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북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경북 >고령군

    영남 3대 의병장 김면 유적
    김면의병장의 유적은 경상북도기념물 제76호로 김면의병장을 기리기위해 1666년 건립된 도암서원과 사당, 신도비, 묘소로 조성되어 있다. 김면은 1541년(중종 36)에 태어난 학자로 임진왜란 당시 곽재우, 정인홍과 함께 경상우도 3대의병장 중 한 사람이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그는 의병의 선봉에서 30여 차례 전투를 치르며 큰 공을 세우고 1593년 금산 의병진에서 전투준비 중 순국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영양군

    의병장 김도현이 개인재산으로 쌓은 검산성
    영양의 검산성은 한말 의병장 김도현이 사재를 들여 쌓은 산성이다. 이 산성은 보존가치가 있어서 경상북도기념물 제65호로 1985년 10월에 지정되어 있다. 김도현은 나라에 변고가 생길 것을 미리 알고 병법을 연구했으며 점고회를 조직해서 군사훈련을 하였다. 그리고 1894년 민비(뒤에 명성황후) 시해사건이 일어나고 나라가 일제에 압박을 받자 의병을 조직하여 투쟁에 나섰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경주시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운 삼형제를 위한 정자 삼괴정
    삼괴정(三槐亭)은 임진왜란 때 이방린, 이유린, 이광린 3형제가 의병에 참가한 것을 기리기 위하여 7대손 이화택이 1815년(순조 15년)에 건립한 정자이다. 이 정자는 1992년 7월에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68호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다. 3형제는 이장손이 만든 비격진천뢰를 사용하여 경주성을 탈환하는 데 공을 세웠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전라북도 가옥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북 >장수군

    오뫼마을 권희문 가옥의 전통음식 세가지
    전라북도 민속문화재 22호인 권희문 가옥은 장수 팔경 중 하나인 영대산 앞에 지은 ㄱ자 형태의 전통 가옥이다. 약 300여년 7대째 살고 있는 이 집안에는 대대로 내려오는 전통 음식 세 가지가 있다. 점주, 육포, 정과가 그것이다. 그 전통음식들 중 점주, 접장, 정과를 소개한다. 장손부 이순녀 여사와 며느리 정희선 씨에게 직접 들은 레시피들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북 >단양군

    이황의 친필로 전해지는 단양 복도별업 암각자
    단양 복도별업 암각자는 충청북도 단양군 단성면 하방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각석이다. 해서체로 '복도별업(複道別業)'이라고 쓰여 있으며 퇴계 이황의 친필이다. 이황은 단양군수로 부임해 있으면서 단양의 절경 8곳을 골라 직접 이름 붙여 단양팔경이라 불렀다. 복도별업 암각자는 복도소라는 보 인근에 있었는데, 복도소는 이황이 만든 인공저수지다. 이황은 복도소가 완공된 것을 기념하여 인근의 큰 바위에 '복도별업'이라 새기게 했다. 복도별업은 '복도소의 물이 맑고 깨끗하여 경치가 좋고 목욕을 하면 몸과 마음까지 깨끗해질 만큼 훌륭하므로 이곳에 별업을 이룬다'는 의미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북 >청주시

    천년의 세월을 견딘 청주의 랜드마크, 용두사지 철당간
    청주지역의 유일한 국보(제41호)인 용두사지 철당간은, 고려 광종13(962년)에 조성되어 천년이 넘은 세월을 청주의 역사와 함께하고 있다. 당간은 사찰 앞에 세워진 깃발로, 당간지주는 남아있는 편이지만 당간까지 함께 남아있는 경우는 드물어 국보에 지정되었다. 이 당간에는 당간을 만들 당시의 역사적 사실이 새겨져 있어, 건립 연대가 확실한 유일한 당간이기도 하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북 >제천시

