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밀양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밀양박씨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 지역문화 Pick (7건)
자세히보기
  • 뿌리공원 성씨비 (밀양박씨,후면비문)

    출처 :대전광역시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대전 >중구

    뿌리공원 성씨비 (밀양박씨,후면비문)
    전국 유일의 '효' 테마공원인 대전 뿌리공원의 사진이다. 자신의 뿌리를 알 수 있는 성씨별 조형물과 공원시설 등을 갖춘 체험학습 교육장이다. 성씨비에는 각 성씨와 성과 본관, 유래 등을 표기하고 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뿌리공원 성씨비 (밀양박씨,전면비문)

    출처 :대전광역시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대전 >중구

    뿌리공원 성씨비 (밀양박씨,전면비문)
    전국 유일의 '효' 테마공원인 대전 뿌리공원의 사진이다. 자신의 뿌리를 알 수 있는 성씨별 조형물과 공원시설 등을 갖춘 체험학습 교육장이다. 성씨비에는 각 성씨와 성과 본관, 유래 등을 표기하고 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뿌리공원 성씨비 (밀양박씨,우측면)

    출처 :대전광역시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대전 >중구

    뿌리공원 성씨비 (밀양박씨,우측면)
    전국 유일의 '효' 테마공원인 대전 뿌리공원의 사진이다. 자신의 뿌리를 알 수 있는 성씨별 조형물과 공원시설 등을 갖춘 체험학습 교육장이다. 성씨비에는 각 성씨와 성과 본관, 유래 등을 표기하고 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밀양의 설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남 >밀양시

    귀양간 남편의 유골을 들고 삼천리길을 내려온 열녀 양씨
    열녀 남원양씨는 고려 후기 양주운 장군의 11대손 양윤회의 딸로, 이과(李薖)의 11세손 이정환(李廷煥)과 1695년에 혼인한다. 남편이 사기꾼 김생일에게 사기를 당하고 공범으로 몰려 함경북도 종성(鍾城)으로 귀양을 가게 되자, 남편이 떠난 지 1년이 되는 날 가사를 정리하여 여필종부(女必從夫)의 길을 나섰다. 여자의 몸으로 풍찬노숙에 문전걸식하며 두 달 열흘 만에 부부 상봉하여 귀양이 풀릴 날을 기다리다가, 5년째 되는 해에 남편이 병을 얻어 8일 만에 세상을 떠난다. 비통한 눈물로 장사를 지내고, 남편의 유언에 따라 삼년 만에 유골을 수습하여 귀향길에 올라, 찬이슬 비바람과 두 달 보름을 벗하고 밀양관에 도착하여, 남편이 귀양지에서 죽어서 해골로 돌아온 과정을 보고하고 선산에 안장하였다. 전후 사실을 부사와 감사가 알고 암행어사가 임금께 보고하니, 그로부터 15년 후인 1748년 7월에 영조임금으로부터 열녀정려(烈女旌閭)가 내렸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밀양시

    장가가는 신랑을 맹수로부터 지킨 개, 밀양의 개고개
    밀양시 무안면 정곡리에서 마흘리로 넘어가는 나지막한 고개를 밀양 사람들은 ‘개고개’로 불러왔다. 현재 경남지방도 10180호선이 밀양 부북면에서 무안면으로 이어주고, 여기서 신생동 마을로 들어가는 길이 갈라져 삼거리를 이룬다. 이 지점에 ‘밀양 의견상’이 서 있다. 이 의견상의 좌대에는 전라북도 임실군 오수면 ‘오수의 개’에 대한 이야기와 똑같은 이야기가 새겨져 있는데, 이는 밀양 개고개의 진짜 이야기와는 다르다. 조선 숙종임금 때부터 밀양 개고개는 장가·시집가는 초행길 신랑 신부는 넘지 말아야 하는 고갯길이었다. 그런 속설이 전해져오는 이유가 있는 것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밀양시 가옥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남 >밀양시

    남녀 구별이 유연해진 시대상을 보이는 밀양 안세환 가옥
    밀양 안세환 가옥은 1935년 안종익이 건축한 것이다. 건축비용으로는 건축 당시 50마지기의 논에 해당하는 경비가 사용되었다고 한다. 안세환 가옥은 긴 직사각형 모양의 땅이 동서로 뻗은 형세이고 대문채를 비롯하여 4동으로 사랑채와 안채 그리고 곡간채 등이 있다. 안채와 사랑채를 분리하면서도 전통시대처럼 담을 쌓지는 않은 점, 사랑채 뒷마당 토담에 협문을 내어 드나들도록 만든 점은 전통과 변화를 함께 수용한 흔적으로 보인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밀양손씨

연관자료

  • 지역문화 Pick (9건)
자세히보기
  • 뿌리공원 성씨비 (밀양손씨,우측비문)

