    산과 계곡 그리고 폭포와 호수, 약수터와 수목원이 어우러진 양구 8경
    양구 8경은 두타연·광치계곡·파서탕 등 계곡 3곳, 펀치볼 분지 1곳, 사명산 1곳, 파로호 인공호수 1곳, 후곡약수터 1곳, 양구수목원 1곳 등이다. 양구 8경도 강원의 여타 시·군처럼 계곡과 산이 중심을 이루고 있는데 후곡약수터와 양구수목원 등 2곳을 8경에 선정한 것은 특이하다. 물론 후곡약수터와 양구수목원에 관광객들이 많이 찾기는 하지만 널리 알려진 것은 아니다. 아무리 훌륭한 절경을 갖추고 있는 곳이라도 사람들이 찾지 않으면 단순히 선정한 것에 머물게 되므로 가능한 많이 찾고 선호도가 높은 곳을 선정하려니 주민 및 관광객의 의견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강릉시

    강릉의 산과 계곡 관광명소 8곳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에서는 산과 계곡 등 유명한 관광명소 8곳을 선정하여 소개하고 있다. 강릉의 관광명소 8곳을 선정하여 소개하기 이전에도 강릉 20경, 강릉 8경 등이 있었으나 당시는 인터넷을 통한 홍보가 활발하지 않아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 이에 강릉시에서는 관광명소 사이트를 개설하여 산과 계곡뿐만 아니라 바다, 항구, 등대, 문화재, 휴양림, 호수, 공원 등을 널리 소개하고 있다. 아울러 강릉시에서는 8경, 10경으로는 희망하는 곳을 모두 선정할 수 없으므로 ‘산과 계곡’, ‘바다와 해변’, ‘문화재와 휴양림’ 등등으로 세분하여 보다 많은 관광명소를 정리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화천군

    산과 계곡과 호수가 어우러진 화천 9경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에서는 파로호, 딴산, 비수구미, 평화의 댐, 용화산, 비래바위, 용담계곡, 화악산, 광덕산 등을 화천의 9경으로 선정하여 널리 알리고 있다. 화천 9경 가운데 7경은 자연이 빚어놓은 절경을 자랑하지만, 사람의 힘에 의해 건설된 파로호와 평화의 댐 2곳도 있다. 이들 2경은 우리들이 노력을 많이 기울인 곳이지만 자연의 절대적인 절경을 따라갈 수는 없을 것이다. 화천군에서는 스스로 ‘물의 나라’라는 표현을 하듯이 물이 풍부한 곳이다. 더욱이 추운 겨울이면 100만 명 이상의 내국인은 물론 세계 여러 나라 관광객이 방문하는 ‘산천어축제’ 또한 화천 9경이 품고 있는 맑고 풍부한 물과 아름다운 계곡 등이 조화롭게 어울려 만들어진 것이다. 곧 자연을 제대로 살피고 파악하여 사람의 힘이 필요한 곳에 적절히 안착시킨 사례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중계교역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북 >전주시

    전라도, 충청도, 경상도를 아우르던 금강 소금길
    전라북도 장수군에서 발원한 금강은 전라북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등지를 거쳐 서해로 흘러든다. 서해에서 진입한 선박은 금강 하구에서 110㎞ 떨어진 부강 포구까지 항해가 가능했으며, 부강에서 하역된 수산물은 멀리 충청북도 및 경상북도, 강원도의 내륙지방으로까지 육로를 따라 운송되었다. 내륙지방에서 특히 필요로 했던 소금이 운송되던 소금길은 강원도 영월까지 이어지기도 했고 경상북도 상주까지 펼쳐지기도 했다. 금강의 소금길은 육지의 육상 교통로를 따라 사방으로 형성되었다. 소백산맥을 넘은 내륙지방으로까지 금강을 통해 소금이 운송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국역) 계동선생문집

