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이야기를 쉽고 재미있게 구성한 웹툰 콘텐츠 제공

이달의

  • 웹툰 충북 >단양군

    꿈 속에 나타난 할아버지 말을 따랐더니
    충청북도 단양군 가곡면 대대리의 구만동에는 마을이름에 얽힌 이야기가 전해진다. 옛날 효심이 깊은 농부가 살았다. 어느날 농부의 꿈에 백발노인이 나타나 황금이 묻힌 소나무의 위치와 함께 소나무를 다치지 않게 하라고 당부하였다. 농부는 잠에서 깨어나 소나무 아래를 팠으나 아무것도 나오지 않자 실망하여 괭이로 소나무를 힘껏 쳤다. 그러자 소나무 밑에는 구덩이가 생겼다. 농부는 구덩이에 빨려 들어갔고, 그곳에서 금덩이를 발견했다. 농부는 황금을 가슴에 안고 집에 달려갔으나 그동안 식구들은 굶어죽고 말았다.
  • 웹툰 충남 >공주시

    호랑이가 만들어준 스님 오누이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에 있는 계룡산 연천봉 중턱의 청량사지의 남매탑, 오누이탑에는 호랑이와 얽힌 설화가 전해진다. 한 스님이 계룡산의 어느 절에서 불도를 닦고 있었다. 어느 날 호랑이가 나타나 울부짖어 잘 살펴보니 목 안에 비녀가 걸려 있었다. 스님이 비녀를 빼주자 호랑이는 고맙다는 표시를 하고 다음 날 기절한 여인을 스님에게 데려왔다. 기력을 회복한 여인은 스님을 따라 불도를 닦겠다고 간청하여 결국 둘은 의남매를 맺었고 훗날 사람들이 이를 기념하여 남매탑을 세웠다.
  • 웹툰 경기 >군포시

    노란 피가 흐르는 왕자
    경기도 군포시에는 수리산 관모봉으로 오르는 길에 있는 '노랑바위'에 얽힌 설화가 전해진다. 먼 옛날, 아들이 없던 왕이 제사를 지내 왕자를 낳았다. 왕자가 세 살이 되던 해, 나라에 전란이 일어나 배로 피난가던 중 폭풍우에 전복되었다. 그 때 거북이가 왕자를 태우고 관모봉 중턱에 내려놓고 음식을 구하러 갔다. 왕자는 거북이가 자신을 버렸다고 여겨 바위를 내리쳤고 그 자리에서 노란색 피를 쏟고 죽고 말았다.
  • 웹툰 강원 >영월군

    1화 숯가마에 물을 뿌려 망한 부자가 살았던 강원도 영월의 숯가마
    강원도 영월군 연하리에는 ‘숯가마’라 부르는 마을이 있다. 마을에 숯을 굽는 ‘숯가마’가 있었기에 지명이 유래하였다. 숯가마에 한 부자가 살고 있었는데, 영월군에서 정선군, 태백시, 삼척시 등으로 통하는 길목이기에 손님들이 빈번하게 찾았다. 손님 접대가 힘들었기에 부잣집 아녀자가 스님의 말을 듣고, 밭을 논으로 바꾸었다. 그 이후 손님은 찾아오지 않았지만, 가세가 기울어 집안이 망하고 말았다고 한다. 밭을 논으로 바꾼 것은 숯가마에 물을 뿌려 불을 끈 것과 같기 때문이다.