    출처 :대전광역시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대전 >중구

    뿌리공원 성씨비 (밀양손씨,우측비문)
    전국 유일의 '효' 테마공원인 대전 뿌리공원의 사진이다. 자신의 뿌리를 알 수 있는 성씨별 조형물과 공원시설 등을 갖춘 체험학습 교육장이다. 성씨비에는 각 성씨와 성과 본관, 유래 등을 표기하고 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뿌리공원 성씨비 (밀양손씨,후면비문)

    출처 :대전광역시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대전 >중구

    뿌리공원 성씨비 (밀양손씨,후면비문)
    전국 유일의 '효' 테마공원인 대전 뿌리공원의 사진이다. 자신의 뿌리를 알 수 있는 성씨별 조형물과 공원시설 등을 갖춘 체험학습 교육장이다. 성씨비에는 각 성씨와 성과 본관, 유래 등을 표기하고 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뿌리공원 성씨비 (밀양손씨,좌측비문)

    출처 :대전광역시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대전 >중구

    뿌리공원 성씨비 (밀양손씨,좌측비문)
    전국 유일의 '효' 테마공원인 대전 뿌리공원의 사진이다. 자신의 뿌리를 알 수 있는 성씨별 조형물과 공원시설 등을 갖춘 체험학습 교육장이다. 성씨비에는 각 성씨와 성과 본관, 유래 등을 표기하고 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테마스토리 경남 >밀양시

    백중 무렵 열리는 시장과 밀양백중놀이
    음력 7월 15일을 백중이라고 한다. 백중 무렵이 되면 해당 지역의 소재지에서 백중장이 열렸다. 백중장이 열리면 인근 지역에서 많은 장사꾼들이 모여들어 난장이 펼쳐졌다. 경상남도 밀양군에서는 ‘백중놀이’, ‘호미씻기’, ‘꼼배기참놀이’ 등으로 불리는 농군들(머슴들)만의 놀이를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밀양시

    용과 호랑이가 싸우는 모습을 흉내낸 밀양 용호놀이
    밀양의 용호놀이는 동쪽은 용, 서쪽은 호랑이를 닮은 지역의 지형적 특수성이 반영된 놀이다. 마을의 풍년과 안녕을 기원하기 위해 벌였으며 줄다리기에서 유래했다고 알려져 있다. 새끼줄을 꼬아 청룡줄과 백호줄을 만들고 용과 호랑이가 싸우는 모습을 흉내 내면서 격돌하는데, 상대편 깃발을 먼저 빼앗는 쪽이 이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밀양시

    새해를 여는 흥겨운 잔치, 밀양 법흥 상원놀이
    밀양 법흥 상원놀이의 '상원'은 정월 대보름의 다른 말로, 놀이의 시점이 음력 1월 15일인 까닭에 붙여진 이름이다. 놀이는 온종일 벌어지는데, 이른 새벽 당산제와 용왕제를 지내고 풍년과 복을 빈 후 헌신랑 다루기, 장작윷놀이, 돌다리밟기 등을 즐긴다. 그러고 나서 보름달이 뜨면 달집태우기를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밀양시

    1957년부터 시작된 '밀양아리랑대축제'
    경상남도 밀양 영남루의 중수를 기념하여 1957년 제1회 밀양종합문화제가 열린다. 1963년에 아랑제와 밀양문화제로 이원화되었던 행사는 1968년 밀양아랑제로 통합되었다가 2004년 밀양아리랑대축제로 명칭이 바뀌었다. 밀양 출신인 사명대사의 ‘충의’와 김종직의 ‘지덕’, 아랑낭자의 ‘정순’ 등 밀양의 3대 인물의 고귀한 정신을 기리는 종합문화제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칠곡의 소리, 밀양아리랑(행정리 송말희)

    출처 :경상북도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경북 >칠곡군

    칠곡의 소리, 밀양아리랑(행정리 송말희)
    경북 칠곡군에서 전해 내려오는 소리인 '밀양아리랑'의 채록 음원이다. 경북 칠곡군의 민요, 노동요, 상여소리 등 27건을 채록하여 옛날 서민들의 생생한 생활상과 애환을 가감 없이 전달한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테마스토리 경남 >밀양시

    밀양 삼랑진 후조창터에 세워진 관찰사 조인영 조폐리정 영세불망비
    조인영(趙寅永, 1782~1850)은 조선 후기 문신으로, 이조판서 진광의 아들이다. 1891년(순조 19) 식년문과에 장원급제하여 응교에 임용되고, 그해 형의 딸이 세자빈이 되면서 홍문록(弘文錄) 도당록(都堂錄)에 선임되었다. 1822년 함경도 암행어사로 복명 후 대사헌에 특진되었다. 1826년 경상도관찰사를 역임한 뒤 이조참의, 대사성, 세손좌유선, 제학, 예조참판 등 요직을 두루 거쳤다. 관찰사 조상국인영 조폐리정영세불망비는 수지문을 선각으로 조식하였으며, 비신을 감(龕) 형태로 공간을 만든 후 음각으로 비문을 주성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밀양시

