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해초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경남 >통영시

    “맑은 날에 그리운 우도 해초비빔밥”
    통영 우도에는 200년이 된 동백나무도 있고, 맛있는 해초비빔밥도 있다. 그날그날 바다에 나가 필요한 양만큼 해초를 채취해야 하기 때문에 해초비빔밥을 먹으려면 예약 필수다. 청각, 모자반, 까시리, 서실, 미역, 톳 등 그날 딴 해초를 밥에 올리고 양념장에 쓱쓱 비벼 먹는다. 이 외에도 거북손, 따개비, 홍합, 고둥 등을 바닷가에서 직접 채취하는데, 그 모습을 보면 산에서 산나물을 뜯듯 똑똑 따낸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남 >완도군

    일본으로 수출하는 품질좋은 김
    김은 조선시대부터 기록에 나온다. 처음에는 바위에 붙은 해초를 말린 것이었는데, 조선 중기부터 원시적인 양식을 시작했다. 1800년대 완도에서 발에 해초를 기르면서 대량생산이 시작되었다. 일제 강점기에 이르면 양식장의 수와 면적이 늘고 생산량이 늘어난다. 경상남도와 전라남도의 김이 일본에서 많이 팔렸기 때문이다. 일제강점기에는 김양식장이 늘어나서 대정6년(1917) 통계에 의하면 근 17만여원에 불과하던 것이 소화3년(1928)에는 300만원의 거액이 되었다. 1931년의 유명한 김양식장은 전남의 완도, 광양, 장흥, 고흥, 강진, 해남, 여수, 진도의 팔군과 경남의 하동, 동래군이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제주 >서귀포시

    몸국을 먹으려면 모자반을 채취해야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한림읍, 서귀포시 일부 지역에서는 모자반[ᄆᆞᆷ]을 채취해 몸국을 끓여 먹기도 하고, 거름으로 사용한다. 몸국이 향토 음식으로 자리를 잡으면서 모자반 수요가 많아지고 있지만 바다 환경오염으로 수확양이 점차 줄고 있다. 과거에는 제주도 어느 바다에나 모자반을 채취할 수 있었지만 지금은 작은 섬을 끼고 있는 해안가에서만 몸이 나므로 귀한 음식 재료가 되었다. 수심 2~5m 갯바위에 붙어 서식하는 몸은 길이가 2~3m로 길며 가는데, 길이 1m 미만의 어린 잎만 채취한다. 음력 1월이 되면 마을에서 공동으로 몸 채취에 나선다. 해녀는 호미를 들고 물 속으로 자맥질해 들어가서 낫으로 몸을 벤다. 베어 놓은 몸은 물살과 바람을 타고 바닷가에 모이면 그것을 모아 균등 분배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