    마을의 역사인 선돌에 지내는 제천 입석리 선돌제
    충북 제천시 입석리는 지명처럼 선돌로 유명한 마을이다. 입석리 선돌은 7개의 돌이 상중하 3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돌은 모두 손질한 흔적이 보인다. 입석리 주민들이 선돌제를 지내기 시작한 것은 1986년부터로 역사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으나 2011년 충청북도 기념물 제117호로 지정되었다. 현재는 선돌문화보존위원회를 중심으로 제물을 장만하고 각종 행사를 개최한다. 입석리 선돌제는 유교식 의례와 유사하게 진행되며, 제의가 끝나면 참석자들이 한바탕 잔치를 벌인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북 >부안군

    해넘이 장소로 유명한 전북 부안의 월고리 봉수
    월고리 봉수는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격포리에 소재한 봉화산 정상에 있다. 이 봉수는 고려 말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하며, 남동쪽에 있는 고창 소응포 봉수에서 신호를 받아 북동쪽에 있는 점방산 봉수로 연결했던 봉수였다. 현재 봉화산 정상에는 연대 한 개만 복원되어 있고, 월고리 봉수의 옛 모습은 강세황의 격포유람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북 >부안군

    새만금 일대를 조망할 수 있는 전북 부안의 계화도 봉수
    계화도 봉수는 전라북도 부안군 계화면 계화리에 소재한 계화산에 있다. 이 봉수는 고려 말에 축조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남쪽에 있는 점방산 봉수에서 신호를 받아 북쪽에 있는 화산 봉수로 연결했던 연변봉수이다. 봉수의 흔적은 암자를 지으면서 모두 파괴되었지만, 1995년에 복원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현재 계화도 봉수는 새만금 일대를 조망할 수 있는 최고의 전망대로 알려져 있으며, 아름다운 풍경을 보기 위해 전국에서 많은 관광객이 방문하는 부안의 대표적인 명소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북 >군산시

    봉수 터만 남은 전북 군산의 오성산 봉수
    오성산 봉수는 전라북도 군산시 성산면 둔덕리에 소재한 오성산 도진봉에 있다. 이 봉수는 1500년대 이전에 축조되었을 것으로 추정하며, 남서쪽에 있는 화산 봉수에서 신호를 받아 북동쪽에 있는 불지산 봉수에 연결하였다. 도진봉 정상에는 과거 봉수가 있었음을 알 수 있는 흙으로 쌓은 기단만 남아 있을 뿐이고, 인근에 백제가 축조한 오성산성과 함께 이에 관한 전설이 얽힌 오성묘가 위치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경상북도 봉수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3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북 >영덕군

    풍력발전소 단지 내에 있는 경북 영덕의 별반산 봉수
    별반산 봉수는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창포리에 소재한 별반산에 있다. 이 봉수는 고려 말에 축조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남쪽에 있는 도리산 봉수에서 신호를 받아 북쪽에 있는 대소산 봉수로 연결했던 연변봉수이다. 현재 봉수가 있던 별반산 일대는 풍력발전소 단지를 비롯해 영덕조각공원, 정크&트릭아트전시관, 신재생에너지전시관 등이 들어서 있고, 단지 내에서 별반산 봉수를 상징하는 삿갓 모양의 연대를 볼 수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영덕군

    호환을 막고자 봉화제를 지내는 경북 영덕의 광산 봉수
    광산 봉수는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대리의 봉화산 정상부에 있다. 광산 봉수는 동쪽으로 영덕 대소산 봉수, 서쪽으로는 청송 신법산 봉수와 연결된다. 워낙 인적이 드문 깊은 산속에 있어 방호벽과 횃불을 올리던 연대의 원형이 비교적 잘 남아 있다. 현재 이 연대는 대리마을 주민들이 산신제를 지내는 제단으로 사용하고 있다. 대리 주민들은 매년 사월초파일에 마을의 평안과 호환을 막기 위해서 광산 봉화제를 지냈다고 하며, 그 전통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의성군

