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병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홍주 을미의병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일제로부터 국권을 수호하기 위해 일어났던 정미의병
    1907년 8월 군대해산을 계기로 해산당한 많은 군인이 의병에 가담하여 정미의병 전쟁이 시작되었다. 이에 따라 의병부대의 전투력이 강화되어 의병투쟁은 본격적인 전쟁의 양상을 띠면서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이중 황해도‧경기도의 김수민, 함경도의 홍범도 등이 평민의병장으로 명성을 날렸다. 정미의병은 한일병합 이후에도 이어져 1915년까지 전개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봉화군

    한말의병의 서벽전투를 기념하는 항일의거기념비
    이강년 의병부대의 항일의거기념비는 정미의병시기 경상북도 서벽리에서 큰 승리를 거둔 이강년의병부대의 전과를 기념하는 비이다. 이강년의병장은 을미의병이래 정미의병 시기까지 500여 명의 의병을 이끌고 크게 활약하여 일본군을 공포에 떨게 한 의병장이었다. 이 기념비는 1984년 12월 봉화군민들이 뜻을 모아 이강년의병부대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서벽전투 현장에 건립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김천시

    경상도와 충청도를 잇는 추풍령 옛길
    추풍령은 해발고도가 221m에 불과해 고도가 낮은 고갯길이지만, 죽령, 조령, 이화령과 함께 충청도와 경상도를 잇는 4대 고개였다. 추풍령은 조선 시대에 충청도와 경상도를 잇는 중요한 역할을 했던 대표적인 관용도로였지만, 문경새재보다 규모가 작았고 명성도 높지 않았다. 경부선 철도가 추풍령을 통과하고 경부고속도로가 추풍령을 지나면서부터 교통의 요지로 부상했다. 추풍령 옛길은 경부고속도로가 개통하면서 급격히 쇠퇴하기 시작했다. 추풍령은 교통의 역사성과 문화적 접경, 백두대간의 중간 기착지라는 특징을 가진 곳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병충해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권세연의병장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북 >청송군

    진보의병이 결성된 진보향교
    진보향교는 한말 진보의병의 창의가 논의된 곳으로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01호이다. 한말 진보지역에서는 을미의병기에 허훈 의병장이 진보지역의 의병을 모집하여 1896년 4월 진보향교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그리고 을사의병기에는 이현규 의병장이 1905년 11월 진보에서 의병을 모집하여 청송 주왕산 대전사, 울진 불영사 등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상주 의병장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기 >광주시

    병자호란의 마침표가 된 삼학사의 남한산성 현절사
    남한산성의 현절사는 삼학사를 배향하는 곳이다. 삼학사는 청나라와의 화친을 반대한 척화파의 수괴로 청나라에 끌려가 죽임을 당하였다. 삼학사 중 한 명인 홍익한은 청 태종 앞에서 명나라와 맺은 군신의 의를 깨고 청나라를 황제의 나라로 인정할 수 없다고 당당히 말하였다. 전쟁의 승패를 떠나 대의와 도리가 있어 화친을 반대했다는 주장에 청 태종도 할 말을 잃었다고 한다. 송시열은 삼학사의 전기를 집필해 그들의 죽음이 의리와 절개를 위한 죽음이었음을 칭송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청나라에 무릎 꿇은 병자호란
    1636년 12월 청 태종이 20만여 명의 대군을 이끌고 조선을 침략하여 병자호란이 일어났다. 인조는 남한산성에 들어가 각도 관찰사와 병사에게 군사를 모으게 하는 한편 명나라에도 사신을 보내어 원병을 요청하였지만, 남한산성은 고립되었다. 결국, 정세가 불리해지자 인조는 항복할 결심을 하고 1월 30일 성을 나와 삼전도에서 청태종에게 항복함으로써 전쟁은 끝났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창원시

    창원의 영웅, 황시헌(黃是憲)을 추모하기 위한 문창제놀이
    창원의 문창제놀이는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으로 향하던 중 왜적의 기습공격으로 순절한 황시헌을 추모하기 위한 놀이다. 황시헌은 팔다리가 잘려나간 상황에서도 창원 도호부의 인장을 끝까지 지키려 했으나 결국 목이 베어 사망한다. 그 넋을 기리기 위해 제사를 지내고, 추도무를 추며, 가상의 전투를 벌이고, 매구굿을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태백시

    임진왜란 때 의병의 본부 태백 용연굴
    태백시의 용연굴은 임진왜란 때 의병들이 모여서 왜군을 격파하던 본부로 쓰인 동굴이다. 이 동굴은 자연 동굴로 굴의 길이가 1,200m나 되며, 높이 2m, 폭 3m의 종유굴이다. 가운데 큰 광장이 있다. 이 굴은 전쟁이 있을 때마다 이 지역 사람들이 피난처로 이용했으며, 유배를 왔던 사람들이 유서를 써놓고 이 동굴에서 일생을 마쳤다는 이야기도 전한다. 현재 강원도기념물 제39호로 1980년 2월 지정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정선군

    김상태 의병진의 중군장으로 활약한 김시중
    김시중은 강원도 정선 출신으로 한말 후기의병기에 이강년 의병장의 휘하에서 좌선봉장으로 항일투쟁을 전개한 의병장이다. 그는 1907년 이강년 의병장이 김상태 의병장과 문경에서 의병을 일으켰다는 소식을 듣고 참여하여 경상북도, 충청북도, 강원도 남부 지역에서 의병항쟁을 전개하였다. 이강년 의병장이 체포된 후에는 김상태 의병장을 중심으로 의병진을 재구성해 중군장을 맡아 활약하다 적의 총탄에 순국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평창군

    죽음을 무릅쓰고 의리를 지킨 나시운
    나시운은 강원도 평창사람으로 한말 전기의병 당시 호좌의진의 안승우 의병장 휘하에서 항일투쟁을 전개한 의병장이다. 그는 평창에서 의병을 일으켜 안승우 의병부대에 들어간 뒤 도령장을 맡았다. 이후 영월로 이동하여 호좌의진 창의에 참여하고 제천으로 이동하여 충청북도 일대에서 활약하였다. 나시운은 가흥전투에서 용감히 싸우다 적의 총탄에 부상을 당하여 체포된 뒤 사형 집행으로 순국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삼남의병대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북 >장수군

    한말의병장으로 삼남에서 활동한 김동신
    김동신(金東臣, 1871~1933)은 1907년 8월 4일 의병을 모아서 남원, 구례, 함안, 안의, 순창 등지에서 공을 세웠다. 9월 15일 용담내원사에서 적고 싸우다 피해를 보고 해진하였다. 민긍호 의진에서 함께 의병활동을 했다. 병을 얻어 치료하다가 일제에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