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이야기를 쉽고 재미있게 구성한 웹툰 콘텐츠 제공

이달의

  • 웹툰 강원 >강릉시

    마을 현감 정우복, 마을 신이 되다!?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주문진읍에는 마을신인 '정우복 신'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가 전해진다. 정우복은 강릉부사로 재임하여 학문을 장려하고 정사를 조화롭게 돌보려고 노력했다. 그러나 정우복의 노력에도 마을에는 나쁜 일이 끊이지 않았다. 우연히 정우복은 마을 사람에게 원혼으로 죽은 진이라는 처녀의 이야기를 듣게 된다. 정우복이 진이를 위해 서낭당을 짓고 그 영혼을 달래주었더니 마을을 향한 풍파가 줄어들었다. 이처럼 다른이의 원한을 풀어주고 마을사람들에게 선정을 베푼 정우복을 기억하기 위해 강릉에서는 그를 신으로 모시고 있다.
  • 웹툰 경남 >진주시

    가난한 마을, 앞산의 자라바위 때문?
    경상남도 진주시 명석면 오미리의 '오무마을'에는 마을 이름과 얽힌 이야기가 전해진다. 옛날부터 이 마을 사람들은 성실하고 부지런했다고 한다. 하지만 어찌된 이유인지 가난을 면치 못했다. 어느날 노승이 지나가다 마을의 지세를 보고 앞산 자라바위의 목을 베어버리면 잘 살 수 있을 거라고 알려주었다. 그날부터 마을 사람들은 옥황상제에게 제를 올렸다. 마침내 옥황상제가 다섯 무사를 내려보내 자라의 목을 베었더니 마을 사람들의 살림이 몰라보게 불어나 덕분에 평화롭게 살 수 있었다. 이후 이 마을에 다섯 무사가 내려왔다고 하여 다섯 무사가 내려온 마을 즉, ‘오무(五武)’라 불렀다.
  • 웹툰 제주 >제주시

    제주도 목축의 신, 테우리 신
    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 '테우리신'으로 불리는 목축신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가 전해진다. '테우리'는 가축을 기르는 목동이나 목자를 부르는 제주도 방언이다.  목축신과 관련된 이야기는 여러 사례를 통해 전해진다. 먼저 「세경본풀이」에서는 정수남이가 목축신으로 등장한다. 다음으로 백중이라는 절기에 마을 남자들이 밤중에 산에 가서 테우리코사를 목축신에게 지내며 자신들이 돌보는 가축의 이름이나 방목하는 동산의 이름을 하나씩 말한다. 마지막으로 방목지의 풀 백 가지 종을 잘 아는 '테우리 백종이'를 목축신으로 모셨으며, 음력 7월 14일에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웹툰

  • 웹툰 대구시 달서구 두류동 지명유래
    대구광역시 달서구 두류동의 지명은 두류산에서 유래했다. 두류산의 '두류'는 '두르다','애워싸다'의 의미로 해석하여 두류산이 둥글게 펼쳐져 있는 모양을 나타낸 것이라고 한다.
  • 웹툰 대구시 동구 동촌동 지명유래
    대구광역시 동구 동촌동은 금호강의 동쪽이라고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 웹툰 경기도 포천시 창수면 지명유래
    경기도 포천시 창수면은 영평천의 푸르고 맑은 물이 창옥병 연안으로 흐르기 때문에 창옥병과 금수정에서 한 글자씩 따서 창수면이 되었다.
  • 웹툰 강원도 태백시 황지동 지명유래
    강원도 태백시 황지동에는 '태백의 지명유래'에 의하면 과거 천황이라는 마을이 있었는데 그 마을의 중앙에 커다란 연못이 있었다. 그 연못을 천황이라 부르게 되었고 천황이 황지(潢地)로 다시 황지(黃地)로 불리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 웹툰 강원도 인제군 서화면 지명유래
    강원도 인제군 서화면은 풍수해(풍해,수해,한해)의 삼재가 없고 관개가 잘되어 해마다 풍년을 이뤄 서화(瑞禾)라 불리게 되었다. 현재는 서화(瑞和)로 바뀌었다.
  • 웹툰 강원도 원주시 문막읍 지명유래
    강원도 원주시 문막읍은 섬강의 물을 막았다는 물막이에서 유래한 지명이다. 물의 옛말인 '믈'이 믓고기, 믓결 처럼 '믓'으로도 표현되므로 '뭇'이 '물'의 옛말임을 짐작하게 한다.
  • 웹툰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지명유래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의 유래는 도정리 남쪽에 있던 일곱소나무와 칠성바위, 즉 칠송암에서 유래한 것이다. 칠송암의 지명유래는 먼 옛날 하늘나라의 일곱신선이 죄를 짓고 바위로 변해 땅에 떨어졌는데 시간이 흐른 후 하늘나라의 대왕은 이곳저곳의 땅에서 외롭게 지내는 그들을 측은히 여겨 모여 살도록 허락했다. 그들은  북두칠성 모양의 소나무가 있는 곳에서 살고 싶다고 하여 대왕은 이들 7개 바위를 7그루의 소나무 옆으로 옮겨주었다. 
  • 웹툰 충청남도 예산군 고덕면 지명유래
    충청남도 예산군 고덕면은 '옛날 현 안에 있는 면'이라는 의미의 고현내면으로 불렸다. 이는 과거 이산현 일대가 덕산면으로 분활되었기 때문에 고현내면 일대는 '옛날에 덕산현이 있던 곳'이라는 의미인 고덕면으로 이름삼게 되었다. 즉, 고현내면의 '고'와 덕산현의 '덕'을 따서 고덕이라 부르게 되었다.
  • 웹툰 울산시 북구 효문동 지명유래
    울산광역시 북구 효문동은 통천지효자 송도의 효자문이 있어 유래한 지명이다. 송도는 겨울에 병이 깊어진 어머니가 생선회를 먹고싶어했으나 가난하여 사드릴 수 없어 물가에 얼음을 깨고 눈물을 흘리는데 붕어가 튀어나와 어머니께 드릴 수 있었다. 그리고 제사를 맞이했으나 음식을 마련하지 못해 안타까워 할때 마침 산꿩이 집안으로 날아들어 제수에 쓸 수 있었다고 한다. 
  • 웹툰 울산시 중구 학성동 지명유래
    울산광역시 중구 학성동은 학남동과 학서동이 통합되었다. '학성'이라는 지명은 학 두 마리가 금으로 된 신상을 물고 계변성 신두산에서 우는 것을 군사람들이 기이하게 여겨 신학성이라고 부린것에서 유래된다. 
  • 웹툰 울산시 중구 우정동 지명유래
    울산광역시 중구 우정동은 과거의 우암동의 '우'와 강정동은 '정'을 합친 지명이다. 우암동은 마을에 소를 닮은 바위가 있어 소바우라고 부른데서 유래했고 강정동은 강가에 정자가 있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웹툰 울산시 북구 염포동 지명유래
    울산광역시 북구 염포동은 소금을 생산하는 포구에서 유래한 지명이다.

많이 본 웹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