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장성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장성군 지리지 총서

    출처 :전라남도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전남 >장성군

    장성군 지리지 총서
    전남 장성군의 지리지 총서이다. 호남의 중심지이며 전남의 관문이었던 장성. 긴 역사에도 불구하고, 고려 때부터 1945년 해방 이전까지의 읍지류 및 기타 지리지가 산발적으로 흩어진 채 번역조차 되지 않은 실정이었다. 이에 삼국사기, 고려사, 세종실록지리지, 신중동국여지승람 총 4편에 나오는 장성에 관련한 부분을 번역, 주석한 책을 제작해 향후 지역사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도록 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테마스토리 전남 >장성군

    호남지방 지성의 산실, 장성 필암서원 확연루
    확연루(廓然樓)는 필암서원의 문루이자 유생들의 휴식 공간이다. 필암서원은 하서 김인후를 기리는 서원이다. 필암서원은 1590년 창건된 후 정유재란 당시 소실되어 1624년 복원하였고, 1662년 ‘필암서원’ 사액을 받았다. 필암서원이 들어선 위치가 수해를 당하기 쉬운 곳이어서 1672년 지금 위치로 이건하였다. 현재의 확연루도 1752년 화재로 전소되어 다시 중건한 건물이다. 1760년 김시찬이 「확연루기」를 지었고, ‘확연루’ 편액은 우암 송시열이 썼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남 >장성군

    목은 이색과 포은 정몽주로 유명세를 탄, 장성 백양사 쌍계루
    장성 백양사의 쌍계루(雙溪樓)는 백학봉을 뒤로하고 수정 같이 맑은 못을 바라보는 곳에 자리하고 있다. 절의 이름은 백암사 – 정토사 – 백양사로 바뀌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별로 알려지지 않았던 백암사(백양사)가 알려진 것은 고려 말 쌍계루가 중건되면서 목은 이색이 기문을 짓고, 포은 정몽주가 시를 쓰면서부터이다. 이후 목은과 포은을 기리는 시인과 묵객들이 쌍계루를 방문하여 남긴 시가 200편이 넘는다고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용장성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해양을 근거지로 벌인 삼별초의 대몽항전
    270년(원종 11) 8월 강화를 수비하던 군사들이 대부분 도망하여 육지로 도망가자 배중손․노영희 등이 삼별초(三別抄)를 거느리고 강화에 있는 배들을 모두 모아 재물과 자녀들을 싣고 남쪽으로 내려갔는데 1천여 척의 배가 서로 꼬리를 물었다고 한다. 배중손은 진도(珍島)에 관부(官府)를 설치하고 궁궐을 세우고 성을 쌓았는데, 이때의 성이 바로 용장성(龍藏城)이다. 삼별초군의 기세가 매우 드세어 여러 고을이 항복하였고 용장성을 근거지로 급속히 세력을 확장해갔다. 삼별초는 항파두성을 본거지로 내륙지방에 대한 공격을 개시하여 몇 차례 승리했지만, 1273년 4월에 고려․원연합군에 항전하다가 대패하여 전멸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장성남문의병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남 >장성군

    장성의병을 배향하는 오산창의사
    오산창의사는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장성현 남문에 의병청을 세우고 김경수의병장을 중심으로 의병과 군량을 모집해 3차례나 의병활동을 펼쳤던 선열들을 추모하기 위해 1794년에 창건된 사우이다. 오산창의사에는 당시 의병활동에 나섰던 선비‧관군‧승려뿐 아니라 노비까지 총 72명이 배향돼 있어 신분제도가 엄연히 존재하던 당시에 사민평등의 이상을 실현한 귀중한 장소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장성군 지리지

연관자료

  • 지역문화 Pick (1건)
자세히보기
  • 장성군 지리지 총서

    출처 :전라남도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전남 >장성군

    장성군 지리지 총서
    전남 장성군의 지리지 총서이다. 호남의 중심지이며 전남의 관문이었던 장성. 긴 역사에도 불구하고, 고려 때부터 1945년 해방 이전까지의 읍지류 및 기타 지리지가 산발적으로 흩어진 채 번역조차 되지 않은 실정이었다. 이에 삼국사기, 고려사, 세종실록지리지, 신중동국여지승람 총 4편에 나오는 장성에 관련한 부분을 번역, 주석한 책을 제작해 향후 지역사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도록 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기우만의 장성의병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남 >구례군

