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의병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정유재란 의병장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문석봉의병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나라의 원수를 갚기위한 을미의병
    을미의병은 1894년 동학농민혁명을 구실로 청일전쟁을 일으킨 일제가 조선에 대하여 침략의 마수를 드러내면서 일어났다. 을미의병은 을미사변과 단발령의 시행을 도화선으로 전국의 유생들이 의병을 일으켜 곳곳에서 관군과 일본군에 맞서 전투를 벌였다. 그러나 고종황제가 러시아 공사관으로 파천한 후 친일내각을 해산하고 광무개혁을 추진함으로써 의병은 해산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영양군

    한말 경상도 의병장 이하현
    이하현(李夏玄, 1874~1917)은 경상북도 영양출신으로 다른 이름은 이현규이다.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영양 등지에서 의병대장에 추대되어 의병활동을 하였다. 의병장이 된 이하현은 의병들을 주왕산과 청량산 등에서 훈련시킨 뒤 이듬해인 1906년 2월에 의진(義陣)을 편성하였다. 이후 전투에서 이하현은 독립 의진으로서 활약하기도 하였고, 신돌석(申乭石) 의진과 연합하여 그 돌격장으로 활약하여 영해(寧海) 성을 함락하는 큰 공을 세우기도 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울산 >남구

    정공청 장군이 임진왜란에서 사용한 유품
    ‘정공청 유품’은 국가민속문화재로 울산광역시 남구 두왕로 울산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유품은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한 정공청 장군이 사용하던 유품으로 투구와 갑옷·장갑·혁대·칼·화살 등으로 당시의 복식사를 이해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정공청 장군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선조를 호종하였으며, 안강전투·서생포전투 등에 참전한 공으로 선무원종공신에 녹훈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울산 >남구

    임진왜란 때 울산을 지킨 박홍춘의 환도
    ‘박홍춘환도’는 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울산광역시 남구 두왕로 울산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환도는 임진왜란 당시 의병장이던 박홍춘이 사용하던 칼과 칼집으로 조선시대 사용했던 대표적인 장검이다. 박홍춘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전천리에서 적을 맞아 물리치고 서면장을 임명받아 울산으로 들어오는 동래와 기장의 왜적을 막아 싸웠다. 그 공적으로 선무원종1등공신을 받았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관심지역 경북 >안동시

    학봉 김성일의 신도비 및 묘방석
    ‘학봉 신도비 및 묘방석’은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가수내길 38-15번지에 위치하고 있다. 이 비는 임진왜란 때 의병을 도와 공을 세운 학봉 김성일의 행적을 기록한 신도비와 묘 옆에 두어 묘비로 사용된 묘방석이다. 김성일은 임진왜란 당시 경상우도 초유사로 임명되어 의병을 모집하고 군량미를 조달하는 등 관군과 의병이 연합하여 왜적을 물리치는데 많은 공을 세웠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경상좌도 의병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북 >봉화군

    경상좌도의 의병 유종개
    유종개(柳宗介, 1558~1592)는 조선 중기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이다. 1585년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교서 관정자가 되었다가 고향에 돌아와 있던 중 임진왜란이 일어났다. 이에 의병 수백 명을 모아 태백산을 근거지로 왜군을 무찌르다 봉화에서 전사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기 >양평군

    양평출신 의병장들의 묘역
    양평의병장들의 묘역은 모두 양동면 출신으로서 이른바‘지평의병’을 대표하는 안승우, 이춘영, 김백선등이 1895년 명성황후 시해사건과 단발령에 분개하여 의병을 일으킨 후, 원주‧충주성 등을 점령하며 위세를 떨치고 장렬히 최후를 맞이한 의병장들의 묘소이다. 묘역 내에는 묘비 및 을미의병추모비, 그리고 의병장들의 어록비가 조성되어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기 >양평군

    최고의 포수 김백선
    김백선(金伯善, 1873~1896)은 양평군 출신으로 지평군수 맹영재와 동학농민군을 무찌른 공으로 절충장군에 임명되었다. 일본이 침략해 오자 맹영재와 의병을 일으킬 것을 말했으나 거절당하자, 안승우와 이춘영 등과 원주에서 의병을 일으켜 포군으로 공을 많이 세웠으나 안승우에게 항의를 하다가 군령으로 처형당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북 >제천시

    제천지역 의병전쟁을 기념하는 제천의병제
    제천의병제는 을미의병 창의에 불을 지폈던 제천의병 정신을 계승하고, 시민화합을 도모하기 위해 개최되는 의병 관련 문화예술제로 의병 정신을 계승하여 그 맥을 이어 가기 위하여 개최하기 시작하였다. 자양영당 고유제, 의병 횃불봉송, 의병제전, 박달가요제, 의병유적지 순례등의 행사가 중심이 되고, 다양한 전시회와 향토 특산품전시 판매전이 함께 열린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북 >제천시

    류인석 의병부대 남산전투지
    제천 남산은 한말 을미의병기에 류인석의 연합의병이 충주를 상실한 이후 추격해온 관군과 일본군에 맞서 제천에서 최후의 일전을 벌였던 장소이다. 이 전투에서 의병장 안승우와 홍사구가 순국하였다. 남산전투는 류인석 의병부대가 근거지인 제천을 빼앗기는 계기가 되었고, 결국 류인석은 의병을 확충하고 무기도 더 확보하고자 평안도 지역으로 이동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북 >제천시

    한말 제천의병을 기리는 제천의병전시관
    제천의병전시관은 한말 제천의병의 고귀한 구국 정신을 국민정신으로 계승하고, 개항기 외세의 침입에 치열하게 항쟁한 의병들의 관련 자료를 한자리에 모아 후손들에게 전하기 위한다는 목적으로 2001년 10월 26일에 개관하였다. 의병전시관에서는 제천의병의 총대장인 류인석의병장의 심의와 유품과 의병 기록물, 의병들이 사용했던 무기 등이 전시되어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북 >제천시

    고종황제의 측근으로 제천의병과 관련이 있는 심상훈
    심상훈(沈相勳, 1854~1907)은 고종황제와 이종사촌 간으로 고종황제의 최 측근 중 한 사람이었다. 그는 제천자역에서 세 차례에 걸쳐 의병에 관여하게 된다. 을미의병기, 을사의병기, 정미의병기에 모두 관여를 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문태수의병장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남 >거창군

    월성의병 봉기지 월성서당 터
    월성서당은 을사의병기에 오일선을 중심으로 김성진·김현수·하거명·박화기 등 40여 명이 모여 월성의병을 결성하고 의병 봉기를 결의한 곳이다. 월성서당은 멸실되어 남아 있지 않지만 후대에 세운 정자와 기념비가 있다. 월성의병은 도총, 유격, 후군, 군수, 정보 등의 부서를 편성하고 문태수 의병장이 이끄는 호서의병에 합류하여 군수 물자를 공급하기도 하고 전투에도 참여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영호남의병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남 >함양군

    진주성을 찾은 한말의병장 노응규
    노응규(盧應奎, 1861~1907)는 한말의병장으로 1895년 을미사변과 단발령을 계기로 안의에서 거의를 하게 된다. 이후 정한용 진주의병장과 힘을 모아 진주성을 되찾고, 영호남 일대에서 항일운동을 펼치다 1907년 핵심 의병진들이 충청북도 경무서 황간분견소 순검들에게 일시에 체포되면서 의병진은 자연스럽게 해산되었다. 그는 옥중에서도 하거하다 경성감옥소에서 고문으로 숨졌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