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벽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벽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남 >부여군

    이야기가 물든 곳, 부여 송정그림책마을
    충청남도 부여군 송정그림책마을은 2010년에 한국전통문화학교 학생들의 도움으로 부여군 최초의 벽화마을이 되었다. 그러다 2015년 문화체육관광부의 지원을 받아 '그림책 읽는 마을 찻집 조성 사업'으로 지금의 모습을 갖췄다. 그림책미술관시민모임의 컨설팅으로 마을에서 그림책을 만들기 시작했는데, 23명의 할아버지, 할머니들이 어엿한 작가로 그림책을 세상에 선보였다. 송정그림책마을의 언덕 위에는 오래된 야학당이 있다. 지금은 비어있지만, 광복 전후로 글을 모르는 주민들에게 글을 가르친 곳이고, 이 덕분에 지금의 송정그림책마을이 있게 되었다는 상징 같은 곳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남 >장흥군

    전라도 장흥의 벽사역을 중심으로 형성된 벽사도(碧沙道)
    벽사도는 조선시대 전라도 장흥에 있던 벽사역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역로이다. 현재의 전라남도 장흥군을 중심으로 해남군, 고흥군, 강진군 등 전라남도 서남해안 일대를 통과하던 역로이며, 모두 10개의 역이 포함되었다. 중심역인 벽사역은 벽산역이었으나 조선 초기에 벽사역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이후 일부 역의 이속을 거쳐 재편성된 것이 벽사도이다. 벽사로는 동학농민 운동이 일어났을 때에 장흥 주변 지방의 동학도들이 이동하는 주요 통로로 이용되기도 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남 >장흥군

    벽사도의 중심 벽사역
    벽사역은 조선시대 전라도 장흥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벽사도의 중심이 되는 찰방역이었으며, 전라남도 서남부의 해안지방으로 뻗어 있던 교통로를 관할했다. 벽사역이 관할하던 역은 모두 9개였다. 벽사역은 사방으로의 교통로가 발달한 중심지였기에, 동학농민혁명 당시 장흥과 그 주변 지방에서 동학군이 집결하기 유리한 곳이었다. 벽사역에 모인 동학군이 벽사역을 불태워버렸으며, 이후 벽사역과 탐진강을 사이에 두고 마주한 석대들에서 벌인 전투가 동학군의 마지막 전투가 되었다. 벽사역은 조선시대에 호남지방에 있던 6개의 찰방역 가운데 두 번째로 많은 역졸을 거느린 곳이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벽제화장장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화장터에서 화장장을 거쳐 화장시설로
    화장은 조선시대에 유교식 장법이 시행되면서 금지되다가 일제강점기 일본인들이 화장장을 건립하면서 대중화되기 시작했다. 한국 정부 들어와 1961년 법이 처음 개정되어 화장을 법률로 인정하기 시작했으나 실질적으로 화장장이 현대화되기 시작한 것은 1986년 말이다. 현재는 많은 곳에 현대식 화장장이 생기면서 많은 사람들이 화장을 선택하고 있다. 우리나라 화장장의 가장 큰 특징은 연기와 냄새가 전혀 없는 공간을 구현한 화장로와 안락하고 밝은 유족 대기공간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벼 고을 문화재에 깃들어 있는 이야기

    출처 :전라북도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전북 >김제시

    벼 고을 문화재에 깃들어 있는 이야기
    전북 김제의 농경 문화재를 소개하는 책이다. 전북 김제는 호남평야의 중심지이자 전국 최대 저수지인 벽골제를 기반으로 수리 영농(물을 이용한 농업)을 최초로 시작한 국내 농경문화의 발상지이다. 풍요로운 농경문화를 보여주는 김제의 사적지, 사찰 유물, 천연기념물, 인물, 지방기념물, 민속자료 등을 정리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테마스토리 전북 >김제시