    한말 지리산 일대에서 활약한 고광순의병장 사적비
    고광순의병장 사적비는 한말 호남의병대장으로 남원‧광주‧화순‧순천 등지에서 활약하다 연곡사에서 순국한 의병장 고광순의 공적을 기념하는 비이다. 고광순의병장은 전라남도 담양군에서 출생하여 한말 일제침략기에 의병을 일으켜 1907년 순국할 때까지 항일투쟁을 전개한 호남의 대표적인 의병장이었다. 이 사적비는 그의 생가터에 1969년 포의사를 세우며 포의사 앞에 건립한 비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장성의병장 기삼연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장성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북 >경주시

    왜구의 경주 공격을 막는 관문성
    왜구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하여 722년(성덕왕 21) 쌓은 석성이다. 관문성은 ‘장성’과 ‘신대리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장성’은 경주시 외동읍 서편부터 남쪽을 따라 외동읍 모화리 동쪽 산 아래까지 뻗어있는 약 12km의 석성이고 ‘신대리성’은 해발 590m 의 ‘성말랭이’를 에워싼 타원형 석성으로 약 1.2km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장성 마을신앙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남 >장성군

    장성 생촌리마을 당산제
    장성 생촌리 마을에서는 정월 대보름날 당산제라 칭하는 마을 제의를 지낸다. 제의를 행하는 신앙처는 모두 다섯 곳이다. 천룡 당산, 양지뜸새, 할아버지 당산, 할머니 당산, 고량뜸새이다. 제의를 지내기 전에 제의를 주관할 제관을 선정한다. 대략 제의를 지내기 열흘 전에 생기복덕 등을 따져 제주, 화주, 축관을 뽑는다. 뽑는 과정에서는 반드시 회의를 거친다. 제의 과정에서 쓰이는 비용은 각 가정에서 걷은 돈으로 충당하였으나 지금은 마을의 공동자금으로 제의를 지내고 있다. 제의에는 과일과 건포, 메밀 범벅 등이 제물로 쓰이며 고기와 생선 등은 제물로 사용하지 않는다. 제의는 제관을 중심으로 한 유교식이며 소지를 올리는 의식과 함께 축문을 읽는다. 다섯 곳에서의 제의를 마치고 나면 도깨비 바우(위) 라는 곳에 가서 제의를 지낸다. 여기에는 메밀 범벅을 제물로 바친다. 모든 제의가 끝나면 마당밟기를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장성 청암역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남 >장성군

    청암도의 중심 청암역
    청암역은 조선시대 전라도 나주를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청암도의 중심이 되는 찰방역이었으며, 전라남도 서부지방으로 뻗어 있던 교통로를 관할했다. 청암역이 관할하던 역은 모두 11개였다. 청암역은 조선 초기 나주에 있었지만, 조선 후기에 장성의 단암역으로 이전하면서 단암역의 이름이 청암역으로 변경되었다. 나주 청암역과 장성 청암역은 한양에서 제주도로 이어지던 제주대로의 한 구간이었던 만큼, 예로부터 사람들의 통행이 많았던 옛길이다. 장성 청암역터는 장성호가 만들어지면서 수몰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장성의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남 >장성군

    집터를 다지며 부르는 장성 초지마을의 「상사소리」
    전라남도 장성군 동화면 월산리는 초지·월산의 자연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월산리는 황룡강 지류인 구룡천이 가로지르고, 크고 작은 4개의 저수지가 있는 전형적인 농촌마을이다. 초지마을에서는 집터를 다질 때는 집이 들어서는 모든 자리를 다지기보다 기둥을 세울 자리, 곧 주춧돌을 놓는 지리만 집중적으로 다졌다. 지경돌 하나에 보통 4명이 붙어서 다지기를 하므로 서로 동작이 맞아야 한다. 이를 위해 초지마을에서는 선후창 방식의 「상사소리」를 활용하여 노래를 했는데, 이는 전라남도에서 많이 부르는 소리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