    금성산성 안에 있는 경북 의성의 영니산 봉수
    영니산 봉수는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수정리에 소재한 금성산 정상부에 있다. 이 봉수가 언제 축조되었는지 정확히 알 수는 없으나 남쪽에 있는 군위 승목산 봉수에서 신호를 받아 북쪽에 있는 고성산 봉수로 연결했던 내지봉수였다. 국내에 산재한 봉수 중에서 방호벽이 가장 높은 봉수이고 조문국이 쌓은 것으로 추정되는 금성산성 안에 있다. 한편 영니산 일대에는 조상의 묘를 쓰면 만석꾼이 되지만, 주변 마을은 3년 동안 가뭄에 시달린다는 전설과 함께 그 흔적이 지금도 남아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북 >고창군

    일가족 형태의 당산을 모시는 고창 사내리 당산제
    전북 고창군 성송면 북부에 위치한 사내리에는 4기의 당산을 모시고 정월 대보름날 당산제를 지낸다. 사내리 당산은 할머니당산, 할아버지당산, 아들당산, 며느리당산이 동서남북의 네 방위에서 액막이 역할을 하며 마을을 수호한다. 다른 지역과 달리 당산이 일가족 형태를 이루고 있다는 점이 특이하다. 예전과 비교할 때 당산제의 중요성이 감소했음에도 여전히 일 년에 한 번씩 당산제를 모시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북 >김제시

    김제 입석동 입석마을 당산제
    김제시 입석동 입석마을 주민들은 당산 할머니 신의 신체인 입석에 해마다 제의를 지낸다. 입석마을 당산제의 근간이 되는 이 신체는 현재 전라북도 민속자료 제7호로 지정되어 있다. 입석마을의 당산제는 크게 제의와 줄다리기이다. 줄을 먼저 제작한 다음 마을주민이 줄다리기를 한다. 정월 대보름 저녁이 되면 풍물패가 풍물을 쳐 제의 시작을 알린다. 미리 제작해 놓은 줄을 행사장에 길게 늘어뜨린 다음 그곳에서 판굿을 친다. 한바탕의 굿이 끝나고 보름달이 떠오르면 남자들은 수줄을 메고 여자들은 암줄을 메고 '고 놀이'를 한다. 수줄과 암줄의 결합이 마무리되면 남녀로 구분하여 줄다리기한다. 세 판으로 승부를 겨루는데 여자가 이긴다. 여자 쪽에는 결혼하지 않는 남자도 포함된다. 이 과정에 이어서 줄 당기기에 사용했던 줄을 입석에 감는 의식이 행해진다. 본격적으로 당산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것이다. 제의는 제관의 주도하에 진행되며 유교식으로 행해진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북 >전주시

    전주 성황제
    전라북도에 있는 전주시에서는 오랜 역사를 지닌 성황제가 있다. 오랫동안 중단된 것을 근래에 오면서 복원하긴 했으나 그 역사는 고려 시대까지 올라간다. 여러 자료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신앙의 대상은 성황신인데 고려 시대에는 개성의 송악성황과 함께 알아주는 신으로 알려졌다. 지역의 학자들 중심으로 복원된 전주 성황제는 성황신 받기를 시작으로 성황 영신 행렬, 성황굿 등이 행해지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북 >군산시

    선생마을과 제자마을이 협업하는 군산 기맞이놀이
    군산 기맞이놀이는 음력 1월에서 2월 사이, 농한기를 틈타 벌이는 대동놀이로 농기를 새로 만든 마을이 있을 때만 벌인다. 가장 오래된 농기가 선생 역할을 맡아 나머지 마을의 제자 농기들의 인사를 받는다. 이를 통해 마을 간의 친목을 다지고 협업의 관계를 맺는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북 >김제시

