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두레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전남 >나주시

    논에 물대기 위해 두레질하면서 부르는 나주 봉추마을의 『물품는 소리』
    전남 나주시 봉추마을은 영산강이 휘돌아가는 곳에 자리하고 있어서 물 부족은 없으나, 예전에는 그 강물을 바로 끌어다가 논에 물을 댈 수가 없었다. 그래서 날이 가물 때면 두레로 물 품는 일이 많았다. 물 품기는 용두레, 두레, 무자위 등의 도구를 사용하는데, 봉추마을에서는 두레질을 했다. 두레질을 하며 물 품는 일은 오랫동안 같은 동작을 반복하는 까닭에 일이 고되고 지루하다. 봉추마을에서는 이를 달래기 위해 선후창으로 물 품는 횟수를 헤아리면서 재치 있는 노랫말로 노래를 불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성주군

    경북 성주의 맞두레질 노래, 옹헤야넘어간다소리
    경상북도 성주군 용암면에서는 논에 물을 퍼올리며 부르던 「농업용수품는소리」로 옹헤야넘어간다소리가 확인되었다. 옹헤야넘어간다소리는 두 사람이 맞두레질을 하면서 불렀다. 가창방식은 선후창으로 2마디짜리 전언가사에 디딤가사 즉 받는소리에 “옹헤야 넘어가네”를 붙인다. 이때의 소리는 맞두레에 물을 퍼 올리는 동작상의 호흡을 맞추어줄 뿐만 아니라 단순하고 반복적이라 단조로워질 수 있는 맞두레질에 흥을 돋우어주는 기능도 담당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인천 >강화군

    달거리 형식으로 부르는 강화군 내가면의 용두레질소리
    인천광역시 강화군 내가면에서는 「용두레질소리」가 전승되어 온다. 용두레는 낮은 곳의 물을 높은 데로 퍼 올리는 재래식 양수 시설이다. 「용두레질소리」는 용두레를 이용하여 논에 물을 퍼 넣으면서 하는 소리로, 열두달 세시풍속을 노랫말로 이어가는 달거리 형식이다. 2003년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2호로 지정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들말두레소리

    출처 :한국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대전 >중구

    들말두레소리
    '들말두레소리'는 논농사로 번성한 대덕구 목상동 일원에서 전래된 노동요이자 소리를 재현한 영상. 노동과 자연환경을 이겨낸 마을공동체의 삶과 힘을 보여주는 콘텐츠. 토산다지기부터 모찌는 소리와 모내기 소리를 거쳐 풍물 한마당인 두레멕이까지 한 마음이 되어 연행하는 한판 놀이를 담았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공주 생활사 온라인 박물관, 상서리 오재호 소장품 (두레 바가지)

    출처 :충청남도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충남 >공주시

    공주 생활사 온라인 박물관, 상서리 오재호 소장품 (두레 바가지)
    공주 생활사 온라인 박물관에 수록된 소장품의 사진이다. 공주 생활사 온라인 박물관에서는 농기구, 악기, 가구, 혼례 및 장례 용구 등 1,800여 점의 다양한 공주 지역 전통 생활문화 소품 사진을 볼 수 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테마스토리 전국

    오늘은 우리집일, 내일은 너희집일. 품앗이
    품앗이는 농촌에서 노동력을 교환하는 방식의 하나이다. 남의 집에 가서 농사나 사사로운 일을 거들어 주면, 다른 사람도 일을 도와주는 상부상조 방식으로 대가성 없는 노동 교환 방식을 취한다. 두레보다는 작은, 역사적으로 아주 오래된 농촌의 관행으로, 가래질, 모내기, 김매기, 추수, 풀베기, 길쌈 등에서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기 >김포시

    일 년 동안의 농사 과정을 구체적으로 재현한 김포통진두레놀이
    김포 통진두레놀이는 농경문화의 하나인 두레와 관련된 놀이다. 여타 지역에서도 유사한 놀이가 행해지고 있긴 하나 농업 지역으로서의 김포의 농경문화를 고스란히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큰 놀이라 할 수 있다. 이 놀이는 대략 200여 명의 인원이 참여한다. 일 년 동안의 농사 과정을 놀이로 승화시킨 것인데, 김포 통진 두레놀이는 입장-논갈이 및 써래질-볍씨뿌리기-고사지내기-모찌기-모내기-새참먹기-물고싸움과 두레싸움-김매기-벼베기-탈곡하기-섬쌓기-풍년을 기원하는 대동놀이 순서로 진행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대전 >서구

    김매기의 고됨을 놀이로 승화시키는 숯뱅이 두레놀이
    숯뱅이 두레놀이는 대전광역시 서구 탄방동에서 행해지는 놀이다. 다른 지역 두레놀이와 유사하지만 모내기 대신 김매기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이 특별하다. 첫 번째 과장은 농신제이, 이어 첫번째 김매기인 아시매기를 하고 가래질소리를 한다. 그 다음 두번째 김매기인 이듬매기를 하고 새참멕기를 하고, 못줄놀이를 진행한다. 마지막 김매기인 만물매기를 하고 뒤풀이를 하는 것으로 놀이는 마무리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남 >서산시

    형 두레와 아우 두레가 화합하는 '서산용대기놀이'
    충청남도 서산 지역을 중심으로 행해지는 용대기 놀이는 용대기라는 농기와 관련이 깊다. 용대기놀이는 여러 가지 면에서 다른 지역의 두레놀이와 백중놀이와 유사한 부분이 많은데 실제로 김매기 과정이 마무리 되면 이 놀이가 행해졌다. 오랜 역사를 지닌 한 동안 중단이 되었다가 다시 복원이 되었다. 서산 지역의 경우에는 여러 지역에서 용대기 놀이가 있었으나 대표적인 곳이 덕지내이다. 이곳에서 행해지던 용대기놀이는 고증 과정을 거쳐 새롭게 재현이 되었는데, 놀이 순서는 준비마당-들어서는 마당-논매기마당-새참마당-용대기사움-놀이마당-맺음마당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