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배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경기 >포천시

    한말의병장으로 전라도 태인에서 의거한 최익현
    최익현(崔益鉉, 1833~1906)은 이항로의 문하에서 공부를 하고 일찍이 과거에 합격하여 벼슬을 하다가 1873년 관직을 버렸다. 이후 여러 면으로 상소를 올려 나라의 기강과 외세로부터 나라를 지키고자 노력해 왔다. 그는 한말의 관원이면서 의병장으로 전라도 태인에서 의거를 했다가 체포되어 대마도에서 생을 마감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영월군

    영월출신 한말의병장 엄해윤
    엄해윤(嚴海潤, 1863~1909)은 영월군 영월읍 하송리 출신으로 의업(醫業)에 종사하다가 1906년 의병활동을 하였다. 처음 충청도 황간, 노응규의 의진에서 선봉장으로 활약했으며, 1908년 이은찬의 의진에서 참모로 있었고, 1909년 이종협의 의진에서 활동하다가 체포되어 교수형에 처해졌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북 >군산시

    한말 두 번이나 의거한 전남의병장 임병찬
    임병찬(林炳瓚, 1851~1916)은 흉년에 곡식을 풀어 백성을 도왔으며, 을사늑약 후 의병을 일으켰다가 대마도에 유배되었으며, 또 다시 의병을 일으켰다가 체포되어 거문도에 유배되었다가 병사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여성 배우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기 >동두천시

    홍도야 울지마라, 배우 차홍녀
    차홍녀는 1918년 경기도 동두천 근처에 있는 여천에서 태어나서 1939년 젊은 나이에 삶을 마친 일제강점기 영화배우였다. 동양극장 전속 극단인 청춘좌에 입단하여 창단 공연작인 「국경의 밤」에서 주인공을 맡았다. 박진의 후원으로 빠른 속도로 배우로 성장하게 되었다. 차홍녀의 대표작은 「춘향전」과 「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이다. 춘향역과 홍도역을 통해 당대 최고의 스타로 발돋움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천연두로 20대 초반의 젊은 나이에 삶을 마감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인공재배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강원 >인제군

    전통적으로 인기있었던 송이버섯과 표고버섯
    버섯은 조선시대에도 귀한 식품이었는데 일제 강점기에도 그러하였다. 특히 송이버섯과 표고버섯이 귀한 대접을 받았다. 일본인들은 메이지시대부터 버섯을 인공재배하여 일제강점기 조선에서도 표고나 송이버섯을 인공재배했다. 그러나 이 시기 조선에서 표고버섯이나 송이버섯은 자연산도 많았으므로 사람들은 자연산 버섯을 더 선호하였다. 표고버섯은 금강산 부근, 오대산 월정사 부근, 강원도 인제군 등이 유명했고, 송이버섯은 함남 안변 석왕사, 함북 회령, 경남 합천 가야산, 서울의 삼각산 등이 유명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기 >광주시

    분단의 남과 북을 가로지른 영화 왕국의 여왕, 최은희
    초창기 한국 영화를 대표하는 ‘스타’ 여배우였던 최은희는 1943년 「청춘극장」으로 연기의 길에 들어선 4년 후 스크린에 데뷔해 2백여 편에 출연했다. 1960년대 한국영화의 전성기에는 김지미, 엄앵란과 함께 여배우 트로이카로 이름을 날렸고, 한국적인 ‘모성 표상’의 주인공으로 이미지가 각인된 탓에, 한국 영화사에서 박남옥과 홍은원을 잇는 세 번째 여성감독이라는 정체성은 희석되었다. 신필름의 대표였던 남편 신상옥과 활동하다 북한에 납치되어 영화 제작을 함께하며 「소금」으로 1985년 모스크바 영화제 여우주연상을 받았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기 >남양주시

    영원한 우리의 합죽이, 희극배우 김희갑
    김희갑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1세대 희극배우다. 영화 「팔도강산」으로 배우로서의 입지를 다졌고,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 「빨간마후라」 등 700여 편의 영화와 TV드라마 등에 출연했다. ‘합죽이’라는 예명으로 서민의 애환을 코믹한 연기로 대변하고, 「불효자는 웁니다」를 부르며 실향민의 아픔을 달래는 시대의 가객이기도 했다. 김희갑은 연기와 노래로 1950~60년대 한국 대중문화의 중심에 섰던 예술인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서울 >서대문구