    쌀을 주제로 벽골제에서 열리는 '김제지평선축제'
    김제는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지평선이 보이는 평야곡창지대이다. 김제지평선축제는 한국 전통 농경문화를 계승하고 지역 주민의 소득 증대를 위해 매년 9월~10월 사이에 전라북도 김제의 벽골제에서 개최되고 있다. 지역문화의 전통을 살린 벽골제 전설 쌍룡놀이, 단야낭자 인형극, 지평선 시골 먹거리 장터, 아궁이 쌀밥짓기 체험 등 지역문화의 전통을 살린 콘텐츠가 관광객들을 끌어들이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북 >김제시

    우리 나라 최초의 저수지 유적, 벽골제
    전라북도 김제시 부량면 포교리에서 월성리까지 3㎞ 길이의 크기를 자랑하는 저수지. 현존하는 것으로 가장 오래된 저수지로 기록상으로는 백제의 비류왕 27년(330)에 축조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우리동네가꾸기 벽화 조형물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남 >아산시

    시흥도의 중심 시흥역
    시흥역은 조선시대 충청도 온양(지금의 아산시)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시흥도의 중심이 되는 찰방역이었으며, 충청남도의 중서부 지방으로 뻗어 있던 교통로를 관할했다. 시흥역이 관할하던 역은 모두 7개였다. 조선 초기에는 이흥역이라 불리다가 역로 개편 후 시흥역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시흥역터의 동쪽에 자리한 외암마을의 이름은 시흥역의 말들에게 먹이를 먹이는 곳이라는 데에서 생겨났다는 설도 있다. 아산시에서는 주민참여형 우리동네가꾸기 사업을 통해 과거 시흥역이 있던 아산시 송악면 역촌리에 역말마을 벽화를 조성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벽제관길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기 >고양시

    의주와 대륙에서 한양으로 들어오는 관문 벽제관길
    조선시대에 한양에서 평안도를 지나 중국으로 이어지던 길은 의주대로이다. 중국에서 한양으로 오는 사신이나 한양에서 중국으로 가는 연행단도 의주대로를 이용해 왕래했다. 중국에서 온 사신이 한양으로 들어오기 전 경기도 고양의 벽제관에서 하룻밤을 묵은 뒤 한양으로 진입했으며, 한양에서 출발한 사신들도 벽제관에서 하룻밤을 묵고 중국으로 향했다. 벽제관으로 오가던 벽제관길은 한양으로 드나드는 첫 번째 관문이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벽제관지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기 >고양시

    의주와 대륙에서 한양으로 들어오는 관문 벽제관길
    조선시대에 한양에서 평안도를 지나 중국으로 이어지던 길은 의주대로이다. 중국에서 한양으로 오는 사신이나 한양에서 중국으로 가는 연행단도 의주대로를 이용해 왕래했다. 중국에서 온 사신이 한양으로 들어오기 전 경기도 고양의 벽제관에서 하룻밤을 묵은 뒤 한양으로 진입했으며, 한양에서 출발한 사신들도 벽제관에서 하룻밤을 묵고 중국으로 향했다. 벽제관으로 오가던 벽제관길은 한양으로 드나드는 첫 번째 관문이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남 >장흥군

    벽사도의 중심 벽사역
    벽사역은 조선시대 전라도 장흥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벽사도의 중심이 되는 찰방역이었으며, 전라남도 서남부의 해안지방으로 뻗어 있던 교통로를 관할했다. 벽사역이 관할하던 역은 모두 9개였다. 벽사역은 사방으로의 교통로가 발달한 중심지였기에, 동학농민혁명 당시 장흥과 그 주변 지방에서 동학군이 집결하기 유리한 곳이었다. 벽사역에 모인 동학군이 벽사역을 불태워버렸으며, 이후 벽사역과 탐진강을 사이에 두고 마주한 석대들에서 벌인 전투가 동학군의 마지막 전투가 되었다. 벽사역은 조선시대에 호남지방에 있던 6개의 찰방역 가운데 두 번째로 많은 역졸을 거느린 곳이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벽진이씨

연관자료

  • 지역문화 Pick (8건)
자세히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