    출처 :대구광역시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대구 >수성구

    (국역) 계동선생문집
    대구가 배출한 대표적 문인인 계동 전경찬의 문헌을 번역 수록한 문집이다. 계동(溪東) 전경창(全慶昌, 1532~1585)은 대구지역 퇴계학의 계승자이면서 수성지역 성리학의 중심지인 연경서원을 창건했다. 미번역된 문집, 학계안(學稧案: 학업과 우애를 다지기 위해 만든 계의 명단과 운영 규정) 및 석채례(釋菜禮: 제례의 하나로 도에 대한 숭상과 공자에 대한 존경을 표현함)를 번역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테마스토리 광주 >광산구

    기대승, 이황과 사단칠정논쟁을 벌이다
    기대승(奇大升)은 1559년부터 1566년까지 퇴계 이황과 8년간에 걸쳐 사단칠정논쟁을 펼친다. 이 논쟁은 사단과 칠정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면서 이기 문제와 심성 관계를 조명한 심성론 중심의 조선 성리학적 특성을 정착시켰다. 그리고 조선 사상계를 이끌었던 기호학파와 영남학파 형성에 사상적 배경이 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한국 유학을 대표하는 학자, 이황
    퇴계(退溪) 이황(李滉)은 그가 태어나고 7개월밖에 되지 않았을 때 아버지가 세상을 떠났다. 이황은 20세에 『주역』을 연구하기 시작하였고 이후 『주역』을 손에서 놓지 않고 깊이 연구하였다. 또 이황은 고봉 기대승과 편지를 주고받으면서 학문적인 논쟁을 벌인 것으로도 유명하다. 기대승과 이황은 장장 12년에 걸쳐 편지를 교환하면서 학문을 논했는데, 특히 8년 동안 두 사람이 편지로 주고받은 사칠논변(四七論辨)은 유명하다. 그의 학문적 업적은 후에 퇴계학파(退溪學派)라는 줄기를 이루게 된다. 그의 사상은 후에 일본 근대유학에 큰 영향을 끼쳤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상포계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힘든 일을 함께하는 상포계
    상포계는 구성원 중에 상을 당하는 사람이 있을 때 경비와 일을 함께 해주는 조직이다. 장례를 치르기 위해서는 많은 인원이 필요하고, 같은 지역에 사는 사람들이 서로 협동하여 상부상조하는 상포계는 우리나라 전통 사회의 협동정신을 엿볼 수 있는 풍속이다. 양반 중심의 상포계처럼 상민들도 상두계를 했다. 현재는 상례가 많이 간소화되었지만 상포계 조직이 아직 유지되고 있는 지역도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초계주씨

연관자료

  • 지역문화 Pick (7건)
자세히보기
  • 뿌리공원 성씨비 (초계주씨,후면비문)

    출처 :대전광역시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대전 >중구

    뿌리공원 성씨비 (초계주씨,후면비문)
    전국 유일의 '효' 테마공원인 대전 뿌리공원의 사진이다. 자신의 뿌리를 알 수 있는 성씨별 조형물과 공원시설 등을 갖춘 체험학습 교육장이다. 성씨비에는 각 성씨와 성과 본관, 유래 등을 표기하고 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뿌리공원 성씨비 (초계주씨,전면비문)

    출처 :대전광역시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대전 >중구

    뿌리공원 성씨비 (초계주씨,전면비문)
    전국 유일의 '효' 테마공원인 대전 뿌리공원의 사진이다. 자신의 뿌리를 알 수 있는 성씨별 조형물과 공원시설 등을 갖춘 체험학습 교육장이다. 성씨비에는 각 성씨와 성과 본관, 유래 등을 표기하고 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뿌리공원 성씨비 (초계주씨,우측면)

    출처 :대전광역시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대전 >중구

    뿌리공원 성씨비 (초계주씨,우측면)
    전국 유일의 '효' 테마공원인 대전 뿌리공원의 사진이다. 자신의 뿌리를 알 수 있는 성씨별 조형물과 공원시설 등을 갖춘 체험학습 교육장이다. 성씨비에는 각 성씨와 성과 본관, 유래 등을 표기하고 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테마스토리 전국

