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국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경기 >광주시

    한국독립군을 이끌었던 김창환
    김창환은 경기도 광주 출신으로 호는 추당(秋堂)이고, 이명은 김석주(金錫柱)이다. 김창환은 일제강점기 신흥무관학교 훈련감, 대한독립군단 대대장, 한국독립군 총사령 대리 등을 역임한 독립운동가이다. 김창환은 조선혁명당에서 항일 독립운동을 전개하던 중 과로로 사망하였다. 김창환 사망시 민족주의 진영 한국국민당 기관지 『한민』 12호(1937년 3월 1일 자)에는 김창환의 죽음을 추도하고 「추당 김창환 선생 별세」라는 글이 실렸다. 대한민국 정부는 1963년 김창환에게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제주 >서귀포시

    제주도에서 항일운동을 주도한 김한정
    김한정은 일제 강점기 제주도 출신의 사회주의 계열의 항일운동가이다. 김한정은 1919년 3·1 운동에 참가하였고 이후 제주청년동맹과 신인회 그리고 제주야체이카 등에서 항일운동을 주도하였다. 김한정은 1927년 조선공산당에 입당하였고, 소위 ‘예배당 설교 방해’사건 때 일제 경찰에 체포되어 벌금형을 받았다. 그리고 1932년 제주도 야체이카 조직원이 ‘구좌 해녀항쟁’ 지도 혐의로 검거되면서 김한정도 구속되어 대구복심법원에서 징역 5년 형을 선고받아 복역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2019년 김한정에게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서울 >중구

    조선 총독에게 폭탄을 투척한 백발의 독립투사 강우규 투탄 의거지, 남대문정거장
    남대문정거장(현 서울역) 광장은 3.1운동이 일어났던 1919년 8월 12일 제3대 조선 총독으로 부임한 해군 대장 사이토 마코토(斎藤実)를 폭살하기 위해 평안남도 덕천 출신의 강우규(姜宇奎)가 총독이 탄 마차를 향해 폭탄을 던져 37명의 사상자를 발생시킨 의열투쟁의 역사적 현장이다. 서울역 광장에는 2011년 왈우(曰遇) 강우규 의사 의거 92주년 기념식에서 맞춰 강우규 의사 기념사업회에서 건립한 ‘왈우 강우규 의사’ 동상이 세워졌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남 >보성군

    좌우익의 대립상황을 밀도감 있게 담아낸 영화 『태백산맥(1994)』
    1994년 개봉된 「태백산맥」은 조정래가 쓴 동명의 대하장편소설을 원작으로, 1948년 10월 일어난 여수ㆍ순천사건으로부터 6ㆍ25전쟁에 이르기까지 전라남도 보성 벌교를 배경으로 하여 일어나는 좌ㆍ우익의 대립상황을 밀도감 있게 담아낸 전쟁드라마영화로 임권택 감독이 연출했으며, 영화진흥공사가 지원한 국책영화이다. 안성기(김범우), 김갑수(염상구), 김명곤(염상진), 신현준(정하섭), 오정해(소화) 등이 출연했고 상영시간은 168분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합천군

    가족의 희생사를 다룬 영화 『태극기 휘날리며(2003)』
    2004년 개봉한 강제규 감독작 「태극기 휘날리며」는 6·25 전쟁으로 한 형제의 산산이 부서진 삶을 통해 전쟁의 비극을 그린 영화이다. 전장에 끌려간 형과 동생, 두 형제는 서로를 의지하는 마음으로 전쟁이라는 극한 상황 속에서 숱한 운명적 순간을 겪으며 살아남지만, 형이 동생을 구하려다 죽음을 맞고 산자와 죽은 자가 뒤바뀌게 되는 이야기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철원군

    아군 유격대의 활약상을 그린 영화 『싸우는 사자들(1962)』
    「싸우는 사자들」은 6.25전쟁 때 철원지구에서 벌어진 아군 유격대의 활약상을 그린 작품으로 1962년 개봉한 김묵 감독의 작품이다. 상영시간은 117분이고, 김석훈, 최지희, 황해, 엄앵란, 이빈화, 장동휘가 출연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인천 >중구