    나라를 걱정하는 밀양표충비
    밀양표충비는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경상남도 밀양시 동부동안길 4에 위치하고 있다. 임진왜란 때 의승병을 일으켜 왜적을 물리치고 외교승으로 활약한 사명대사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1742년에 세운 비로 나라가 위기에 처하거나 어려움을 겪으면 눈물을 흘리는 비석으로 알려져 있다. 사명대사는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승병으로 의병을 조직하여 평양성을 수복하는 데 공을 세우고 왜란이 끝난 후에는 외교승으로 일본에 건너가 활약하기도 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밀양시

    충효열의 가문을 기린 밀양 탁삼재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57호로 지정된 탁삼재(卓三齋)는 1864년(고종 1)에 건설한 사당이다. 나라에서 탁삼(卓三)이란 호칭을 내려서 세운 사당인데, 이곳은 임진왜란 때 의병장을 지낸 김유부 모자의 충효와 병자호란 때 전사한 김기남과 김란생의 절개를 기리기 위해 세워졌다. 한 집안에서 충효열을 모두 실행한 기념으로 세운 사당이다. 이 사당은 현재 김녕김씨 종중에서 관리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밀양 지명유래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3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남 >밀양시

    두 마리 소를 묻은 골짜기, 밀양 우곡
    옛날 밀양의 한 마을에 전염병이 돌아 소들이 모두 죽었다. 농사를 지을 수 없게 된 마을 사람들은 굶주림에 허덕였다. 어느 해, 소 두 마리가 마을로 들어왔다. 사람들은 기뻐하며 돌아가면서 소를 부렸다. 하지만 소를 너무 심하게 부린 탓에 과로한 소 두 마리가 다 죽고 말았다. 그제야 잘못을 뉘우친 마을 사람들은 소의 죽음을 슬퍼하며 양지바른 곳에 묻어주었다. 이후 마을에는 해마다 풍년이 들었다고 한다. 그때부터 마을은 소를 묻은 언덕이라는 뜻으로 우곡이라 불렸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밀양시

    논밭 갈다 죽은 소를 언덕에 묻어준 밀양 우곡마을
    우곡(牛谷)마을은 경상북도 밀양시 삼랑진읍 우곡리의 자연마을로 해발 674m의 만어산과 해발 640.1m의 구천산 사이의 산자락에 자리하고 있다. 우곡(牛谷)마을은 우곡리 한 가운데 있는 중심마을로 우실·웁실 등으로도 불린다. 옛날 우곡마을은 물론 이웃마을에도 소 돌림병이 돌아 몇 년 동안 농사를 제대로 짓지 못했다. 그러다보니 가을이면 수확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먹고살기가 어려웠다. 어느 날 소 두 마리가 나타나 마을에서는 돌아가면서 소를 부려 밭을 갈았는데 소가 너무 힘들어 두 마리가 동시에 죽었다. 이에 마을에서는 소를 양지바른 언덕에 묻어주고 스스로 ‘우곡(牛谷)마을’이라 불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밀양시

    임진왜란 때 충효열 삼강이 실현된 밀양 삼강동
    임진왜란 때, 손인갑과 노개방은 의병장으로 왜군과 맞서 싸우다 전사했다. 손인갑의 아들 손약해는 아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 싸우다 또한 전사했다. 노개방의 아내는 남편이 죽자 따라 죽었다. 이들은 모두 밀양시 무안면 중산리 일대에서 태어났다. 선조는 삼강오륜 중 충효열을 실현한 이들을 기리기 위해 이 마을을 삼강동이라고 이름 내렸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밀양의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남 >밀양시

    경남 밀양의 풀 썰며 부르는 작두야소리
    「풀써는소리」는 논이나 밭에 거름으로 쓸 풀을 작두로 썰면서 부르던 노래이다. 풀 써는 일은 넣어주고, 밟고, 빼는 등 분업으로 진행했는데, 보통은 풀을 작두에 넣어주는 사람이 「풀써는소리」를 부른다. 현재까지 전승이 확인된 「풀써는소리」에는 어이야소리, 우러리소리, 작두야소리가 있다. 작두야소리는 밀양시 산내면에서 전승되었다. 가창방식은 선후창으로 2마디짜리 전언가사에 ‘어허허어 작두야’라는 디딤가사를 붙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밀양 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남 >밀양시

    벼껍질을 벗기는 매통 돌리며 부르는 경남 밀양의 목매소리
    「매통돌리는소리」는 벼의 껍질을 벗기는 도구인 매통을 돌리며 부르던 노래이다. 작업자 간의 호흡을 맞추고 일의 고됨을 덜어주는 역할을 한다. 가창방식은 선후창이다. 「매통돌리는소리」에는 목매소리와 매통소리 단 두 편만이 보고 되었다. 경남 밀양시에서는 「매통돌리는소리」로 목매소리를 불렀다. 2마디짜리 전언가사에 “어허 목마야”라는 디딤가사를 붙인다. 밀양시 산내면에서는 많은 양의 곡식을 갈 때 쓰는 농기구인 멧지게질을 할 때도 부른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