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목포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전남 >목포시

    목포시 대성동 피난민촌
    목포 대성동은 6·25전쟁으로 피난민이 모여들어 작은 마을을 이루었고 1952년 난민용 주택 120호가 갖추어지면서 피난민촌을 이루었다. 2009년 대성동 피난민촌은 원도심 활성화를 위해 대성지구 공동주택 개발이 확정됐고 피난민촌은 완전 철거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남 >목포시

    근대의 슬픔이 오롯이 남은 항구 – 목포 근대역사문화공간
    1897년 개항한 전라남도 목포시는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조선 4대 항구이자 6대 도시로 꼽히는 근대도시로 성장했다. 현재 유달동, 만호동에 해당하는 목포의 구 도심은 일본 등 외국자본에 의해서 간척된 계획도시였다. 만호동과 유달동 일대의 번영로에 근대건축 유산이 집중되어 있다. 문화재청은 2018년 8월 6일 이 일대 11만4,038㎡(602필지)를 ‘목포 근대역사문화공간’이라는 이름으로 등록문화재 제718호로 지정했다. 기존 ‘점’(點) 단위 개별 문화재 중심의 보존에서 탈피해 문화재청이 ‘선(線)‧면(面)’ 단위 문화재 등록제도를 도입한 첫 사례이다.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개별 건축물은 15개로, 일본식 가옥 4곳, 구 목포부립병원 관사, 구 목포 일본기독교회, 상가주택 6곳, 구 동아부인상회 목포지점, 목포 해안로 붉은 벽돌창고, 구 목포 화신연쇄점이 포함되어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남 >목포시

    유달산 자락 다순구미의 현대사 - 조선내화주식회사 구 목포공장
    전라남도 목포시 온금동 조선내화주식회사 옛 공장은 1938년 일제강점기 말기에 설립됐다. 내화란 불에 잘 견디는 성질을 일컫는 말로서, 조선내화에서는 무기용 철을 생산하는 용광로를 짓는데 들어가는 내화벽돌을 생산했다. 조선내화는 해방 후 한국인에게 불하되어 새 출발했다. 1953년에는 이동훈이 인수하여 목포 향토기업으로서 성장했다. 조선내화는 보해양조, 행남사와 더불어 목포 3대 기업으로 꼽혔다. 1960~1980년대 한국경제의 고도 성장기에 제철, 시멘트, 유리 공업에 반드시 필요한 내화제를 생산하여 세계적인 내화제 기업으로 발돋움했다. 목포 공장은 1997년 조선내화 본사가 전라남도 광양으로 옮겨감으로서 가동을 중단했다. 조선내화 노동자들은 다순구미(온금동) 일대에 마을을 이룰 정도로 모여 살았다. 조선내화는 2017년 목포 공장 내 건물 5동, 굴뚝 3기, 공장 설비 5기를 등록문화재로 지정받았다. 조선내화 목포 공장의 설비와 건물은 내화 산업의 일관 공정을 모두 살펴볼 수 있는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목포시 서산·온금지구 재개발과 맞물려 갈등을 빚기도 하였으나, 2019년 현재 추가로 공장 부지를 문화재로 지정해 줄 것을 요청한 상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목포음식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남 >목포시

    세발낙지를 탕탕!쳐서 육회에, 목포 낙지탕탕이
    산낙지를 산다. 도마에 올린다. 칼로 탕탕! 쳐내서 잘게 자른다. 토막 낸 낙지를, 참기름과 소금으로 간을 해둔 육회와 함께 조물조물 버무린다. 그리고 편으로 썬 고추와 생강, 참깨 등의 고명을 얹어내면 완성. 이렇게나 간단한 조리법인데 없어서 못 먹는 음식이 있다. 이름하여 낙지탕탕이. 도마에 산낙지를 올려두고 탕탕! 쳐낸다는 것에서 유래된 이름은 그 놀라운 조리법만큼이나 눈이 휘둥그레지는 맛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목포 향토음식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남 >목포시

