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철교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소래철교

연관자료

  • 지역문화 Pick (1건)
자세히보기
  • 소래 삶의 터전

    출처 :인천광역시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인천 >남동구

    소래 삶의 터전
    인천 지역의 근대 산업문화 중 하나인 염전 산업에 대한 책이다. 일제강점기 인천 소금 산실이었던 인천 남동·소래 염전 이야기, 꼬마 기차 수인선과 소래철교 이야기, 관방 시설 논현포대 및 장도포대 이야기, 수도권 대표 어항 소래포구와 어시장, 옛날 민중의 소리와 지역 설화 및 지명유래를 소개한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테마스토리 충남 >공주시

    도청을 빼앗기고 대신 받은 다리 – 충남 공주 금강철교
    충청남도 공주는 조선 후기 강경, 청주 등지와 더불어 물산이 집결하는 상업의 중심지였다. 철도가 발달하게 되자 수운을 중심으로 한 공주의 번영은 서서히 막을 내렸다. 당초 조선총독부는 경부선과 호남선을 공주에 부설할 계획을 가지고 있었으나 철도는 대전으로 가고 말았다. 연이어 충남 도청마저 대전으로 이전하자 공주 사람들은 반대 시위에 나섰다. 일제는 분노한 공주 시민들에게 도청 이전에 대한 보상으로 공주에 금강철교를 건설하겠다고 약속했다. 금강철교는 1932년 1월 2일에 착공하여 1933년 10월 23일에 준공되었다. 당시 철교는 대부분 철도교(鐵道橋)로 건설되었지만 금강철교는 도로교(道路橋)다. 당시로서는 최첨단 공법으로 건설되었다. 금강철교는 1950년 북한군의 남하를 막기 위해 교량의 2/3 가량이 파괴되었다. 1952년 복구공사에 들어가 1956년 9월에 준공하였다. 문화재청은 금강철교가 교량건설사의 새로운 장을 연 것으로 평가하여 2006년 3월 2일 등록문화재 제232호로 지정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의령군

    곽재우가 왜군을 막은 남강 위에 일제가 건설한 철교 – 의령 정암철교
    경상남도 의령군 정암진은 남강 최대의 나루로, 부산과 창원을 연결하는 교통 요충지였다. 임진왜란 당시 곽재우 장군이 이끄는 의병이 왜군을 물리친 곳으로 유명하다. 일제는 이곳에 물자 수탈을 위해 정암철교를 건설했고, 1935년 준공된 철골트러스교는 전쟁으로 파괴되었다가 1958년 일부 복원되었다. 언덕 위 정암루는 정암진 전투를 기념하며, 철교 옆 솥바위는 부귀와 국부 탄생 전설로 알려져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북 >완주군

    수묵화 같은 풍경에 어린 농민의 눈물, 전북 완주 구 만경강 철교
    만경강은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원등산에서 발원해 전주, 익산, 군산을 거쳐 황해로 흘러가는 만경평야의 젖줄이다. 구 만경강 철교는 일제강점기 만경평야의 미곡을 일본으로 실어나르던 흔적을 간직한 근대문화유산으로, 농민 수탈의 아픔을 담고 있다. 이 철교와 주변 풍경은 당시 농민들의 고통과 한숨을 떠올리게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