웹툰

  • 웹툰 대구시 달서구 두류동 지명유래
    대구광역시 달서구 두류동의 지명은 두류산에서 유래했다. 두류산의 '두류'는 '두르다','애워싸다'의 의미로 해석하여 두류산이 둥글게 펼쳐져 있는 모양을 나타낸 것이라고 한다.
  • 웹툰 대구시 동구 동촌동 지명유래
    대구광역시 동구 동촌동은 금호강의 동쪽이라고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 웹툰 경기도 포천시 창수면 지명유래
    경기도 포천시 창수면은 영평천의 푸르고 맑은 물이 창옥병 연안으로 흐르기 때문에 창옥병과 금수정에서 한 글자씩 따서 창수면이 되었다.
  • 웹툰 강원도 태백시 황지동 지명유래
    강원도 태백시 황지동에는 '태백의 지명유래'에 의하면 과거 천황이라는 마을이 있었는데 그 마을의 중앙에 커다란 연못이 있었다. 그 연못을 천황이라 부르게 되었고 천황이 황지(潢地)로 다시 황지(黃地)로 불리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 웹툰 강원도 인제군 서화면 지명유래
    강원도 인제군 서화면은 풍수해(풍해,수해,한해)의 삼재가 없고 관개가 잘되어 해마다 풍년을 이뤄 서화(瑞禾)라 불리게 되었다. 현재는 서화(瑞和)로 바뀌었다.
  • 웹툰 강원도 원주시 문막읍 지명유래
    강원도 원주시 문막읍은 섬강의 물을 막았다는 물막이에서 유래한 지명이다. 물의 옛말인 '믈'이 믓고기, 믓결 처럼 '믓'으로도 표현되므로 '뭇'이 '물'의 옛말임을 짐작하게 한다.
  • 웹툰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지명유래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의 유래는 도정리 남쪽에 있던 일곱소나무와 칠성바위, 즉 칠송암에서 유래한 것이다. 칠송암의 지명유래는 먼 옛날 하늘나라의 일곱신선이 죄를 짓고 바위로 변해 땅에 떨어졌는데 시간이 흐른 후 하늘나라의 대왕은 이곳저곳의 땅에서 외롭게 지내는 그들을 측은히 여겨 모여 살도록 허락했다. 그들은  북두칠성 모양의 소나무가 있는 곳에서 살고 싶다고 하여 대왕은 이들 7개 바위를 7그루의 소나무 옆으로 옮겨주었다. 
  • 웹툰 충청남도 예산군 고덕면 지명유래
    충청남도 예산군 고덕면은 '옛날 현 안에 있는 면'이라는 의미의 고현내면으로 불렸다. 이는 과거 이산현 일대가 덕산면으로 분활되었기 때문에 고현내면 일대는 '옛날에 덕산현이 있던 곳'이라는 의미인 고덕면으로 이름삼게 되었다. 즉, 고현내면의 '고'와 덕산현의 '덕'을 따서 고덕이라 부르게 되었다.
  • 웹툰 울산시 북구 효문동 지명유래
    울산광역시 북구 효문동은 통천지효자 송도의 효자문이 있어 유래한 지명이다. 송도는 겨울에 병이 깊어진 어머니가 생선회를 먹고싶어했으나 가난하여 사드릴 수 없어 물가에 얼음을 깨고 눈물을 흘리는데 붕어가 튀어나와 어머니께 드릴 수 있었다. 그리고 제사를 맞이했으나 음식을 마련하지 못해 안타까워 할때 마침 산꿩이 집안으로 날아들어 제수에 쓸 수 있었다고 한다. 
  • 웹툰 울산시 중구 학성동 지명유래
    울산광역시 중구 학성동은 학남동과 학서동이 통합되었다. '학성'이라는 지명은 학 두 마리가 금으로 된 신상을 물고 계변성 신두산에서 우는 것을 군사람들이 기이하게 여겨 신학성이라고 부린것에서 유래된다. 
  • 웹툰 울산시 중구 우정동 지명유래
    울산광역시 중구 우정동은 과거의 우암동의 '우'와 강정동은 '정'을 합친 지명이다. 우암동은 마을에 소를 닮은 바위가 있어 소바우라고 부른데서 유래했고 강정동은 강가에 정자가 있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웹툰 울산시 북구 염포동 지명유래
    울산광역시 북구 염포동은 소금을 생산하는 포구에서 유래한 지명이다.

최근 본 웹툰

많이 본 웹툰