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이야기를 쉽고 재미있게 구성한 웹툰 콘텐츠 제공

이달의

  • 웹툰 강원 >화천군

    일편단심 여인의 슬픈 사랑 이야기
    강원도 화천군 화천읍 풍산리에는 처녀고개에 대한 설화가 전해진다. 사랑하는 두 남녀가 있었다. 도령은 과거를 보기 위해 한양으로 가고 처녀는 도령이 돌아오기만을 기다렸다. 처녀는 도령을 기다리며 도령의 꽃버선을 곱게 만들어 소나무에 매달았다. 이후 10년이 지나 처녀는 새로 만든 꽃버선을 나무에 매달다 발이 미끄러져 죽고 말았다. 처녀가 죽은 날, 장원급제 후 마을에 돌아온 도령은 이를 알고 벼슬을 포기한 뒤 처녀의 혼을 달래주었다. 이후 마을에 풍년이 들어 '풍산리'라고 불렀고, 처녀가 죽은 고개는 '처녀고개'라 불렀다.
  • 웹툰 제주 >제주시

    두 형제가 해와 달을 활로 쏜 이유
    제주특별자치도에는 '대별왕'과 '소별왕'에 대한 설화가 전해진다. 태초의 세상은 하늘과 땅의 구분이 없어 혼돈의 연속이었다. 거인신인 두수문장으로 인해 세상에는 해와 달이 두 개씩 있어 낮에는 덥고, 밤에는 추웠다. 이에 천지왕은 총멩부인과 인연을 맺고, 총멩부인은 쌍둥이를 낮아 첫째를 대별왕, 둘째를 소별왕이라 이름 지었다. 천지왕은 아들들이 성장하자 지상에 내려보냈다. 둘은 내기를 통해 저승과 이승을 다스릴 사람을 정했다. 그리하여 대별왕은 저승을, 소별왕은 이승을 다스리게 되었다.
  • 웹툰 경기 >양평군

    방귀 뀌어서 유배된 왕비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신원리에 있는 부용산에는 방귀 뀌어 유배 온 왕비에 대한 설화가 전해진다. 고려시대에 한 왕비가 결혼 첫날밤에 방귀를 뀌었다. 그로 인해 부용산에 귀양을 오게 되었는데, 왕비의 뱃속에 이미 왕자를 잉태하고 있었다. 왕자는 아버지가 없어 주변 아이들에게 놀림받게 되고, 왕비는 이에 진실을 알려준다. 왕자는 도성에 들어가 기지를 발휘하여 왕을 만나게 된다. 왕은 왕자라는 사실을 알고 왕비와 함께 도성으로 불러들이지만, 왕비는 계속해서 부용산에서 살았다고 한다.
  • 웹툰 제주 >제주시

    부모 찾아 떠난 오날이, 신녀가 되다
    제주특별자치도에는 '오날이'에 관한 설화가 전해진다. 먼 옛날 어느 들판에서 옥 같이 고운 여자아이가 태어났다. 아이는 부모가 없어 이름도 나이도 모른채 그렇게 들에서 자랐다. 이를 본 마을사람들이 아이에게 자신들을 '오늘'만났기 때문에 '오날이'라는 이름을 붙여주었다. 오날이는 자신의 존재에 대해 고민하며 부모를 찾기 위한 여행을 떠난다. 그 여행을 통해 타인의 말을 들어주고, 그들의 문제를 해결해주는 멋진 어른으로 성장한다.

