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곡성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전남 >곡성군

    자연스레 마음이 비워지는, 곡성 함허정
    함허정은 1543년 심광형이 말년에 지은 정자이다. 처음에는 호연정으로 불리었다. 다른 누정의 주인과 달리 심광형은 훈도를 지낸 평범한 사람이었다. 함허정은 그가 곡성에 세거하면서 마을 유림과 함께 즐길 요량으로 만든 정자였다. 섬진강을 내려다보는 함허정은 수목도 울창하여 경관 좋은 누정으로 입소문이 나서 한양까지 알려질 정도였다. 하지만 현재 사람들이 잘 찾지 않는 함허정은 이름만큼 고요하고 허허롭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남 >곡성군

    과식하게 되는 추석, 속을 편안하게 해주는 토란국
    추석상에 토란국은 쇠고기 양지머리 육수에 토란(土卵)을 넣고 끓인 국으로 토란탕, 또는 토란곰국이라고도 한다. 토란국은 조선시대 가사인 농가월령가에도 추석음식으로 등장한다. 토란은 위와 장운동을 활발하게 하여 소화를 돕고 변비예방에 효과가 있는 알칼리성 식품이다. 이러한 특성을 지닌 토란으로 만든 토란국은 다양하고 기름진 음식들이 가득한 추석에 꼭 맞는 음식이라 할 수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남 >곡성군

    이 나라 한아바님은 단군이시니, 곡성 단군전
    곡성 단군전은 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인 백당 신태윤이 1914년 전라남도 곡성군에 처음 건립했다. 백당은 3.1운동으로 옥고를 치른 뒤 1930년대에 곡성에 돌아와 오늘날의 단군전 자리에 새롭게 단군 사당을 짓고 단군 영정을 모셔다 놓았다. 역사학자였던 백당은 가는 곳마다 일제의 감시를 피해 단군전을 지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정해박해와 곡성

    출처 :한국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전남 >곡성군

    정해박해와 곡성
    1827년 곡성의 덕실마을에서 시작된 정해박해의 배경과 역사를 담은 책자. 역사적인 천주교 박해사건인 정해박해의 시작점이 된 덕실마을을 찾아가 기념비, 가마터, 교우촌의 현장을 재현하며 천주교 박해의 역사적 의미를 조명했다. 영문 번역으로 한국 최초의 정해박해 연구서의 가치를 높인 콘텐츠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테마스토리 전남 >곡성군

    자연스레 마음이 비워지는, 곡성 함허정
    함허정은 1543년 심광형이 말년에 지은 정자이다. 처음에는 호연정으로 불리었다. 다른 누정의 주인과 달리 심광형은 훈도를 지낸 평범한 사람이었다. 함허정은 그가 곡성에 세거하면서 마을 유림과 함께 즐길 요량으로 만든 정자였다. 섬진강을 내려다보는 함허정은 수목도 울창하여 경관 좋은 누정으로 입소문이 나서 한양까지 알려질 정도였다. 하지만 현재 사람들이 잘 찾지 않는 함허정은 이름만큼 고요하고 허허롭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곡성 다큐멘터리

연관자료

  • 지역문화 Pick (1건)
자세히보기
  • 정해박해와 조선천주교

    출처 :한국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전남 >곡성군

    정해박해와 조선천주교
    남쪽의 작은 고을 곡성이 품고 있는 정해박해의 현장을 찾아 순교의 역사를 생생히 담은 다큐멘터리. 정해박해가 갖는 역사적 위상을 재조명하고, 순교의 정신을 기리는 콘텐츠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곡성 가볼만한곳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남 >곡성군