    1882년 임오군란 이후 한국에 들어온 자장면
    자장면(炸醬麵)은 장을 튀겨 면에 비벼먹은 음식이라는 의미이다. 여기서 튀기는 장은 콩 70%와 밀 30%를 섞어 짜게 발효시킨 면장(麵醬)인데 중국 산둥지역에서 주로 담궈 먹었다고 한다. 1882년 임오군란이 일어난 후 청나라와 조선은 ‘상민수륙무역장정(商民水陸貿易章程이라는 조약을 체결하는데, 이 조약으로 청나라와 조선의 상인들은 자유롭게 무역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상민수륙무역장정에 따라 청나라 사람들 특히 주로 중국 산둥 지방 사람들이 인천등 개항장에 이주하기 시작하였다. 산동지방의 향토음식이 한국에 정착한 것이 짜장면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국화빵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남 >천안시

    호두를 넣은 국화빵 사촌, 호두과자
    호두는 고려시대 중국에서 들어왔는데 천안에 처음 심기 시작하여 오늘날까지 천안이 호두의 명산이 되었다.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호두생산의 증가를 위해 노력하여 호두 생산량이 늘었다. 이 호두를 과자에 넣은 것이 호두과자의 시작이다. 호두과자는 1934년 처음 만들어졌는데 국화빵을 만드는 방법과 비슷하다. 다른 것이 있다면 밀가루 반죽에 호두를 넣었다는 것이다. 틀에다 과자를 굽는 것의 기원은 유럽의 와플인데 와플기계가 미국에서 대중화되고 이것이 일본을 거쳐 한국에 들어와 호두과자가 탄생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서울 >송파구

    위례(慰禮)에 백제의 터를 다지다. 온조
    백제를 건국한 온조왕은 고구려를 건국한 동명왕 주몽의 아들이다. 자신을 따르는 세력을 이끌고 남쪽으로 내려와 한강 인근에 십제를 건국한 온조는 함께 남하하여 미추홀에 자리 잡은 형 비류의 세력이 귀화해오자 나라 이름을 백제(百濟)로 바꾸고, 성을 부여로 하였다. 이후 한성지역으로 천도하여 나라의 기틀을 다진 온조왕은 외세의 침략에 맞서고 내부를 안정화하여 백제의 기틀을 다졌다. 현재의 송파구에 위치한 몽촌토성과 풍납동 토성은 한성(漢城)으로 아울러 지칭되었는데, 한강 유역의 상실로 웅진으로 천도하기 전까지 백제의 왕도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대구 >중구

    국밥이 진정한 K-패스트푸드, 대구 맛집 '국일따로국밥'
    국일따로국밥은 대구광역시 한일극장 근처에서 서동술과 김이순이 처음 국밥 가게를 열었다. 그리고 서봉수·최영자가 가업을 이어받아 운영하였고 지금은 서경수가 가게를 이어가고 있다. 가게터는 옛 대구은행 본점 뒷골목 등 자리를 3~4차례나 이전하였다. 그리고 현재의 자리에서 가게를 운영하며 대구 중앙로 사거리를 지키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북 >청주시

    3대째 가업을 잇는 청주의 ‘리정’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내덕동에는 ‘리정’이라는 음식점이 있다. 리정은 1950년대 후반 홍기순 씨가 문을 열고 1988년 아들 조성영 씨가 물려받았다. 조성영 씨는 기존의 메뉴에서 수육, 육개장, 설렁탕에 집중하여 구성을 단순화하였다. 정성껏 푹 고아낸 육수로 만든 육개장과 설렁탕이 유명하며, 소머리와 우설을 삶은 수육도 별미다. 최근 조성영 씨의 아들 조재묵 씨가 3대 대표이며, 딸과 사위가 죽림동에서 2호점을 운영하고 있다. 리정은 60여 년이 넘는 전통과 역사를 지니며 한결같은 맛을 선보이고 있는 청주 맛집으로 유명하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창녕군

