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3.1운동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전남 >목포시

    댕기머리 소녀들의 야무진 만세 함성, 목포 정명여자중학교 구 선교사 사택
    목포 정명여학교는 1903년 미 남장로교의 선교에 일환으로 세워진 학교다. 전라남도 최초의 여성 교육기관인 정명여학교는 1919년과 1921년 만세 시위를 벌인 학교로 유명하다. 댕기머리 소녀들은 비밀리에 거사를 준비하고 실행에 옮겼다. 정명여학교는 1937년 신사참배를 거부해 폐교 당했다가 1947년에야 재개교했다. 선교사 사택은 1905~1910년 사이 지어진 석조 건물이다. 목포 산지의 화강암으로 지어진 선교사 사택은 2채다. 현재 정명여학교 100주년 기념관으로 쓰이는 사택이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인천 >중구

    ‘조선민족대동단’ 조직책 한기동지사
    한기동(韓基東)은 인천 출신의 독립운동가이다. 그는 1919년 3·1독립운동이 일어나고 전국적으로 파급되던 시기에 경기도 장단군 진남면 성화학교에서 군중들의 만세시위를 주도했다. 이후 비밀결사조직 대동단 단원들과 함께 의친왕(義親王)을 상해로 망명시켜 망명정부를 세워 제2의 독립만세시위 추진을 계획했다. 그러나 계획이 실패하여 의친왕은 연금되고 한기동을 비롯한 주동자들은 체포됐다. 1920년 12월 7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징역 3년형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르다가 1922년 8월 15일 출옥했다. 그는 평생을 독립운동에 헌신하고 6.25전쟁으로 충남 서산에 피난 내려와 살다가 1997년 향년 99세에 별세했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훈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창녕군

    민주주의 정신을 기리기 위한 영산 줄다리기
    영산 줄다리기는 작은줄당기기에서 큰줄당기기로 발전하는 대동놀이다. 원래 정월 대보름에 벌이는 세시풍속이었으나 지금은 3.1민속문화제 때 당긴다. 경상남도 3.1 운동이 이곳에서 시작된 까닭에 민주주의 정신을 기리기 위해서다. 줄다리기가 끝난 후 줄을 끊어가면 풍년이 들고 아들을 낳을 수 있다는 속설이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