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소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전국

    토지조사사업과 일제강점기 농업
    토지조사사업은 1910~1918년 일본이 조선-대한제국의 식민지적 토지소유관계를 공고히 하기 위하여 시행한 대규모의 국토조사사업이다. 조사사업의 내용은 토지 소유권의 조사, 토지가격의 조사, 지형에 대한 조사로 이루어졌으며 이의 수행을 위해 행정업무와 측량업무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이 사업의 결과 이제까지 실제로 토지를 소유해왔던 수백만의 농민이 토지에 대한 권리를 잃고 소작인으로 전락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소작농들의 봉기 소작쟁의
    1910년대 토지조사사업, 1920년대 산미증산계획으로 농민의 80퍼센트가 소작인이 되었다. 지주는 소작료를 수확량의 80퍼센트 정도 받았다. 1920년대 사회주의 영향으로 의식이 성장한 농민들은 조선 농촌 동맹을 중심으로 소작인들의 권익을 얻기 위해 조합 등 단체를 만들었다. 소작쟁의의 목적은 소작료 인하이다. 1920년대 시작하여 1930년대 초에 가장 활발한 소작쟁의가 일어났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부산 >강서구

    조명희의 ‘낙동강’
    1927년 7월 『조선지광』에 발표된 조명희의 단편소설이다. 낙동강 하구 구포에서 태어난 박성운은 못배운 것을 한으로 여긴 조부와 부친의 영향으로 근대교육을 받고, 군청 농업 조수로 생활했다. 3.1운동이 일어나자 독립운동에 뛰어들어 투옥되었다가 풀려난 뒤 연해주, 베이징, 상하이 등지에서 독립운동을 하며, 사회주의자가 된다. 고향으로 돌아온 성운은 고향사람들이 공동 경작을 하고 지내던 낙동강변의 갈대밭이 일본인의 소유로 넘어가는 것을 반대하는 운동을 벌이다가 체포되어 모진 고문을 받고 병보석으로 풀려난다. 그러나 그 후유증으로 세상을 떠나게 되고 그의 연인이자 동지인 로사는 성운의 뜻을 이을 것을 결심하며 대륙으로 떠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철공소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인천 >중구

    인천 도원동 철공소 거리의 최고령 대장장이
    인일 철공소는 도원동의 최고령 대장장이가 운영하는 철공소이다. 이곳의 주인장인 송종화 장인은 팔십이 넘은 나이에도 불구하고 여전한 현역 대장장이로 일한다. 사람들의 기억에서 잊혀진 골목이지만 장인은 이곳을 65년 넘게 지키며 묵묵히 대장장이의 삶을 살아간다. 열 사람이 배우면 한 사람도 되기 어렵다던 대장장이의 맥을 잇는 장인의 삶이 인일 철공소에 고스란하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춘천시

    춘천의 한말의병장 이소응
    이소응(李昭應, 1861~1928)은 유학에 조예가 깊었던 큰 학자이며 춘천에서 창의한 한말의병장으로 여러 전투에서 승전보를 올렸던 인물이다. 13도의군도총재 류인석이 1915년에 사망하자 그의 유고를 모아 편찬하기도 했으며 이후에는 그의 스승 유중교의 문집을 정리해서 간행했다. 이소응은 1930년 79세의 나이로 광복을 보지 못하고 요동에서 생을 마감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소난지도의병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남 >당진시

    소난지도 전투에서 순국한 의병총
    서해안 당진 앞바다에 있는 작은 섬 소난지도는 1908년 3월 15일 소난지도의병 100여명이 순국한 곳이다. 1908년 정미의병기에 들어서는 홍원식이 100여 명의 의병을 모집하여 소난지도의병을 결성하고 항일투쟁을 전개하였다. 1908년 3월 15명으로 구성된 일본경찰이 소난지도를 공격하여 의병 100여 명이 전사 또는 행방불명되어 소난지도의병은 전멸된 것으로 보인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연시일기 연시례(延諡禮) 재현 홍보영상

    출처 :경상북도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관심지역 경북 >안동시

    연시일기 연시례(延諡禮) 재현 홍보영상
    연시례 행사를 재현한 다큐멘터리의 홍보영상이다. 연시례(延諡禮)는 임금이 내린 시호와 교지를 지역유림과 관원들이 축하하면서 맞이하는 의식이다. 안동의 대표적인 서원인 ‘묵계서원’에서 2015년 발견된 보백당 종가의 연시례 일기(1868년)를 바탕으로 연시례 행사를 재현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연시일기 연시례(延諡禮) 재현 다큐

    출처 :경상북도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관심지역 경북 >안동시

    연시일기 연시례(延諡禮) 재현 다큐
    연시례 행사를 재현한 다큐멘터리이다. 연시례(延諡禮)는 임금이 내린 시호와 교지를 지역유림과 관원들이 축하하면서 맞이하는 의식이다. 안동의 대표적인 서원인 ‘묵계서원’에서 2015년 발견된 보백당 종가의 연시례 일기(1868년)를 바탕으로 연시례 행사를 재현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다시쓰는 연시일기

    출처 :경상북도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관심지역 경북 >안동시

    다시쓰는 연시일기
    보백당 종가의 연시례 일기를 바탕으로 연시례를 재현하고 이를 사진 자료와 함께 알기 쉽게 정리한 책이다. 연시례(延諡禮)는 임금이 내린 시호와 교지를 지역유림과 관원들이 축하하면서 맞이하는 의식이다. 동의 대표적인 서원인 ‘묵계서원’에서 2015년 간행한 보백당 종가의 연시례 일기(1868년)에는 시호를 청하는 내용과 서원·사당 수리, 행사 전반 논의 내용 등 연시례에 관한 내용이 자세히 기록되어 사료가치가 높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밭 매는 소리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6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세종

    세종시 연기면에서 밭 매며 부르는 '올러를가시는구나'
    세종특별자치시에서는 「밭매는소리」로 '올러를가시는구나'를 불렀다. 「밭매는소리」는 밭에 돋은 잡초를 뽑아내며 부르던 노래로 여성 노동요라고 할 수 있다. 올러를가시는구나는 세종시 연기면에서만 전승이 확인된 노래이다. 4마디짜리 전언가사에 “올러 올러를 가시는구나 아아”라고 하는 디딤가사를 선후창으로 부른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문경시

    경북 문경시 영순면에서 밭 매며 부르는 '한폭뜯어 고깔접고'
    경북 문경시에서는 「밭매는소리」로 '한폭뜯어 고깔접고'를 불렀다. '한폭뜯어 고깔접고'는 고된 시집살이를 견디지 못하고 중이 된 며느리의 사연을 그려낸 서사민요이다. 문경시에서 보고된 '한폭뜯어 고깔접고'는 중이 되어 전국으로 동냥을 다니던 며느리는 결국 남편과 재결합해 잘 살았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북 >청주시

    충북 청주시 오창면에서 밭 매며 부르는 자진아라리
    충북 청주시에는 「밭매는소리」로 자진아라리를 불렀다. 밭매기는 여성들의 노동이었던 까닭에 「밭매는소리」는 여성들의 감각과 정서 및 취향에 맞는 노래들이 다수였다. 그 중 자진아라리는 동부산간지대에서 주로 불리었다. 엇모리장단으로 아라리보다 빠르고 경쾌하다. 전언가사가 2행 단위이며 가사의 길이는 아라리보다 짧다. 후렴이 없는 형태가 기본이나 집단노동요로 불릴 경우에는 후렴이 나타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