    창녕 이방식당, 제대로 된 수구레국밥의 명품식당
    경상남도 거창군 이방면 거남리의 이방식당은 1977년 문정자 씨가 이방시장에서 난전(亂廛)으로 시작하여 1980년 현 위치에 점포를 매입하여 이방식당의 간판을 열고 개업한 지 41년이 되는 노포식당이다. 이방식당은 시장에서 좌판 장사할 때부터 팔았던 수구레국밥과 수구레국수를 전문으로 하는 음식점이다. 소의 가죽과 살코기 사이에 있는 특수부위인 수구레를 가공하여 선지와 함께 사골육수에 얼큰하게 끓여낸 수구렛국이 이방식당에서 차리는 모든 음식의 기본이 된다. 2018년부터 1대 문정자 씨의 며느리 최은영 씨가 대물림하여 운영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중국의 농서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중국의 책을 우리의 땅에 맞게 고쳐 쓴 『사시찬요초』
    『사시찬요초』는 당나라의 한악(韓鄂)이 지었다는 『사시찬요(四時纂要)』에 후대 농서의 내용과 조선의 농업기술을 보충하여 새롭게 편찬한 농서이다. 이 책의 저자는 알 수 없으며 혹은 강희맹이 지었다고 하기도 하고, 신숙이 지었다고 하기도 한다. 각 세목 별로 분석하면 농법이 조선 후기에 지어진 것에 가까워 강희맹보다는 신숙의 저작일 가능성이 높으나 『농가집성』에는 이 책의 서문이 존재하지 않아 정확한 저자와 저술 일시는 알 수 없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대한제국군 시위대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서울 >중구

    대한제국군전투지 서울시가
    일제는 1907년 순종 즉위 후 한일신협약을 체결하고 군대해산을 강행하였다. 이에 대대장 박승환참령과 중대장 오의선정위가 자결하자 대한제국군은 부대를 이탈하여 무장해제를 거부하고 무장투쟁을 일으켰다. 대한제국군은 일본군과 시가전을 벌이며 투쟁하였으나 일본군의 공격을 막아내지 못하고 남상덕 참위가 전사하는 등 막대한 피해를 입고 해산하고 말았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황국균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북 >순창군

    미소제조법으로 만드는 공장식 된장
    미소는 일본식 된장으로 쌀이나 밀가루에 황국균을 접종하여 코지를 만들고 이 코지를 삶은 콩과 섞어 발효시켜 만드는 것이다. 우리나라 된장이 콩만을 발효시켜 만드는 것과는 다르다. 미소는 한국의 된장에 비해 굉장히 빨리 발효되기 때문에 공장에서 대량생산하기 알맞았다. 미소는 일제강점기 일본인이 거주하는 지역을 중심으로 생긴 장유공장에서 일본식 간장과 같이 생산되었다. 해방 후 미소의 발효방식이 현대 공장에서 만들어지는 된장의 원형이 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중국호떡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도시빈민들 최후의 식사, 5전짜리 호떡
    호떡은 일제 강점기 중국인들이 만드는 음식이었는데 5전 정도의 가격으로 이 시기 외식메뉴 중 가장 싼 가격이었다. 호떡은 가난한 조선인들의 주요 식사였고, 한국으로 온 중국인들 중 가난한 사람들의 창업 아이템이었다. 중국인 가게의 호떡은 석탄을 때는 화덕에서 구웠는데 쇠쟁반에 호떡 반죽을 쇠꼬챙이로 넣은 후 다시 쇠꼬챙이로 꺼내는 것이었다. 이 호떡에는 소다를 넣어서 부풀리고 호떡 안에 설탕을 넣었다. 오늘날처럼 기름에 두른 후라이팬에 구운 것이 아니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