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춘천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강원 >춘천시

    춘천의 을미의병장 이진응
    이진응(李晋應, 1847년 ~ 1896년)은 춘천 남면 하방곡리 출신으로 을미의병이 일어났을 때 이소응과 함께 거의를 하였다. 그러나 이소응이 떠나면서 이진응에게 주장(主將)을 맡겼는데 계속 항전을 하다가 약사동에서 전사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춘천시

    한말 이방 출신 춘천의 의병장 지용기
    지용기(池龍起, 1876~1907)는 춘천 이방의 아전이었다. 을미의병 당시 춘천의병에 참가했다가 의진이 패하자, 제천의진에 가담하였다. 이어 서북으로 갈 때 화천에서 제천의진을 벗어났다. 이어서 춘천, 화천, 양구 일대에서 의병활동을 전개하다가 전사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춘천지구전투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3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강원 >춘천시

    춘천지구전투의 영웅 심일(沈鎰)
    심일 소위는 제6사단 7연대 대전차포대 2소대장으로 1950년 6월 25일 당시 춘천지구에서 남하하는 북한군의 SU-76 자주포를  5명의 특공대를 편성하여 육탄공격으로 3대의 북한군 자주포를 파괴하는 공을 세웠다. 열세한 무기인 수류탄과 화염병으로 적의 포로 돌진 하고 거두운 전공이었다.심일 소위는 이 전공으로 태극무공훈장(훈기번호 제9호)을 받았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춘천시

    6.25 초기 방어전, 춘천지구전투
    춘천지구 전투는 6·25전쟁 초기, 국군 제6사단이 춘천∼홍천 지역에서 북한군 제2군단의 공격을 저지한 전투이다. 서울 지역의 1군단이 쉽게 서울을 점령한 것과 달리 북한군 제2군단은 6월 25일의 기습 공격에서 쉽게 춘천과 홍천을 손에 넣을 수 없었다. 춘천에선 7연대와 제16야전포병대대가 소양강 도하를 막아 이틀을 벌었고, 홍천에선 말고개에 제2연대와 19연대가 진주하면서 6일 동안 홍천을 넘겨주지 않았다. 이 춘천지구 전투로 인하여 국군의 조기 붕괴를 막을 수 있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남 >나주시

    춘천·홍천지구 전투의 영웅 임부택(林富澤)
    국군 제6사단 7연대는 6·25전쟁 초기 최일선 전방을 담당하고 있었는데  춘천에서의 성공적인 방어전을 수행하였다. 이후 음성 동락리전투에서 7연대는 적 1개 연대를 섬멸하는 전과를 거두었다. 이러한 전과로 7연대장 임부택 중령은 제11사단장으로 재임하고 있던 1954년 6월 28일 은성태극무공훈장(훈기번호 제182호)을 수여받았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춘천대첩

연관자료

  • 지역문화 Pick (1건)
자세히보기
  • 3일간의 방어, 대한민국을 지킨 춘천대첩

    출처 :강원도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강원 >춘천시

    3일간의 방어, 대한민국을 지킨 춘천대첩
    1950년 6·25 발발일부터 6월 27일까지 사흘간에 걸쳐 북침으로부터 강원도 춘천을 사수한 전쟁인 '춘천전투'의 양상과 의의를 정리한 책이다. 춘천전투는 그 중요성에 비해 역사적 조명을 제대로 받지 못했다. 참전용사들의 심층 인터뷰와 새롭게 공개된 미국 측 기록, 국방부·육군군사연구소의 자료를 취합하여 춘천전투의 전개와 의의를 짚어본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테마스토리 강원 >춘천시

    춘천과 지평의병의 포군으로 생을 마감한 김경달
    김경달(金敬達, 1849~1896)은 춘천 남면 가정리 출신으로 이소응의 의진에 참여하여 활동을 펼쳤으나 춘천의진이 서울에 속해있던 군사인 경군(京軍)에 패하였다. 그래 의병이 흩어지자 김경달은 지평의진에 들어가서 활동을 하였다. 그러다가 경기도 양근 잠강 전투에서 끝까지 싸우다가 경군에게 생포되었다. 그는 1896년 3월 21일 경군의 회유를 크게 꾸짖고 끝내 총살당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기 >가평군

    춘천의병 전투지 보납산
    보납산은 강원도 춘천시와 경기도 가평군의 경계에 있는 산으로 춘천에서 서울로 가는 길목에 있다. 1896년 1월 18일 새벽 봉기한 춘천의병은 2월 3일 보납산을 사이에 두고 관군과 맞닥뜨린 춘천의병은 관군의 우수한 화력에 맞서 대등하게 싸웠으나 비 때문에 화승총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자 차츰 열세에 몰리게 되어 끝내 패하여 후퇴하고 말았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춘천시

    춘천의 한말의병장 이소응
    이소응(李昭應, 1861~1928)은 유학에 조예가 깊었던 큰 학자이며 춘천에서 창의한 한말의병장으로 여러 전투에서 승전보를 올렸던 인물이다. 13도의군도총재 류인석이 1915년에 사망하자 그의 유고를 모아 편찬하기도 했으며 이후에는 그의 스승 유중교의 문집을 정리해서 간행했다. 이소응은 1930년 79세의 나이로 광복을 보지 못하고 요동에서 생을 마감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춘천시