    한국영화의 개척자, 춘사 나운규
    나운규(羅雲奎)는 독립운동가이자 영화인이다. 투철한 민족정신과 자유로운 예술관으로 29편의 작품을 남겼고, 그중 15편에서 직접 각본, 감독, 주연을 맡은 신화적인 인물이다. 초창기 한국영화의 수준을 한단계 끌어올린 불후의 명작 <아리랑>을 남겼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작물 재배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한 농지에 해마다 다른 작물을 키우는 돌려짓기
    돌려짓기는 작물을 일정한 순서에 따라 주기적으로 바꾸어 심는 방법이다. 한자어 표기로는 윤작(輪作)이라고 한다. 같은 밭에 동일 작물을 연속 재배할 경우 지력이 저하되어 수확량이 줄어든다. 작물이 필요로 하는 영양소가 한정적이기 때문이다. 돌려짓기는 이를 피하고 지력을 유지시키는 데 우선적인 목적이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한 번에 두 작물을 농사짓는 섞어짓기와 사이짓기
    섞어짓기란 두 종류 이상의 작물을 동시에 같은 경지에 재배할 때 그들 사이에 주작물 · 부작물의 관계가 없는 작부방식이며 혼작이라고도 한다. 곧, 생애주기가 같거나 비슷한 몇 종류의 씨를 섞어 뿌리는 경우를 말한다.사이짓기란 어떤 작물의 이랑이나 포기 사이에 한정된 기간 동안 다른 작물을 심는 일을 말하며 간작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두 작물의 재배 시기나 수확기는 다른 것이 보통이다. 텃밭 같이 경지 면적이 한정된 곳에서는 토지 이용률을 높이는 이점이 많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천주교의 배척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정학을 지키고 사학을 배척하는 위정척사론
    위정척사사상은 바른 것은 지키고 옳지 않은 것은 배척한다는 유학 사상이다. 성리학적 유교를 정치이념으로 정립하고 있는 조선의 입장에서 볼 때 천주교는 우리의 전통문화를 파괴하고 변질시키는 반국가적·반사회적인 사상이었다. 그러므로 위정척사사상은 이질적인 외세의 문화를 배척함으로써 우리의 국가와 문화를 지키는 민족주의 사상이었고, 일제의 침략에 저항한 의병의 사상적 기반이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남 >담양군

    천상의 화원, 담양 명옥헌
    담양 명옥헌은 배롱나무꽃이 아름답기로 유명한 곳이다. 명옥헌은 조선 중기에 아들 오이정이 아버지 오희도가 죽은 후 아버지를 기리며 지은 누정이다. 계곡 물소리가 ‘옥구슬이 부딪쳐 깨지는 듯 맑은 소리’ 같다는 의미의 명옥헌은 배롱나무꽃이 필 때쯤이면 천상의 화원이 된다. 담양의 다른 누정과 달리 관련된 문학 작품이 많지 않지만 자연 경관 만으로도 상쇄하고 남음이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북 >임실군

    여름날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임실 만취정
    임실 만취정(晩翠亭)은 김위(金偉 ; 1532∼1595)가 1572년(선조 5) 낙향하여 세운 정자이다. 정자의 이름은 김위의 호 ‘만취(晩翠)’에서 따온 것이다. ‘만취’는 ‘겨울에도 변하지 않는 초목의 푸른빛’이라는 의미이다. 김위는 재상의 반열에 오른 것은 아니지만 여러 고을의 수령이 되어 선정을 베풀었고, 당대의 고봉 기대승·율곡 이이·백호 임제와 같은 인물과 교유하였다. 만취정에는 이들의 현판이 지금도 걸려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남 >장성군

    소나무와 배롱나무로 둘러싸인, 장성 요월정
    강 건너 월봉산 옥녀봉과 마주하고, 절벽 아래로 많은 사연을 간직한 황룡강이 유유히 흐르며, 오래된 배롱나무와 소나무가 시위를 하듯 누정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장성 요월정은 단연 우리나라 누정 가운데 최고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황룡강·배롱나무·노송이 어우러진 빼어난 경관, 전설 같은 많은 이야기를 간직하고 있는 요월정은 예나 지금이나 모두의 사랑을 받는 명소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기세배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농악대의 얼굴 농기
    농기는 우리나라 오래된 신앙의 바탕인 신목에서 그 뿌리를 찾을 수 있는데 서낭대를 거쳐 마을을 대표하는 신앙적인 성격을 함께 가진다. 모심기, 논매기 등의 마을 단위의 주요 행사에도 농기가 앞장 선다. 후대로 오면서 점차 농경의례 중 한 부분을 차지하면서 두레패의 상징으로 여겨져 기싸움과 기세배라는 풍속을 낳았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배다리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서울 >용산구

    하천을 건너기 위해 배를 연결해 만들었던 배다리
    조선시대에는 큰 하천을 건너는 다리가 거의 없었다. 한강과 같은 큰 하천을 건너는 길은 임금이 행차할 때에 임시로 만들어졌는데, 이는 선박들을 서로 연결한 후 그 위에 널빤지를 깔아 만든 뜬다리의 형태였다. 배를 이용해 만들었다는 데에서 배다리라 불린다. 한강을 건너는 배다리는 임금이 조상의 묘를 찾아가는 능행시에 주로 이용되었다. 경기도 여주의 영릉 또는 화성의 현륭원을 참배할 때에 배다리를 만들어 활용했다. 조선시대에 배다리 설계에 큰 공헌을 한 사람은 수원화성을 설계한 정약용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인제군

    근대에도 이어진 식량부족과 구황식품
    일제강점기에도 홍수와 가뭄으로 기근이 발생하여 구황식품이 많이 이용되었다. 충청북도 제천지역의 경우 1936년 이후 정상을 회복하지 못하고 흉년의 악재가 거듭되어 1944년까지 식량사정이 좋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공출이 시행되자 일제는 식량 강탈의 반대급부로 1940년부터 ‘식량 배급제’를 시행했는데 1호당 잡곡 2홉 2되 정도를 배급하였다. 배급한 것은 보리쌀·북간도 좁쌀·기장·콩깻묵 등인데 주민들이 인상적으로 기억하는 것은 콩깻묵이다. 지금은 콩깻묵을 소여물로나 쓰지만, 당시에는 제천지역에서 밥류를 뜸들일 때 같이 쪄서 양을 늘려 먹었다. 이 외의 구황식으로 보리에 나물을 넣은 죽이 일반적이었다. 호박으로도 죽을 많이 해먹었다. 산간지역에는 칡뿌리, 옥수수, 도토리도 많이 먹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