    어살에 필요한 대나무를 모으던 어살계와 곡성군의 태평어살
    전라남도 곡성군 죽곡면 태평2리 태평마을과 인근의 용정리, 연화리 등의 마을 주민들이 어살계를 조직하고, 보성강 하류인 대황강(大荒江)에 어살을 설치했었다. 섬진강 일대에 있던 어살 중 유일하게 어살계를 조직해서 관리하던 어살로, 돌을 쌓아 만든 독살이었다. ‘태평어전’이라 불린 이 어전은 1960년대 말까지 계조직을 통해 관리했으나, 계를 해체하면서 독살도 자연스레 소멸되었다. 지금은 살뿌리라는 지명만이 남아 있다. 태평마을이 중심이었지만 어살을 수리하는데 필요한 대나무 수급을 위해 인근 마을 주민들도 계원으로 참여했다. 1970년대 주암댐 건립으로 강의 어로가 막히면서, 30여명이 운영하던 독살 운영은 지금은 기억에만 남아 있지만, 강변에 있던 어살 조직을 확인할 수 있는 귀중한 자원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곡성 안들은 상복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남 >진주시

    곡소리 안 들은 제복
    김씨 내외는 시묘살이라는 관습으로 인해 부부가 3년 동안 떨어져 지내게 된다. 미모의 김씨 부인을 탐내던 이웃에 사는 백가가 시묘살이 중인 남편으로 위장하고 김씨 부인과 동침을 하여 아이를 낳는다. 시묘살이를 마치고 돌아온 남편에 의해 자신이 낳은 아이가 남편의 아이가 아님을 알고 된 부인은 자살한다. 처남들이 김씨를 관가에 고발하고, 김씨는 사형에 처할 위기에 놓인다. 이때 임금이 꿈속에 하얀 기에 석 삼자가 들어간 것을 보고 백기삼이 범인임을 직감한다. 임금은 백기삼에게 자기 부인이 아픈데 곡소리를 안들은 제복을 먹으면 낫는다고 한다. 백기삼이 곡성 안들은 제복을 가져오고 임금은 그가 범인임을 알고 처벌을 한다는 내용의 이야기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곡성 마을신앙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남 >곡성군

    마을 단위로 인원을 뽑아서 지내는 곡성 오지리 대동 당산제
    전라남도 곡성군 곡성읍 오지리 대동 당산제는 마을의 액운을 막고 호식과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 지내고 있다. 마을이 생긴 이래로 지금까지 지내고 있다고 한다. 오지리 대동 당산제는 8개 마을이 화합하여 지내는 당산제이며, 상·하당의 이중구조를 지녔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본래 당산제는 1월 3일 새벽에 지냈으나, 1990년대 중반부터 1월 2일 오후 10경에 지내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4곳의 제장에서 지내오던 당제를 오지 7·8지구에 위치한 2곳에서만 지낸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남 >곡성군

    큰 샘과 우물을 합치는 곡성 칠봉리 샘제
    전라남도 곡성군 겸면 칠봉리에서는 매년 음력 3월 3일에 마을회관 옆에 있는 큰 샘에서 샘제를 지내고 있다. 제의는 '큰 샘 제의-큰 샘과 샘수골 소우물의 합치-뒤풀이' 순으로 진행된다. 주민들은 샘제를 모시면 마을의 액운이 물러가고 길운이 온다고 여긴다. 겸면에서는 칠봉리 이외에 가정리에서도 샘제를 지내는데, 곡성군 내에서는 유일하게 샘제의 전승이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곡성의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남 >곡성군

    전남 곡성 죽산마을에서 삼을 삼으며 부르는 「삼삼는소리」
    전라남도 곡성군 석곡면 죽산리에는 ‘돌실나이’가 있다. ‘돌실나이’는 삼베를 짜는 일 또는 삼베를 잘 짜는 사람을 가리킨다. 죽산리는 예로부터 삼베 짜는 마을로 유명하여 1970년에 국가무형문화재 제32호로 지정되었다. 「삼삼는소리」는 모시나 삼의 올실을 길게 잇는 작업을 하면서 부르는 노래인데, 피곤함과 졸음을 이겨내기 위해 부른다. 삼삼기를 할 때 여럿이 모여서 이야기를 나누며 노래도 하면 삼 삼기는 한결 수월해진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