    오독오독 씹어먹는 재미가 있는 등택어찜
    항구 도시는 수많은 배와 물자, 그리고 사람이 오고가 활력이 있다. 많은 물류가 모이기에 다른 곳에서는 쉽게 보지 못하는 음식도 있고, 많은 사람이 모이기에 집집마다 다른 손맛을 자랑하기도 한다. 그래서 목포는 ‘맛의 도시’다. 목포에 오면 목포 종합 수산시장의 경매 현장을 방문해서 항구도시의 활력을 피부로 느껴보자. 이때 재미삼아 찾아볼 만한 생선이 있다. 바로 등택어다. 목포하면 떠올리는 홍어와 생김새가 비슷한 등택어는 ‘홍어 사촌’이라고 불린다. 맛은 홍어와 큰 차이가 없으면서도 가격은 반값이기 때문에 찾아 구매해볼 만하다. 아는 사람이 극히 적은, 숨겨진 보물을 찾는 재미가 쏠쏠하기 때문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남 >목포시

    댕기머리 소녀들의 야무진 만세 함성, 목포 정명여자중학교 구 선교사 사택
    목포 정명여학교는 1903년 미 남장로교의 선교에 일환으로 세워진 학교다. 전라남도 최초의 여성 교육기관인 정명여학교는 1919년과 1921년 만세 시위를 벌인 학교로 유명하다. 댕기머리 소녀들은 비밀리에 거사를 준비하고 실행에 옮겼다. 정명여학교는 1937년 신사참배를 거부해 폐교 당했다가 1947년에야 재개교했다. 선교사 사택은 1905~1910년 사이 지어진 석조 건물이다. 목포 산지의 화강암으로 지어진 선교사 사택은 2채다. 현재 정명여학교 100주년 기념관으로 쓰이는 사택이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남 >목포시

    민족자본 은행의 자존심, 구 호남은행 목포지점
    호남은행은 지역의 대부호들이 1920년 설립했다. 호남은행은 총독부의 통합 조처에 순응하지 않고 1929년 목포지점 건물을 신축했다. 동양척식회사 목포지점을 의식하여 규모와 외관에서 손색없이 지었다. 개항 도시 목포의 산업자본 형성에 기여한 호남은행 목포지점은 일제 강점기 은행의 역사와 건축 양식을 잘 보여주는 근대문화 유산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남 >목포시

    초여름의 별미, 입이 너무 작은 병어
    동그스름한 마름모꼴의 몸 형태를 가진 병어는, 뼈째 썰어 회로 먹기도 하고 무나 감자와 함께 조림으로 먹으면 한층 맛이 더해지는 생선이다. 좋은 개펄이 발달해 있는 전라남도 신안군은 우리나라 최대의 병어 산지이다. 살이 부드럽고 담백하며 생선 비린내가 나지 않는 병어는, 생선을 잘 먹지 않는 사람들도 편안하게 즐길 수 있는 생선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목포 근대문화유산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남 >목포시

    목포 지역 청년 운동의 무대, 목포 구 청년회관
    목포 구 청년회관은 1920년대 목포 지역의 청년운동을 이끌었던 단체가 설립한 회관이다. 목포청년회는 1917년을 전후로 활동하기 시작하여 목포 지역의 청년 운동을 이끈 단체이다. 지식계발과 친목, 체육장려를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운동회와 강연회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활동했다. 목포 구 청년회관은 현재 남교소극장으로 바뀌었으며, 이곳에서 목포 지역의 각종 문화 행사가 개최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남 >목포시

    목포는 항구다, 서남해안의 관문 목포항
    목포항은 1897년 10월 개항장 중 하나로 개항한 항구이다. 일제강점기 당시 곡물을 비롯해 면화, 소가죽 등을 일본으로 공출하는 거점이었다. 1940년대에 남항과 북항으로 나누어졌고, 인천항, 부산항과 더불어 한국의 3대 항구가 되었다. 해방 이후 일본과 중국과 교역이 둔화하면서 항구의 기능이 쇠퇴하였다. 현재 목포항은 총 8개의 부두로 북항부두, 삼학부도, 대불부두, 동양시멘트 전용두부, 남항부두, 여객부두 등으로 나누어져 있다. 부두별 기능이 특화되어 있고, 주변 공업단지의 항만기능도 수행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남 >목포시