    벽골제를 지킨 단야낭자를 기리는 벽골제 쌍룡놀이
    벽골제 쌍룡놀이는 벽골제를 지키기 위해 청룡에게 몸을 바친 단야 낭자 전설에서 유래했다. 인간과 용의 갈등 관계를 이야기로 풀어내 풍년을 기원하는 제의적 성격을 갖고 있다. 전설 속의 단야는 결국 죽음을 맞지만, 놀이에서는 단야가 되살아나 마을 잔치가 벌어지는 것으로 마무리 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북 >익산시

    농기(農旗)로 세배를 올리는 놀이, 익산 기세배
    익산 기세배(旗歲拜)는 전북 익산 지역에서 정월 대보름 무렵에 여러 마을이 모여 각 마을을 상징하는 깃발인 농기(農旗)로 세배를 올리는 마을 단위의 민속놀이이다. 마을과 마을 간의 유대를 돈독히 하고 협동하기 위해 한 자리에 모이는 행사로 전라북도 민속자료 제2호로 지정되어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김천시

    경상도 금산의 김천역을 중심으로 형성된 김천도(金泉道)
    김천도는 조선시대 경상도 금산(지금의 김천시)에 있던 김천역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역로이며, 지금의 경상북도 서부 내륙과 경상남도 서북부를 연결하는 역로를 관할했다. 1460년에 김천도와 사근도가 통합되어 사근도라 불렀다가 1462년에 다시 김천도로 분리되었다. 조선시대에는 경상우도에 속하는 소로였지만, 일본에서 한양으로 돌아오는 사행단이 통과하던 사행로의 우로에 자리했던 만큼, 교통기능이 매우 중요했던 역로이다. 지금의 경상북도 김천시를 비롯하여 구미시, 성주군, 고령군과 경상남도 거창군과 합천군을 통과하던 역로가 포함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김천시

    경상도를 남북으로 연결하던 우두령 옛길
    경상남도와 경상북도의 경계를 이루는 고개 가운데 하나인 우두령은 조선시대부터 영남지방에서 한양으로 이동하는 지름길로 이용되었던 옛길이다. 우두령 옛길은 조선시대의 역로 가운데 김천도에 편성되었다. 고개 마루에는 우두령을 넘는 길손의 휴식처인 소지원이 있었다. 임진왜란 때에는 경상도에서 전라도 무주로 진출하려던 왜군을 우두령에서 무찔렀다. 우두령은 경상북도 김천으로 흐르는 감천과 경상남도 거창으로 흐르는 계수천의 분수계이기도 하다. 백두대간에서 고도가 낮은 고갯길이었던 우두령 옛길은 일찍부터 교통 및 군사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요충지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관북지방 역로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강원 >화천군

    철원에서 강원도 북부지방을 연결하던 은계도(銀溪道)
    은계도는 조선 시대 강원도 회양에 있던 은계역을 중심으로 형성된 역로이지만, 조선 후기에는 김화현의 생창역이 찰방역으로 지정됨에 따라 생창역을 중심으로 하는 역로가 되었다. 강원도의 북부를 동서 방향으로 연결하던 역로로서, 지금의 함경도로 향하던 역로라 할 수 있다. 은계도의 본래 중심역이었던 은계역은 영동지방으로 뻗은 도로의 우두머리 역이었기 때문에 역을 관리하던 찰방은 엄격히 선발했다. 구간의 상당 부분은 현재 군사분계선 북쪽에 분포하고, 일부는 강원도 화천군·양구군·인제군을 통과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거북제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북 >진안군

    진안 가림리 은천마을 거북제
    진안읍 은천마을 주민들은 정월 달에 마을 제의를 지낸다. 본래 14일이었으나 현재는 초아흐렛날로 제일이 바뀌었다. 이 마을주민들의 신앙의 대상은 거북이다. 거북은 장수를 상징하고 있지만 화재 예방에도 뛰어난 능력을 지녔다고 믿는다. 비록 여러 차례가 제의가 바뀌긴 했으나 제관을 선정하고 제물을 준비하는 일은 지금까지도 이어져 오고 있다. 제물에는 돼지머리가 쓰인다. 제의가 끝나면 지신밟기를 행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