    가자! 농촌으로, 브-나로드 운동
    브나로드(v narod)운동은 러시아의 차르(Tsar) 체제 말기에 젊은 지식인층으로부터 시작된 농촌계몽운동을 가리키는 개념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일제강점기인 1930년대에 동아일보사가 주축이 되어 일으킨 농촌계몽운동을 말한다. 이상사회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민중을 깨우쳐야 한다는 취지로 만든 ‘민중 속으로 가자.’는 뜻의 러시아말 구호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조선시대 계단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대구 > 달성군

    용연사 석조계단
    보물 제539호 용연사 석조계단은 본래 동화사 말사인 용연사는 신라 하대 신덕왕 3년(914) 보양(寶壤)이 창건한 사찰로, 창건 이후 고려 시대까지 연혁은 알려지지 않았다. 용연사 석조계단은 불사를 봉안한 통도사 금강계단을 모방한 것으로 통도사에 있던 부처의 진신사리를 나누어 봉안하였다. 이곳에 통도사 사리를 봉안하게 된 것은, 임진왜란을 겪으면서부터다. 당시 승장 유정이 왜구를 피해 제자 청진(淸振)으로 하여금 통도사 사리를 용연사에 봉안하게 한 것이다. 용연사 경내에 세운 사바교주석가여래부도비명 기록을 통해 광해군 5년(1613)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1754년 세워진 용연사사적비와 석가여래중수비에도 이와 같은 내용이 확인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태조 이성계 살곶이벌 사냥행차 (본편)

    출처 :서울특별시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서울 >성동구

    태조 이성계 살곶이벌 사냥행차 (본편)
    이성계의 어가행렬을 재현한 영상이다. 서울시 성동구에 소재한 살곶다리(보물 1738호)는 조선 시대의 수도인 한양과 동남 지방을 연결하는 주요 통로로 사용됐는데, 살곶다리를 거쳐 사냥 행차를 떠났던 이성계의 어가행렬을 재현했다. 조선 시대 공식 행차에 사용되던 궁중음악인 대취타(大吹打)의 공연 모습을 볼 수 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태조 이성계 살곶이벌 사냥행차 (요약편)

    출처 :서울특별시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서울 >성동구

    태조 이성계 살곶이벌 사냥행차 (요약편)
    이성계의 어가행렬을 재현한 영상의 요약본이다. 서울시 성동구에 소재한 살곶다리(보물 1738호)는 조선 시대의 수도인 한양과 동남 지방을 연결하는 주요 통로로 사용됐는데, 살곶다리를 거쳐 사냥 행차를 떠났던 이성계의 어가행렬을 재연했다. 조선 시대 공식 행차에 사용되던 궁중음악인 대취타(大吹打)의 공연 모습을 볼 수 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테마스토리 경기 >양주시

    ‘양주시립회암사지박물관’, 유교 국가 조선이 후원한 불교사찰의 위엄
    양주회암사지박물관은 조선시대 왕실 후원으로 크게 번성한 회암사의 역사와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를 관람객들에게 전하기 위해 2012년에 문을 열었다. 회암사지는 오랫동안 기억 속에서 사라졌다가 1964년에 국가 사적으로 지정됐고, 1997년부터 지속적인 발굴이 이루어져 전각의 배치와 구조가 드러났으며, 다양한 유물이 출토된 역사 현장이다. 양주회암사지박물관을 방문하면 유교 국가였던 조선의 불교문화를 엿보는 특별한 경험을 할 수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영양군

    섭산삼과 맨드라미꽃물 들인 잡채에 담긴 400년 역사
    경상북도 영양군 두들 마을은 재령 이씨의 집성촌으로 이곳에는 1600년대에 만들어진 한글 음식 조리서 '음식디미방'이 전해 내려온다고 한다. 음식디미방에는 음식 조리법뿐만 아니라 저장, 발표식품, 식품보관법 등이 상세히 적혀있어 음식을 조리하고 나누려는 마음도 전해진다. 그중에서도 섭산삼과 잡채에 대한 일화는 광해군 일기에도 나올 정도로 맛이 좋다고 전해진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