    천연기념물 육식공룡알둥지화석을 볼 수 있는 ‘목포자연사박물관’
    목포는 맛깔 나는 음식이나 항구의 도시로도 유명하지만, 박물관 투어를 하기에도 좋은 도시이다. 자연사, 목포 향토사, 수중고고학, 미술 등 관심에 따라 선택할 박물관도 다양하고, 박물관 사이의 거리도 짧다. 목포의 대표적인 관광지인 갓바위 근처에 위치한 박물관과 전시관들은 도보로 이동이 가능해 가족나들이 장소로 제격이다. 그중 2021년 3월에 대규모 개편공사를 마치고 재개관 한 목포자연사박물관에는 세계에서 2점뿐인 공룡화석과 천연기념물인 육식공룡알둥지화석이 기다리고 있다. VR과 디지털을 이용한 다양한 체험전시도 있어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즐길 수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남 >목포시

    목포가 자랑하는 5味를 모두 맛볼 수 있는 청호시장
    전라남도 목포시 석현동에는 청호시장이 있다. 청호시장은 처음에는 목포역 부근에서 노점이 모였다 사라지는 ‘도깨비시장’이었다. 1999년 노점 상인들이 조합을 설립해 석현동으로 옮겨 가면서 시장을 개설하였다. 1층에는 농수산물을 비롯한 육류, 잡화 등을 취급하고 있으며, 2층은 대규모의 가구 전문 업체가 입점해 있다. 청호시장은 목포의 다섯 가지 맛이라고 할 수 있는 낙지, 보리새우, 전복, 민어, 홍어를 모두 만나볼 수 있는 시장이다. 최근에는 ‘모바일 청호시장’이 오픈되어 스마트폰으로 편리하게 쇼핑할 수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남 >목포시

    댕기머리 소녀들의 야무진 만세 함성, 목포 정명여자중학교 구 선교사 사택
    목포 정명여학교는 1903년 미 남장로교의 선교에 일환으로 세워진 학교다. 전라남도 최초의 여성 교육기관인 정명여학교는 1919년과 1921년 만세 시위를 벌인 학교로 유명하다. 댕기머리 소녀들은 비밀리에 거사를 준비하고 실행에 옮겼다. 정명여학교는 1937년 신사참배를 거부해 폐교 당했다가 1947년에야 재개교했다. 선교사 사택은 1905~1910년 사이 지어진 석조 건물이다. 목포 산지의 화강암으로 지어진 선교사 사택은 2채다. 현재 정명여학교 100주년 기념관으로 쓰이는 사택이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남 >목포시

    민족자본 은행의 자존심, 구 호남은행 목포지점
    호남은행은 지역의 대부호들이 1920년 설립했다. 호남은행은 총독부의 통합 조처에 순응하지 않고 1929년 목포지점 건물을 신축했다. 동양척식회사 목포지점을 의식하여 규모와 외관에서 손색없이 지었다. 개항 도시 목포의 산업자본 형성에 기여한 호남은행 목포지점은 일제 강점기 은행의 역사와 건축 양식을 잘 보여주는 근대문화 유산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남 >목포시

    근대의 슬픔이 오롯이 남은 항구 – 목포 근대역사문화공간
    1897년 개항한 전라남도 목포시는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조선 4대 항구이자 6대 도시로 꼽히는 근대도시로 성장했다. 현재 유달동, 만호동에 해당하는 목포의 구 도심은 일본 등 외국자본에 의해서 간척된 계획도시였다. 만호동과 유달동 일대의 번영로에 근대건축 유산이 집중되어 있다. 문화재청은 2018년 8월 6일 이 일대 11만4,038㎡(602필지)를 ‘목포 근대역사문화공간’이라는 이름으로 등록문화재 제718호로 지정했다. 기존 ‘점’(點) 단위 개별 문화재 중심의 보존에서 탈피해 문화재청이 ‘선(線)‧면(面)’ 단위 문화재 등록제도를 도입한 첫 사례이다.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개별 건축물은 15개로, 일본식 가옥 4곳, 구 목포부립병원 관사, 구 목포 일본기독교회, 상가주택 6곳, 구 동아부인상회 목포지점, 목포 해안로 붉은 벽돌창고, 구 목포 화신연쇄점이 포함되어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