웹툰

  • 웹툰 대구시 동구 동촌동 지명유래
    대구광역시 동구 동촌동은 금호강의 동쪽이라고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 웹툰 경기도 포천시 창수면 지명유래
    경기도 포천시 창수면은 영평천의 푸르고 맑은 물이 창옥병 연안으로 흐르기 때문에 창옥병과 금수정에서 한 글자씩 따서 창수면이 되었다.
  • 웹툰 강원도 태백시 황지동 지명유래
    강원도 태백시 황지동에는 '태백의 지명유래'에 의하면 과거 천황이라는 마을이 있었는데 그 마을의 중앙에 커다란 연못이 있었다. 그 연못을 천황이라 부르게 되었고 천황이 황지(潢地)로 다시 황지(黃地)로 불리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 웹툰 강원도 인제군 서화면 지명유래
    강원도 인제군 서화면은 풍수해(풍해,수해,한해)의 삼재가 없고 관개가 잘되어 해마다 풍년을 이뤄 서화(瑞禾)라 불리게 되었다. 현재는 서화(瑞和)로 바뀌었다.
  • 웹툰 강원도 원주시 문막읍 지명유래
    강원도 원주시 문막읍은 섬강의 물을 막았다는 물막이에서 유래한 지명이다. 물의 옛말인 '믈'이 믓고기, 믓결 처럼 '믓'으로도 표현되므로 '뭇'이 '물'의 옛말임을 짐작하게 한다.
  • 웹툰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지명유래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의 유래는 도정리 남쪽에 있던 일곱소나무와 칠성바위, 즉 칠송암에서 유래한 것이다. 칠송암의 지명유래는 먼 옛날 하늘나라의 일곱신선이 죄를 짓고 바위로 변해 땅에 떨어졌는데 시간이 흐른 후 하늘나라의 대왕은 이곳저곳의 땅에서 외롭게 지내는 그들을 측은히 여겨 모여 살도록 허락했다. 그들은  북두칠성 모양의 소나무가 있는 곳에서 살고 싶다고 하여 대왕은 이들 7개 바위를 7그루의 소나무 옆으로 옮겨주었다. 
  • 웹툰 충청남도 예산군 고덕면 지명유래
    충청남도 예산군 고덕면은 '옛날 현 안에 있는 면'이라는 의미의 고현내면으로 불렸다. 이는 과거 이산현 일대가 덕산면으로 분활되었기 때문에 고현내면 일대는 '옛날에 덕산현이 있던 곳'이라는 의미인 고덕면으로 이름삼게 되었다. 즉, 고현내면의 '고'와 덕산현의 '덕'을 따서 고덕이라 부르게 되었다.
  • 웹툰 울산시 북구 효문동 지명유래
    울산광역시 북구 효문동은 통천지효자 송도의 효자문이 있어 유래한 지명이다. 송도는 겨울에 병이 깊어진 어머니가 생선회를 먹고싶어했으나 가난하여 사드릴 수 없어 물가에 얼음을 깨고 눈물을 흘리는데 붕어가 튀어나와 어머니께 드릴 수 있었다. 그리고 제사를 맞이했으나 음식을 마련하지 못해 안타까워 할때 마침 산꿩이 집안으로 날아들어 제수에 쓸 수 있었다고 한다. 
  • 웹툰 울산시 중구 학성동 지명유래
    울산광역시 중구 학성동은 학남동과 학서동이 통합되었다. '학성'이라는 지명은 학 두 마리가 금으로 된 신상을 물고 계변성 신두산에서 우는 것을 군사람들이 기이하게 여겨 신학성이라고 부린것에서 유래된다. 
  • 웹툰 울산시 중구 우정동 지명유래
    울산광역시 중구 우정동은 과거의 우암동의 '우'와 강정동은 '정'을 합친 지명이다. 우암동은 마을에 소를 닮은 바위가 있어 소바우라고 부른데서 유래했고 강정동은 강가에 정자가 있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웹툰 울산시 북구 염포동 지명유래
    울산광역시 북구 염포동은 소금을 생산하는 포구에서 유래한 지명이다.
  • 웹툰 울산시 남구 삼호동 지명유래
    울산광역시 남구 삼호동은 신라 경순왕이 영취산을 찾아갈때 동자승으로 변신한 문수보살이 그를 인도하던 중 사라졌는데 그렇게 갑자기 사라진 동자승을 왕이 크게 세번을 불렀다고 하여 유래된 지명이다. 

많이 본 웹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