    춘천의병 류홍석의병장 생가터
    가정리 황골은 정미의병기 춘천의병을 이끈 대표적인 의병장인 류홍석의 생가터가 있는 곳이다. 류홍석은 일찍이 1895년 왜적에 의하여 국모가 시해되고 단발령이 내려지자 류인석 의병부대에 참여한 바 있다. 정미의병이 각지에서 일어나자 류홍석은 춘천에서 의병을 다시 일으킬 것을 모의하고, 가정리 황골에서 격문을 발표하고 후기의병을 일으켜 항일투쟁을 전개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춘천 마을신앙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강원 >춘천시

    춘천 조양2리 전치곡치 마을성황제
    조양2리 마을주민들이 매년 음력 삼월삼짇날 지내는 마을 제의로 호랑이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시작된 춘천을 대표하는 마을신앙이다. 아주 옛날 호랑이가 마을에 자주 내려와 짐승들을 잡아가고 농작물을 피해를 종종 끼쳤다. 그러던 어느 날 마을의 아이가 없어진 일이 발생했다. 주민들이 모두 그 아이를 찾아 나섰는데 뒷산의 큰 바위 밑에서 아이의 옷만 발견했을 뿐 아이는 찾을 수 없었다. 마을 주민들은 그 일이 있는 뒤에 서낭신에게 제의를 지냈다. 그러자 마을에 호랑이가 내려오지 않았고 아무런 피해가 없었다고 한다. 전치곡치 마을의 성황제는 제물을 진설하는 것부터 시작된다. 제의 과정에서 별도로 기부금을 낸 사람에 한해서 제관이 소지를 올려주었다. 성황 제사의 축문도 별도로 있다. 축문의 내용에는 마을주민들의 건강을 기원하는 부분도 있으며 주민 모두가 복을 많이 받기를 기원하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춘천시

    며느리의 정성으로 솟은 효정
    강원도 춘천시 남면 가정리 약바위 서쪽에 효정이 있었다. 효정의 유래와 관련하여 한 이야기가 전해진다. 조선 후기에 남면에 유씨 부부가 살고 있었는데 부인 이씨의 효심이 지극하였다. 이씨는 매일 아침 심산유곡에서 정화수를 떠 와 시부모님께 올렸는데, 그 정성에 감동한 산신령이 부엌에 샘을 만들어주었다. 그 샘이 바로 효정이다. 효정은 물맛이 매우 좋았다고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춘천시

    괴산의 고양이를 물리친 쥐가 살던 쥐산
    강원도 춘천시 사북면 고성리에는 쥐산이 있다. 쥐산이라는 이름은 산의 크기가 쥐처럼 작고 쥐를 닮아서 붙은 것이다. 쥐산 인근에는 고양이를 닮은 산인 괴산이 있다. 이 두 산에 얽힌 이야기가 전해진다. 괴산의 고양이들이 쥐산의 쥐를 잡아먹자, 쥐들이 힘을 모아 고양이를 물리쳤고 그 후로는 각자의 산에서 평화롭게 살았다는 이야기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춘천시

    효자가 잣나무를 찾은 좌방산
    춘천시 남면 발산리와 한덕리의 경계에는 좌방산이 있다. 좌방산이 자리하고 있는 남면은 여성 독립운동가인 윤희순이 활동한 곳으로 의민의 뜻을 담고 있는 지역이다. 좌방산에는 효자인 덕쇠의 이야기가 전해진다. 산신이 덕쇠의 효심에 감복하여 좌방산에 있는 잣을 따 어머니께 먹이면 병환이 나을 것이라 알려주었다는 이야기이다. 좌방산은 풍광이 아름답기로 유명했으며 지금도 자연의 아름다움을 간직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춘천관찰사 조인승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기 >가평군

    춘천의병 전투지 보납산
    보납산은 강원도 춘천시와 경기도 가평군의 경계에 있는 산으로 춘천에서 서울로 가는 길목에 있다. 1896년 1월 18일 새벽 봉기한 춘천의병은 2월 3일 보납산을 사이에 두고 관군과 맞닥뜨린 춘천의병은 관군의 우수한 화력에 맞서 대등하게 싸웠으나 비 때문에 화승총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자 차츰 열세에 몰리게 되어 끝내 패하여 후퇴하고 말았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춘천시

    강원도의 애환과 별미, 막국수
    막국수는 메밀로 만든 국수에 국물을 넣거나 양념장을 넣어 비벼먹는 음식이다. 메밀의 알맹이 외에 껍질도 국수반죽에 넣어서 색깔이 갈색인 것이 특징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옛날부터 메밀을 재배하여 조선시대까지 국수는 대부분 메밀국수였다. 메밀이 특히 강원도 산간 지역에서 잘 자랐으므로 메밀로 만든 막국수는 강원도의 향토음식이 되었다. 한국전쟁 이후 막국수는 춘천의 명물로 자리잡았다. 메밀 경작이 줄어들자 평창군이 메밀경작을 지원하기도 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